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생애
2. 한용운의 민족사상
3. 한용운의 불교사상
4. 한용운의 작품성향
1)한용운과 타고르의 관계
2)한용운 시의 산문성
3)한용운 시의 역설
Ⅲ. 결론
Ⅱ. 본론
1. 생애
2. 한용운의 민족사상
3. 한용운의 불교사상
4. 한용운의 작품성향
1)한용운과 타고르의 관계
2)한용운 시의 산문성
3)한용운 시의 역설
Ⅲ. 결론
본문내용
표현 효과보다도 훨씬 중요한 역설의 기능은, 그것이 독자로 하여금 시의 의미를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그리하여 그것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는 데 있다. 그 이유는 역설의 그 모순 된 표현이 우리의 의식 속에 어째서 그런 모순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강하게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한용운의 시「복종」의 경우도 '복종하고 싶은데 복종하는 것은 아름다운 자유보다도 달콤합니다'라는 역설은 바로 그러한 의문을 촉발하는 표현이 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스스로 풀어야 할 의문이다. 그리하여 생각을 거듭한 끝에 우리는 지극한 사랑, 아니 절대적인 사랑에 있어서는 복종이 자유보다 훨씬 가치 있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이러한 깨달음은 진리의 새로운 발견이라 할 수 있다. 그것도 단순한 진리가 아니라 상식을 초월한 신비롭고 차원 높고 따라서 복합적 내포를 갖는 진리인 것이다. 종교나 철학의 영역에서는 그렇게 표현되는 진리가 많다. '있음이 곧 없음이요, 없음이 곧 있음이다[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라는 불교의 가르침과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는 위로함을 받을 것'이라는 성경의 한 구절도 역설로 표현된 종교적 진리이다. 한용운의 시에 많은 역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그가 불교의 큰 승려였다는 사실과 깊은 관련을 갖는 현상이라 하겠다. 이형기 (동국대 국문과 교수, 시인)「문학 사상」
Ⅲ. 결론
지금까지 한용운의 시적 경향과 그의 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사상에 대해서는 자립사상과 진보사상 그리고 민중불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의 시적경향은 타고르의 영향과 산문성과 역설에 관해 다루었다.
한용운은 시인으로서 독립운동가로서 종교가로서 우리에게 기억될만한 생애를 살아왔다. 그의 사상을 단지 울리는 메아리가 아닌 행동으로서 실천했기에 더욱 가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특히 불교계를 중심으로) 긍정적으로 치우쳐 평가한 부분도 적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문론 그의 사상적 깊이와 시적 가치를 인정하고 높이 평가할 부분에 대해서는 그렇게 해야 마땅하다. 그간의 연구가 그의 긍정적인 부분에 집중하여왔다는 점을 감안하여 말하자면 최근 파괴를 외치며 유신을 주장한 그의 주장이 긍정적이기만 한 것인가 또는 {불교유신론} 에서 제기한 제안들이 당시에 사회적 현실에 비해 불교계에 한정된 것은 아니였는지와 같은 그의 현실인식과 대응의 방식에 대해서 비판적인 관점에서 문제제기가 일어나는 것도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학동,「현대근대시인의 연구1」,일조각, 1974
김광식 「한용운의 민족의식과 {조선불교유신론}」2002.2
신동욱 「한용운의 생애와 문학」에서 〈선과 인생〉(《불교》 92호, 1932. 2)
만해 한용운 선생 해적이, 《나라사랑》제 2집 1971. 148면
한용운 「조선불교유신론」해동서관 1913
한용운 《님의침묵》1926
최동호「사랑과 혁명의 아우라 한용운」2001.1
이형기 (동국대 국문과 교수, 시인)「문학 사상」
다른 말로 하면 이러한 깨달음은 진리의 새로운 발견이라 할 수 있다. 그것도 단순한 진리가 아니라 상식을 초월한 신비롭고 차원 높고 따라서 복합적 내포를 갖는 진리인 것이다. 종교나 철학의 영역에서는 그렇게 표현되는 진리가 많다. '있음이 곧 없음이요, 없음이 곧 있음이다[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라는 불교의 가르침과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는 위로함을 받을 것'이라는 성경의 한 구절도 역설로 표현된 종교적 진리이다. 한용운의 시에 많은 역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그가 불교의 큰 승려였다는 사실과 깊은 관련을 갖는 현상이라 하겠다. 이형기 (동국대 국문과 교수, 시인)「문학 사상」
Ⅲ. 결론
지금까지 한용운의 시적 경향과 그의 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사상에 대해서는 자립사상과 진보사상 그리고 민중불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의 시적경향은 타고르의 영향과 산문성과 역설에 관해 다루었다.
한용운은 시인으로서 독립운동가로서 종교가로서 우리에게 기억될만한 생애를 살아왔다. 그의 사상을 단지 울리는 메아리가 아닌 행동으로서 실천했기에 더욱 가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특히 불교계를 중심으로) 긍정적으로 치우쳐 평가한 부분도 적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문론 그의 사상적 깊이와 시적 가치를 인정하고 높이 평가할 부분에 대해서는 그렇게 해야 마땅하다. 그간의 연구가 그의 긍정적인 부분에 집중하여왔다는 점을 감안하여 말하자면 최근 파괴를 외치며 유신을 주장한 그의 주장이 긍정적이기만 한 것인가 또는 {불교유신론} 에서 제기한 제안들이 당시에 사회적 현실에 비해 불교계에 한정된 것은 아니였는지와 같은 그의 현실인식과 대응의 방식에 대해서 비판적인 관점에서 문제제기가 일어나는 것도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학동,「현대근대시인의 연구1」,일조각, 1974
김광식 「한용운의 민족의식과 {조선불교유신론}」2002.2
신동욱 「한용운의 생애와 문학」에서 〈선과 인생〉(《불교》 92호, 1932. 2)
만해 한용운 선생 해적이, 《나라사랑》제 2집 1971. 148면
한용운 「조선불교유신론」해동서관 1913
한용운 《님의침묵》1926
최동호「사랑과 혁명의 아우라 한용운」2001.1
이형기 (동국대 국문과 교수, 시인)「문학 사상」
키워드
추천자료
최치원,이황사상중심의 한국사상의 특성
장자의 사상
한국사상과 법철학의 과제
척불의 시련에 놓인 불교문학
[불교] 불교의 성립과 전개에 관하여
중국의 철학사상사
만해 한용운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철학(정약용 사상)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개요,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기관 국학(태학감), 신라교육(신...
공자사상의현대적의의
묵시사상, 유대교4종파, 디아스포라, 예수비유, 유대전쟁과 예루살렘 파괴, 식탁교제, 유대교...
공자의 시대, 역사, 생애, 핵심사상, 논어에 들어있는 핵심적인 사상, 논어에서의 배울점, 변...
동양사상과 생태주의에 관해
신선사상(神仙思想)에 대한 소고 - 신선사상의 본류문제와 조류, 신선의 도통의 경지와 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