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독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독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식물성 식중독
1. 알광대버섯(Amanita phalloides)
2. 광대버섯(Amanita muscaria)
3. 독깔때기버섯(Clitocybe acromelalga)
4. 화경버섯(Lampteromyces japonicus)
5. 갈황색 미치광이버섯(Gymnopilus spectabilis)
6. 마귀곰보버섯(Gyromitra esculenta)
7. 두엄먹물버섯(Coprinus atramuntarius)
8. 노란다발버섯(Naematoloma fasciculare)
9. 땀버섯속(Inocybe spp.)
10. 감자
11. 면화씨
12. 은행
13. 독미나리
14. 독공목(Coriaria japonica)
15. 붓순나무(Illicium anisatum)
16. 미치광이풀
17. 가시독말풀
18. 바꽃(Aconitum chinense)
19. 꽃무릇
20. 독보리
21. 고사리
22. 소철(Cycas revoluta)

B. 동물성 식중독
1. 복어독
2. 시가테라 중독
3. 돗돔중독
4. 어란중독
5. 왁스 중독
6. 마비성 조개중독(PSP)
7. 설사성 조개중독(DSP)
8. 모시조개독(venerupin)
9. 고둥의 독
10. 전복의 독

본문내용

장해를 주징으로 하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이 중독을 어란중독(ichthyootoxin)이라고 한다.
독의 본체는 지노구네린(dinogunellin)이라고 명명된 특이한 리조형인지질로 추정되고 있으며 성숙란은 30∼50g 먹으면 중독 한다고 한다. 식후 2시간 정도에서 발증하고 복통, 토기, 구토, 설사, 권태감, 탈력감, 어지러움, 두드러기 등을 수반하다. 회복까지는 수일이 걸린다.
5. 왁스 중독
통상의 어류의 근육지질은 글리세라이드가 주성분이나 심해성의 종류에는 왁스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있고 어느 정도 이상을 먹으면 설사나 복통을 일으킨다.
포유류는 왁스를 소화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 이상을 먹으면 설사를 한다.
6. 마비성 조개중독(PSP)
유독화된 검은조개, 섭조개, 대합조개 등에 의해 발생한다.
1) 증상
통상 식후 30분 정도에서 입술, 혀, 안면의 마비감이나 타는 듯한 느낌이 나타나고, 서서히 이 증상이 턱이나 팔, 사지의 말단까지 퍼짐과 함께 마비로 변하고 수의운동이 곤란하게 된다.
중증의 경우에는 운동실조가 일어나 몸이 공중에 뜬것과 같이 느껴진다. 언어장해, 두통, 구갈, 토기, 구토 등이 나타나 마비는 차츰 진행된다. 최후에는 호흡마비로 사망하나 의식은 직전까지 분명하다고 한다. 보통 사망은 12시간 이내에 일어나며 이것을 넘으면 비교적 순조롭게 회복한다.
7. 설사성 조개중독(DSP)
검은조개, 큰 가리비, 모시조개, 백합 등의 조개류가 유독화되어서 발생하는 급성설사를 주증상으로 하는 식중독이다.
1) 증상
소화기계의 자해가 주체이다. 가장 발현율이 높은 것은 설사로 토기, 복통 등이 이에 잇따른다. 발열은 거의 없다. 잠복기는 짧고 70%의 환자가 식후 4시간 이내에 발증하고 있다. 약 3일간에서 회복하고 예후는 양호하여 사망 예는 없다.
8. 모시조개독(venerupin)
중독증상은 통상 섭취 후 24∼28시간에 나타나며 초기에는 오한, 식욕부진, 복통, 권태감, 오심, 구토, 변비 등으로 그 외에 피하출혈반이 꼭 출현한다. 발병 후 2∼3일 후에 황달이 나타난다.
중증의 경우에는 의식장해를 일으켜 일주일간 이내에 사망한다. 독성에는 계절적 소장이 보이며 1∼4월에 높고, 6∼11월은 무독이다.
9. 고둥의 독
중독증상은 섭식하여 3∼18시간 후에 시력감퇴, 동공산대, 구갈, 복부팽창, 변비, 혈압강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수일간 계속한다. 독력에는 계절적 소장이 있어 7∼10월에 현저하게 상승한다.
무독의 조개를 독화해역으로 옮기면 약 50일간에 독화하고, 반대로 유독고둥을 수조에서 사육하면 약 1개월 후에는 무독화된다.
10. 전복의 독
이른봄의 전복의 내장을 다식하면 중독된다. 식후 1∼2일로 안면이나 손끝에 발적, 부음, 동통 등이 나타난다. 전치하는 데 20일 정도가 걸리는 일이 있다.
이 독은 전복, 떡조개, 소라 외에 야채 잎의 소금절임에도 존재한다.
조개가 독화되고 있을 때에는 중장선의 색이 농록흑색으로 변화하고 있다. 유독기간은 2∼5월의 이른봄뿐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1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