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의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인사관리윤리의 본질
ⅰ. 윤리적 인사관리의 정의
ⅱ. 윤리적 인사관리의 구성
ⅲ. 윤리적 인사관리의 원칙


Ⅱ. 윤리적 인사관리로의 환경변화
ⅰ. 인사관리환경의 변화
ⅱ. 윤리적 인사관리의 특징 출현
ⅲ. 인사조직윤리의 신과제 대두


Ⅲ.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
ⅰ. 근로자의 권리
ⅱ. 근로자의 의무


Ⅳ. 내부자고발(양심선언자)의 논의
ⅰ. 내부자고발의 개념과 견해
ⅱ. 내부자고발 전에 검토되어야 할 사항
ⅲ. 내부자 고발의 정당화요건

본문내용

간중에 직무에 관계되지 않는 개인신상에 관한 어떠한 행위도 사생활의 권리를 침해받아서는 안 된다.
3)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을 권리
- 자본주의사회의 기본은 노동을 하였으면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을 권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평등한 대우를 하여야 한다.
문제점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노사관계, 근로자 등 종업원간의 임금의 차이
4) 안전의 권리
- 근로자는 안전한 작업장을 요구할 권리가 있고, 사용자는 건강에 해가 없는 작업장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5) 외부활동을 할 권리
- 근로자는 근무시간 이외의 시간은 자유의사에 따라서 회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용할 권리가 있다. 여기에는 정치적 활동도 포함된다.
6) 노동의 국제표준 준수
- 15세 이하의 아동노동금지
- 강제노동금지
- 작업환경의 안전성
- 노동조합의 결성과 단체교섭권리 등 결사의 자유
- 차별금지(성차별, 종교, 출생지, 신체장애, 조합원, 정치적 소속 등)
- 체벌 징계금지
- 근로시간 준수
- 정당한 보수
- 각종 노동윤리규정 준수(노동3권 등)
ⅱ. 근로자의 의무
- 회사에 충성해야 할 의무
- 상사의 명령에 복종할 의무
- 회사의 영업비밀을 보호할 의무
- 회사의이익을 해치지 않을 의무
- 산업평화를 위한 노사화합의 의무
- 사회적책임의 의무
- 환경개선의 의무
Ⅳ. 내부자고발(양심선언자)의 논의
ⅰ. 내부자고발의 개념과 견해
■ 내부자고발(Whistle-blowing): 기업활동이 비윤리적이거나 사회적으로 해를 끼친다고 생각될 경우, 기업내의 현직 종업원이 직속상사를 뛰어넘어서 윗사람에게 그 내용을 보고하든지(내부고발), 또는 대외적으로 매스컴이나 정부의 관련기관에 그 정보를 알리는 행위(외부고발)를 말한다.
■ 미국 제너럴모터스 로셰회장
내부자고발은 분명한 반역이고 기업활동에 불신과 불화를 일으켜서 자유시장제도를 파괴하려는 행위라고 맹렬히 비난
■ 1992년 일본생산성본부에서 대기업 경영자 636명,노동조합대표 150명의 응답분석
내부자고발에 경영자중 반대-72%, 26%찬성
찬성이유:회사의 비윤리적행위는 허용할 수 없거나, 회사와 종업원 전체에 도움이 된다.
노동조합지도자의 의견은 46%가 찬성하고 회사와 종업원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에 찬성
■ 미국의 소비자운동가 네이더(Ralph Nader)
기업의 사회적 책임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내부자 고발은 보호를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한다고 주장
■ 두스카(Ronald Duska)
회사에 잘못이 있을 경우에는 내부자고발은 허용될 뿐만 아니라 마땅히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
ⅱ. 내부자고발 전에 검토되어야 할 사항
- 비윤리적, 부패적 행위
- 사회공익
- 정보확인, 문서화
- 보고자대상 결정
- 정확한 비윤리행위 지적
- 객관적 사실진술
- 고발의 내 외부 결정
- 기명 혹은 무기명 고발의 결정
- 고발동료의 필요성 문제결정
- 고발절차준수
- 변호사와 사전협의
- 보복의 각오와 보복내용기록
ⅲ. 내부자고발의 정당화요건
- 해독의 중대성
- 고발자의 고발동기
- 회사의 시정의사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1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