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대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었다. 화엄조사를 기린 것은 사상계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 데에 대한 자기반성 내지 자기방어의 의미가 있었다고 보인다. 결사의 내용과 형식은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지배계급과 밀착된 화엄승들의 보수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결국 중대와 달리 지방의 민중 속으로 파고들지 못한 하대의 화엄승들은 쇠잔해가던 권력의 심층부에 적극적으로 기생하여 명맥을 유지해나갔던 셈이다. 대표적인 것이 헌강왕 이후 진성왕의 원찰이었던 해인사이다. 따라서 지배계급과 유착한 화엄승들의 보수적이고 자폐적인 모습이라든가, 주통(州統)이나 군통(郡統) 따위의 연락관을 자임한 중간층 승려들의 어용화 과정에서, 세속권력과 함께 몰락해가는 화엄종의 모습을 읽는 것은 조금도 이상하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여, 지지세력의 상실과 영역의 축소를 야기한 경주 중심과 진골 위주의 파행적 지배체제, 즉 고대적 유제(遺制)의 문제점을 각종 화엄결사와 「초월산 대승복사비」에서 표현하였듯, 원성왕계로 복귀함으로써 재정비하려 했던 신라 말 역대 왕들의 복고적인 시도와, 시대정신을 제시하지 못하고 현학적 세계에 몰두하여 신앙계층과 지역이 축소된 화엄종의 역대조사로의 신앙복귀는, 시대의 격동적인 변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우리는 의상과 화엄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화엄종의 전파에서부터 신라 전기에서 후기까지의 화엄종의 위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종교는 그 시대를 살아가는데 정신적인 힘이 되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종교 역시 달리 수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월드컵을 계기로 온 국민이 붉은 악마라 하여 하나로 똘똘뭉쳤다. 하나의 지주 즉 축구로 우리나라의 일치 단결한 모습은 대한민국의 장래를 밝게 해줄 것이다. 종교적인 단결 이상의 것으로 생각한다. 화엄종 역시 그 시대에는 하나의 지주였을 것이다.
(참고자료 출처)
http://www.seoul-gchs.seoul.kr/~youngha/orient/eastword/easthi9.htm
http://myhome.hananet.net/~yychoi/13.htm
http://www.pusoksa.org/h-um/h-um_7-3.htmlc
http://www.cue.ac.kr/~moed/lecture/kthought/k-th04-1.htm
추만호, "신라하대 사상계의 동향" {한국사: 중세사회의 성립} 한길사 1991
결국 중대와 달리 지방의 민중 속으로 파고들지 못한 하대의 화엄승들은 쇠잔해가던 권력의 심층부에 적극적으로 기생하여 명맥을 유지해나갔던 셈이다. 대표적인 것이 헌강왕 이후 진성왕의 원찰이었던 해인사이다. 따라서 지배계급과 유착한 화엄승들의 보수적이고 자폐적인 모습이라든가, 주통(州統)이나 군통(郡統) 따위의 연락관을 자임한 중간층 승려들의 어용화 과정에서, 세속권력과 함께 몰락해가는 화엄종의 모습을 읽는 것은 조금도 이상하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여, 지지세력의 상실과 영역의 축소를 야기한 경주 중심과 진골 위주의 파행적 지배체제, 즉 고대적 유제(遺制)의 문제점을 각종 화엄결사와 「초월산 대승복사비」에서 표현하였듯, 원성왕계로 복귀함으로써 재정비하려 했던 신라 말 역대 왕들의 복고적인 시도와, 시대정신을 제시하지 못하고 현학적 세계에 몰두하여 신앙계층과 지역이 축소된 화엄종의 역대조사로의 신앙복귀는, 시대의 격동적인 변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우리는 의상과 화엄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화엄종의 전파에서부터 신라 전기에서 후기까지의 화엄종의 위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종교는 그 시대를 살아가는데 정신적인 힘이 되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종교 역시 달리 수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월드컵을 계기로 온 국민이 붉은 악마라 하여 하나로 똘똘뭉쳤다. 하나의 지주 즉 축구로 우리나라의 일치 단결한 모습은 대한민국의 장래를 밝게 해줄 것이다. 종교적인 단결 이상의 것으로 생각한다. 화엄종 역시 그 시대에는 하나의 지주였을 것이다.
(참고자료 출처)
http://www.seoul-gchs.seoul.kr/~youngha/orient/eastword/easthi9.htm
http://myhome.hananet.net/~yychoi/13.htm
http://www.pusoksa.org/h-um/h-um_7-3.htmlc
http://www.cue.ac.kr/~moed/lecture/kthought/k-th04-1.htm
추만호, "신라하대 사상계의 동향" {한국사: 중세사회의 성립} 한길사 1991
추천자료
신라의 건국과 발전
신라 고분에 따른 야익
통일신라의 정치, 사회, 문화제도
신라 말 고려 초 국가권력과 선종
[신라향가][고려향가][향가]신라 향가와 고려 향가를 통해 본 향가의 발생, 성격, 내용, 형식...
통일신라 시대미술 부터 현대미술
신라(통일신라)에 관한 고찰
[향가][신라][통일신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
[제망매가][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신라 향가)의 작품해제, 제망매가(신라 향가)의 원문과 ...
[향가][제망매가][신라시대 향가][처용가]향가의 개요 고찰 및 신라 향가 처용가의 문학적 해...
[유학][유학 역사][유학 理(이)개념][홍범사상][정산사상][신라시대 유학][고려시대 유학]유...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향가 제망매가(통일신라), 향가 도솔가(통일신라), 향가 처용가(통...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궁예, 궁예 출신과 신라관, 궁예 사상, 궁예 구비전승, 궁예 리더쉽(리더십), 궁예와 삼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