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로왕과 구지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줄거리 요약

1)해설 및 감상

2) 소재의 상징성

3)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4) 요약 정리

본문내용

비대화되어 있다. 그리고「수로 신화」에도 우리 신화에 나타나는 기마민족의 흔적이 있다. 수로(首露)라는 말 자체가 '머리 ' 또는 '몰(말의 고대어)'과 통한다는 점에서 말(馬)과 관련되고, 수로가 죽어 수릉(首陵)이라고 한 것은 오늘날 민속 현상으로 찾아지는 말 무덤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다소 다른 이야기이지만 93년 1월 경남 김해군 주촌면 양동리에 있는 고분에서 가야국의 유물이 대량 발굴되어 우리 고대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유물을 통해 가야국의 건국 시기를 A.D.2세기경으로 볼 수 있고, 가야국과 일본·중국간에 활발한 문화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93년 1월 8일자 「한국일보」).'
2) 소재의 상징성
이 신화에서 중요한 소재는 아마 거북일 것이다 거북은 고래로 수명이 길고 수륙 양생이라는 면에서 신성한 동물로 여겨졌다. 「주몽 신화」에서 자라, 「초공 본풀이(무가)」에서 거북(용왕)이 다 같은 것이다. 또 거북은 그 모양으로 인하여 동양에서는 우주적인 심상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했다. 스스로 자기의 집을 짓고 사는 모양으로 서양에서는 가정적(家庭的) 미덕이나 신중함, 보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문학에서는 거북이 제비와 더불어 보은(報恩)의 상징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우둔함의 대명사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사신도에서 보는 현무(玄武)는 거북과 뱀이 어우러진 형태로서 북방의 호위신이다. 한편 거북의 머리는 남근(男根)처럼 생겨서 남근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거북의 머리를 '생명'으로 보는 것이나, 남근을 귀두(龜頭)라고 하는 것은 다 여기에 이유가 있다. 「구지가」를 원시인의 성욕(性慾)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논리는 이 상징성에 바탕을 둔다.
3)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 신화 속에 삽입된 「구지가」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구지가」는 4구체 향가와 비슷한 것으로 수로를 맞이하기 위하여 부른 집단적·주술적인 4구체의 무요(巫謠)이다. 그래서 「영신군가(迎神君歌)」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 땅을 파며 노래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노동요라고 보기도 한다. 「구지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데, 잡귀를 쫓는 주문, 영신제(迎神祭)의 희생 무용에서 불려진 노래, 원시인들의 강렬한 성욕, 거북점을 칠 때의 노래 등이 있다. 그러나 배경 설화와 함께 보면 남녀의 격렬한 애정 속에서 한 인간의 출생을 상징화한 것으로 보는 것이 좋겠다.
이 노래의 아류로 「해가(海歌)」가 『삼국유사』에 전한다. 「구지가」가 신군을 맞이하기 위한 주술요라고 한다면, 「해가」는 재난 극복의 주술요라고 할 수 있다. 주술요는 「처용가」도 있는데 「子지가」가 주술요의 원류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주술성은 천승세의 「바다의 뿔」에 나타나는 '신맞이굿'에서도 찾을 수 있다 서정주의 「처녀가 시집갈 때」는 이 이야기를 시화한 것이다.
4) 요약 정리
· 형식 : 건국 신화
· 주제 : 수로의 강림과 가락국의 건국
· 성격 : 문예적·신화적
· 의의 : ①최고(最古)의 집단 무요를 삽입 가요로 가지고 있다
②일반적 신화 형태에서 이탈해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1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