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과 성무선악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맹자의 성선설
2. 고자의 성무선악설
3. 맹자와 고자의 논쟁
4. 나의 견해

본문내용

의 주장에 타당성을 부여해 주는 이론이 있다. 바로 정약용의 ‘인성론’이다. 정약용은 인간의 품성을 기호로 파악하는 성기호설을 주장했는데 인간의 자율적인 선악판단과 실천의지를 중시했으며, 덕도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끝으로, 나는 고자와 맹자의 논쟁 중 누가 옳고, 그름을 떠나서 고자의 ‘성무성악설’이 더 희망적이고 꼭 필요한 주장인 것 같다. 나쁘고 그릇된 성품을 옳고 바르게 바꿀 수 있다면 원래 착한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결론적으로는 둘 다 착한사람이지 않는가?
또한, 고자의 주장은 교육의 힘을 의지하고 믿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 출처 >
맹자의 성선설... 도서출판 새날 - '지혜를 얻는 철학여행' (안재훈 지음)
고자의 성무선악설... http://cafe.daum.net/studymoral
맹자와 고자의 논쟁... http://www.seomira.pe.kr/~mira/
http://cafe.daum.net/dguphilo
http://blog.daum.net/tyong69/1869691
http://myhome.shinbiro.com/~sellars/we41.htm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0.3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