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작품도 여러 작품 중 하나의 항일혁명투쟁기에 쓰여진 소설일 수밖에 없다.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북한문학은 남한의 창의성, 순수성과는 대조되는 집단창작성, 교화성의 과정에서 발전해왔다. 우리의 사상으로 그들의 문학을 평가하기에는 역부족인 면이 많지만 과거 사회에서의 여성문제, 교훈과 감동, 민중들에게 가까이 다가간 측면은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서 분단으로 인해 이질적인 문학양상을 서로 빨리 이해하고 ‘피바다’ 와 같은 작품을 민족문학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 끝으로... >
‘민중의 바다’ 라는 한국에서 발표된 원제목을 사용하지 않고 ‘피바다’ 라고 한 이유는 책을 읽어가면서 인민들이 느꼈던 분노와 슬픔이 내 머리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강하게 맴돌았기 때문이다. 글을 쓰면서 내 생각을 넣되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서술하였다.
처음 북한 문학을 배울 때는 매우 딱딱하게 생각을 해서 흥미를 가지지 못했는데 강의를 계속 들으면서 그런 고정관념은 깨어졌다. 지금은 서로의 이데올로기 차이로 인해 다른 길을 걷고 있는 남한과 북한이지만, 하루 빨리 통일이 되어 대한민국의 문학을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북한문학은 남한의 창의성, 순수성과는 대조되는 집단창작성, 교화성의 과정에서 발전해왔다. 우리의 사상으로 그들의 문학을 평가하기에는 역부족인 면이 많지만 과거 사회에서의 여성문제, 교훈과 감동, 민중들에게 가까이 다가간 측면은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서 분단으로 인해 이질적인 문학양상을 서로 빨리 이해하고 ‘피바다’ 와 같은 작품을 민족문학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 끝으로... >
‘민중의 바다’ 라는 한국에서 발표된 원제목을 사용하지 않고 ‘피바다’ 라고 한 이유는 책을 읽어가면서 인민들이 느꼈던 분노와 슬픔이 내 머리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강하게 맴돌았기 때문이다. 글을 쓰면서 내 생각을 넣되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서술하였다.
처음 북한 문학을 배울 때는 매우 딱딱하게 생각을 해서 흥미를 가지지 못했는데 강의를 계속 들으면서 그런 고정관념은 깨어졌다. 지금은 서로의 이데올로기 차이로 인해 다른 길을 걷고 있는 남한과 북한이지만, 하루 빨리 통일이 되어 대한민국의 문학을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
추천자료
굿에대하여
남북한 국가의 성립
독일통일과 한국의 통일정책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경애의 `인간문제`에 나타난 지식인상에 대한 고찰
선군정치의 등장과 기능
한국의 시민사회-경실련과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선군정치와 주체사상의 관계
대남정책의 특징과 문제
냉전과 현실사회주의의 변질 - 왜 사회주의는 국가자본주의가 될 수밖에 없었나
[한국전쟁][6 25전쟁][남북통일][남북분단][전쟁]한국전쟁(6 25전쟁)의 배경, 한국전쟁(6 25...
정희성의 저문 강에 삽을 씻고
공산주의와학살
[통일교육][제7차교육과정][유치원교육과정][통일교육 지도방법]통일교육의 의미, 통일교육의...
김일성 개인숭배의 배경과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