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평가
6. 참고자료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평가
6. 참고자료
본문내용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다양한 물질들을 흡수, 대사, 저장하는 화학 공장입니다. 과도한 알코올은 간세포에 지방을 축적시키고 알코올의 대사산물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게 됩니다.술을 자주 마시게 되면 손상된 간세포가 재생할 시간이 없고 체내의 영양 부족 상태를 초래하여 간질환으로 진행합니다.
보통 매일 소주 1병정도 이상의 알코올을 10 ~ 15년 이상 마시는 경우 간이 딱딱하게 굳고 기능을 소실하게 되어 복수, 황달, 식도정맥류, 간성혼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알코올성 간경변의 치료는 술을 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려운 경우에는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금주 동호회나 전문상담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5.알코올의 남용은 다양한 신체 건강 문제와 연관될 수 있는데 금주를 통해 전체적인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
15.금주는 간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알코올 섭취를 중단함으로써 간은 회복의 기회를 얻고 건강한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시 급성혼돈 및 의식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
②대상자는 퇴원 시 사람,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③대상자는 퇴원 시 신체적인 손상을 입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1일 이내 GCS점수가 10점 이상을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혈액검사상 Ammonia 수치가 정상범위 내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5일 이내에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편집.
· 성인간호학 제 6판, 조경숙 외 9명, 현문사
· 복수와 간성뇌증의 치료, 송도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 간성뇌증 환자 1례의 임상증례 보고, 정윤종 외 5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간성 뇌증, 조세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간성뇌증, 김창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의정부성모병원 소화기내과
· 간부전증의 영양관리, 이주호 외 1명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보통 매일 소주 1병정도 이상의 알코올을 10 ~ 15년 이상 마시는 경우 간이 딱딱하게 굳고 기능을 소실하게 되어 복수, 황달, 식도정맥류, 간성혼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알코올성 간경변의 치료는 술을 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려운 경우에는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금주 동호회나 전문상담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5.알코올의 남용은 다양한 신체 건강 문제와 연관될 수 있는데 금주를 통해 전체적인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
15.금주는 간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알코올 섭취를 중단함으로써 간은 회복의 기회를 얻고 건강한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시 급성혼돈 및 의식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
②대상자는 퇴원 시 사람,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③대상자는 퇴원 시 신체적인 손상을 입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1일 이내 GCS점수가 10점 이상을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혈액검사상 Ammonia 수치가 정상범위 내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5일 이내에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편집.
· 성인간호학 제 6판, 조경숙 외 9명, 현문사
· 복수와 간성뇌증의 치료, 송도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 간성뇌증 환자 1례의 임상증례 보고, 정윤종 외 5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간성 뇌증, 조세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간성뇌증, 김창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의정부성모병원 소화기내과
· 간부전증의 영양관리, 이주호 외 1명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키워드
추천자료
소화기계 건강문제와 대상자 간호
폐암케이스, 폐암case, 폐암간호과정, 폐암, lung cancer case, lung cancer, lung
뇌졸중 CVA case study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의미,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병태생리, 간경변(간경화, 간...
성인간호학) 문맥성고혈압&식도정맥류출혈
문맥성 고혈압과 식도정맥류 관리와 간호
간호과정 내과실습 간경화 LC (Liver cirrhosis)
간호실습) 소화기 hcc소화기내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간세포암종간암
간경화 간호시나리오,간호진단과 간경화 병태생리 및 예방과 치료법
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간경화증(간경변증) Liver Cirrho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