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조직의 개념
2. 조직의 원리
3. 조직의 유형
4. 조직의 형태
5.우리나라의 교육행정조직
2. 조직의 원리
3. 조직의 유형
4. 조직의 형태
5.우리나라의 교육행정조직
본문내용
하며, 교육관계 법령과 대통령의 지시, 명령 및 국무회의의 결정에 따라 국가의 교육에 관한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최고의 교육행정기관.
2) 지방교육자치제
가.교육자치제의 개념과 원리
a.개념 - 지방교육행정조직이란 지방의 교육행정을 위한 전반적인 조직과 구조를 의미하며, 교육자치제는 분권주의에 입각하여 일반행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교육행정의 전문성과 자주성을 확보하려는 제도.
b.원리 - ①지방분권의 원리 ②주민통제의 원리 ③자주성 존중의 원리 ④ 전문적 관리의 원리
나.교육자치제의 발전
제1단계 - 준비기로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2년 교육자치제 실시 이전까지
제2단계 - 시,도 단위의 자치기로서 1952년 교육자치제의 발족 이후 1961년 5월 군사혁명까지
제3단계 - 정체기로 1961년 군사혁명 이후 1963년까지 교육자치제가 일시 정지 되었던 시기
제4단계 - 1964년 시,도단위의 교육자치제가 부활되어 1991년 새로운 교육자치제가 탄생될 때까지
제5단계 - 1991년 3월 8일 교육자치제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이후 현행교육자치제가 새롭게 출발한 이후.
다.현행 교육자치제 - 합의제 집행기관이었던 교육위원회를 의결기관으로 하고 교육감을 집행기관으로 하는 시,도단위의 광역 지방교육자치제로 발전.
a.교육위원회 : 교육위원회는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관.
b.교육감 : 시 및 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를 집행하는 집행기관.
c.지방교육재정 :
d.지도와 감독 : 교육부장관은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에 대하여 조언 또는 권고하거나 지도할 수 있다.
2) 지방교육자치제
가.교육자치제의 개념과 원리
a.개념 - 지방교육행정조직이란 지방의 교육행정을 위한 전반적인 조직과 구조를 의미하며, 교육자치제는 분권주의에 입각하여 일반행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교육행정의 전문성과 자주성을 확보하려는 제도.
b.원리 - ①지방분권의 원리 ②주민통제의 원리 ③자주성 존중의 원리 ④ 전문적 관리의 원리
나.교육자치제의 발전
제1단계 - 준비기로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2년 교육자치제 실시 이전까지
제2단계 - 시,도 단위의 자치기로서 1952년 교육자치제의 발족 이후 1961년 5월 군사혁명까지
제3단계 - 정체기로 1961년 군사혁명 이후 1963년까지 교육자치제가 일시 정지 되었던 시기
제4단계 - 1964년 시,도단위의 교육자치제가 부활되어 1991년 새로운 교육자치제가 탄생될 때까지
제5단계 - 1991년 3월 8일 교육자치제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이후 현행교육자치제가 새롭게 출발한 이후.
다.현행 교육자치제 - 합의제 집행기관이었던 교육위원회를 의결기관으로 하고 교육감을 집행기관으로 하는 시,도단위의 광역 지방교육자치제로 발전.
a.교육위원회 : 교육위원회는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관.
b.교육감 : 시 및 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를 집행하는 집행기관.
c.지방교육재정 :
d.지도와 감독 : 교육부장관은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에 대하여 조언 또는 권고하거나 지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