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예술 개념의 시대적 변천
○ 예술의 초기 개념
○ 근대에서의 변형
○ 현재의 상황
◆ 예술적 창조성의 해석에 대한 시대적 변천
○ 고대인들의 견해
○ 중세 기독교 시대
○ 르네상스 시대
○ 근대 후기와 현대
◆ 예술의 본질에 대한 시대별 주요 견해
○ 고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중세: 플로티노스, 아우구스티누스
○ 근대: 임마누엘 칸트, 프리드리히 헤겔
○ 현대: 베네디토 크로체, 마르틴 하이데거, 테오돌 아도르노, 자크 데리다
○ 예술의 초기 개념
○ 근대에서의 변형
○ 현재의 상황
◆ 예술적 창조성의 해석에 대한 시대적 변천
○ 고대인들의 견해
○ 중세 기독교 시대
○ 르네상스 시대
○ 근대 후기와 현대
◆ 예술의 본질에 대한 시대별 주요 견해
○ 고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중세: 플로티노스, 아우구스티누스
○ 근대: 임마누엘 칸트, 프리드리히 헤겔
○ 현대: 베네디토 크로체, 마르틴 하이데거, 테오돌 아도르노, 자크 데리다
본문내용
, 논리적 인식도 아니기에 개념적 진리를 전달하는 상징이나 알레고리 등도 제외시킴
* 마지막으로 직관은 감각이 아니므로 감각적 쾌락주의나 외관을 감각적으로 모사하는 자연주의적 모방도 제외함으로서 예술의 본질이 형식주의적인 순수예술, 즉 현대적 모더니즘 예술에 있음을 시사
- 하이데거의 견해: 사물의 은폐된 참모습의 재현
* 하이데거에게 예술적 진리란 사물의 감추어지지 않은 참모습, 즉 그리스인들이 '비은폐성'이라고 표현한 '알레테이아'(aletheia)를 의미
* 그는 고호의 '구두' 그림 해설을 통해 구두라는 존재자의 더 근원적인 모습, 즉 대지의 풍요로움과 들길의 고독, 구두 주인의 고달픈 삶 등을 보여줌으로서 은폐되어있다 갑자기 드러난 사물의 알레테이아를 예시
* 이리하여 하이데거는 예술의 본질이 숨어있던 존재의 진리를 작품을 통해 언뜻언뜻 드러내어 우리에게 잊혀진 존재 체험을 불러일으키며 '존재망각'의 상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데 있다고 봄
- 아도르노의 견해: 가상의 파괴와 현존을 통한 사회비판
* 아도르노에게 있어 현대예술은 현실의 추함과 부조리함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어야 하기에 있지도 않는 '아름다운 가상'의 재현은 기만으로 받아들여짐
* 비인간적이고 모든 것을 획일화하려는 동일성의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사회로부터 자신의 개별성과 고유성을 지키려는 비판적 他者로 머물면서 끝없이 자신을 혁신하려는데 예술의 본질이 내재한다고 여김
* 다른 한편으로 부정의 미학 개념 속에 유토피아를 그리지 않고 그저 존재하는 현실의 단편, 즉 밤하늘의 불꽃처럼 순간적으로 나타나 금방 사라지는 '현현'(apparition)을 제시하는데 그 본질적 의미가 있다고 봄
- 데리다의 견해: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제공
* 데리다는 하나의 예술 작품에 최종적 해석이 있고, 누군가가 그 진리를 독점할 수 있다는 믿음을 거부함
* 중요한 것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어 이러한 창조적 놀이가 무한히 계속되게 하는데 있고, 이 놀이場 속에 예술적 진리도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김
* 다시 말해 여러 해석자와의 만남 속에 새로운 세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을 생성해내는 예술 작품의 끊임없는 미적 창조력, 바로 여기에서 예술의 본질을 발견할 수도 있다는 것임
<참고 문헌>
- W. 타타르키비츠, "미학의 기본 개념사" (손효주 역), 미술문화, 1999, pp. 13~70, 297~349, 362~417
- 진중권,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pp. 5~143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1", 새길, 2001, pp. 76~89, 97~127, 227~239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2", 휴머니스트, 2003, pp. 79~87, 105~117, 161~171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3", 휴머니스트, 2003, pp. 113~157, 177~191,
- 진중권, "앙겔루스 노부스". 아웃사이더, 2003, pp. 30~48, 192~201
- 박정자, "빈센트의 구두", 기파랑, 2005, pp. 5~14, 107~153
* 마지막으로 직관은 감각이 아니므로 감각적 쾌락주의나 외관을 감각적으로 모사하는 자연주의적 모방도 제외함으로서 예술의 본질이 형식주의적인 순수예술, 즉 현대적 모더니즘 예술에 있음을 시사
- 하이데거의 견해: 사물의 은폐된 참모습의 재현
* 하이데거에게 예술적 진리란 사물의 감추어지지 않은 참모습, 즉 그리스인들이 '비은폐성'이라고 표현한 '알레테이아'(aletheia)를 의미
* 그는 고호의 '구두' 그림 해설을 통해 구두라는 존재자의 더 근원적인 모습, 즉 대지의 풍요로움과 들길의 고독, 구두 주인의 고달픈 삶 등을 보여줌으로서 은폐되어있다 갑자기 드러난 사물의 알레테이아를 예시
* 이리하여 하이데거는 예술의 본질이 숨어있던 존재의 진리를 작품을 통해 언뜻언뜻 드러내어 우리에게 잊혀진 존재 체험을 불러일으키며 '존재망각'의 상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데 있다고 봄
- 아도르노의 견해: 가상의 파괴와 현존을 통한 사회비판
* 아도르노에게 있어 현대예술은 현실의 추함과 부조리함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어야 하기에 있지도 않는 '아름다운 가상'의 재현은 기만으로 받아들여짐
* 비인간적이고 모든 것을 획일화하려는 동일성의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사회로부터 자신의 개별성과 고유성을 지키려는 비판적 他者로 머물면서 끝없이 자신을 혁신하려는데 예술의 본질이 내재한다고 여김
* 다른 한편으로 부정의 미학 개념 속에 유토피아를 그리지 않고 그저 존재하는 현실의 단편, 즉 밤하늘의 불꽃처럼 순간적으로 나타나 금방 사라지는 '현현'(apparition)을 제시하는데 그 본질적 의미가 있다고 봄
- 데리다의 견해: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제공
* 데리다는 하나의 예술 작품에 최종적 해석이 있고, 누군가가 그 진리를 독점할 수 있다는 믿음을 거부함
* 중요한 것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어 이러한 창조적 놀이가 무한히 계속되게 하는데 있고, 이 놀이場 속에 예술적 진리도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김
* 다시 말해 여러 해석자와의 만남 속에 새로운 세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을 생성해내는 예술 작품의 끊임없는 미적 창조력, 바로 여기에서 예술의 본질을 발견할 수도 있다는 것임
<참고 문헌>
- W. 타타르키비츠, "미학의 기본 개념사" (손효주 역), 미술문화, 1999, pp. 13~70, 297~349, 362~417
- 진중권,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pp. 5~143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1", 새길, 2001, pp. 76~89, 97~127, 227~239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2", 휴머니스트, 2003, pp. 79~87, 105~117, 161~171
-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3", 휴머니스트, 2003, pp. 113~157, 177~191,
- 진중권, "앙겔루스 노부스". 아웃사이더, 2003, pp. 30~48, 192~201
- 박정자, "빈센트의 구두", 기파랑, 2005, pp. 5~14, 107~153
추천자료
초등학생들의 오개념 분석(태양의 고도에 따른 기온의 변화 도입실험에서...)
지식개념의 변화와 미래의 교육
건강 개념의 변화
(A+자료) 공공극장의 공익성과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극장운영의 방향 - 예술의 전당의 사례를 ...
[가족][가족 개념][가족 유형][가족 형태][가족 기능][가족 성격][가족 목표][가족 변화][가...
[몸(신체), 몸(신체) 개념, 몸(신체) 뇌세포, 몸(신체) 신경계, 몸(신체) 대사과정, 몸(신체)...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용어와 개념 및 사회복지 개념의 변화, 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조직변화(組織變化)의 개념에 대해 설명
[가족생활교육] 가족의 이해 - 가족, 가족의 개념, 가정의 개념, 가정생활의 개념, 가구와 가...
보육의 최근 개념을 설명하고, 그와는 다르게 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보육의 개념을 변화된 현...
정치 활동과 문화 [정치인류학 정의, 정치 기본개념, 시대별 정치, 고대정치, 중세정치, 근대...
건강의 개념과 정의, 건강개념의 변화,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건강과 생활방식, 건강행위...
사회복지 개념의 변화
사회복지의 개념정의(사회복지의 언어적 의미 기능적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개념의 변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