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이원론을 믿는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봉호,강영안 옮김, <몸,영혼,정신> ,서광사,1997,26쪽 이 부분을 인간의 과학이 풀 수 있을까? 아직까지 그러하지 못했기 때문에 영혼은 인간에게 믿음의 영역으로 존재해 왔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근 철학은 이 같은 영혼의 영역을 부정하기 시작했다. 인간은 오로지 생물학적인 존재로서 두뇌와 두뇌의 지시를 따르는 육체가 존재할 뿐이다. 그들에겐 영혼의 고귀함도 영혼과 몸의 일치도 있을 수 없다. 이들의 말은꾀나 설득력을 지니고 있으나, 이것으로 인간의 정신을 설명하려 함에는 부족하다. 이러한 것의 출발이 부수현상론이 아닐까 한다. 인간의 마음을 설명으로 이해하려 하지 않고 인간의 특질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인간은 마음과 영혼을 믿으며 그것으로 스스로의 가치를 실현하려 한다. 어찌 보면 심신 이원론은 인간에 대한 하나의 연구가 아니었다. 그것은 다만,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노력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중앙대학교 출판부, <철학의 이해>, 철학교재 편찬위원회, 2002
C.A.반 퍼슨, <몸,영혼, 정신>, 손봉호,강영안 옮김, 서광사, 1985
김재권, <심리철학>, 하종호,김선희 옮김, 철학과 현실사, 199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0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