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핵심기출문제 정답
2. 핵심기출문제 정답
본문내용
편지- 便紙
⑤ 명령- 命今
9. 다음 글자를 자전에서 부수로 찾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① 難
② 螢
③ 將
④ 釋
⑤ 晝
10. 음이 ‘빈’인 한자는?
① 勉
② 益
③ 溫
④ 就
⑤ 貧
11. 보기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生死(□↔□)
① 溫水
② 中止
③ 晝夜
④ 意志
⑤ 方法
12. 다음 중,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가 아닌 것은?
① 身
② 心
③ 安
④ 生
⑤ 貝
13. 부수가 바르게 된 것은?
① 弱→弓
② 全→王
③ 命→
④ 視→示
⑤ 藥→木
14. 다음 끝말 잇기에서 □ 안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글자는?
安全→全□→□重→重視
① 部
② 國
③ 力
④ 體
⑤ 用
15. 한자의 뜻이 맞는 것은?
① 患 : 충성
② 着 : 보다
③ 弟 : 차례
④ 球 : 구하다
⑤ 特 : 특별하다
16. 총획수를 이용하여 자전을 찾으려 한다. 가장 나중에 나오게 될 한자는?
① 韓
② 醫
③ 體
④ 處
⑤ 應
17. 다음 중, 한자어의 음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守則-수직
② 讓步-양지
③ 秩序-실직
④ 淸潔-청소
⑤ 助長-조장
18. 다음 밑줄친 ‘之’의 쓰임이 다른 것은?
① 靑雲之志
② 難上之木
③ 天地之間
④ 螢雪之功
⑤ 人之所欲
19. 다음 중 밑줄친 한자가 잘못 풀이된 것은?
① 是非-이것
② 殺生-죽이다
③ 同苦-같이하다
④ 嚴守-지키다
⑤ 改善-좋다
20. 다음 뜻과 음에 맞는 한자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시간 음-陰
② 현재 현-賢
③ 만약 약-苦
④ 가난할 빈-實
⑤ 낮 주-書
21. ‘將’의 부수는?
① 片
② ㅣ
③ 一
④ 月
⑤ 寸
22. 다음에 제시된 한자어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 것은?
開卷有 益 , 手不釋卷, 晝耕夜讀
① 善行
② 孝道
③ 交友
④ 正直
⑤ 勉學
23. ‘現’과 결합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現金
② 現大
③ 現實
④ 現場
⑤ 現地
24. 보기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聞一知十
① 日就月將
② 明若觀火
③ 晝耕夜讀
④ 溫故知新
⑤ 螢雪之功
25. 한자의 음이 서로 같지 않은 것은?
① 全…展
② 弱…藥
③ 急…及
④ 看…間
⑤ 重…增
26. ‘處方’에서 ‘方’의 뜻은?
① 모
② 방향
③ 집
④ 방법
⑤ 바야흐로
27. 다음 문장에 쓰인 한자어가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나는 醫士가 되는 것이 꿈이다.
② 승훈이네 아버지는 木手이시다.
③ 그 사고로 많은 死傷者가 생겼다.
④ 救急車가 응급 환자를 싣고 병원으로 달려갔다.
⑤ 핵가족화가 되면서 看病人을 구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28. 다음 글의 밑줄친 부분과 뜻이 통할 수 있는 한자 성어는?
중국 진(晉)나라 차윤(車胤)이 불 밝힐 기름을 얻을 수 없을 만큼 가난하여 여름철에는 반딧불 빛에 책을 읽어, 후에 벼슬이 상서랑에 이르렀다. 또, 진(晉)나라 손강(孫康)도 가난하여 기름을 구할 수 없자 흰 눈빛에 책을 읽어, 후에 벼슬이 어사 대부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세상사람들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공부하여 출세하면 이들을 거론하곤 했다.
① 敎學相長
② 螢雪之功
③ 學如不及
④ 開卷有益
⑤ 大器晩成
29. 다음 ‘日就月將’에서 밑줄친 ‘將’의 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장수
② 장차
③ 나아가다
④ 물러나다
⑤ 기쁘다
30. 다음 밑줄친 부분을 한자어로 옮길 때, 잘못된 것은?
우리 나라의 경제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서로 ㉢협조해야 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 신경제의 기본 방향이다.
① ㉠ : 進入
② ㉡ : 老師
③ ㉢ : 協調
④ ㉣ : 品質
⑤ ㉤ : 改善
31. 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長 □力 內□ 扶□
① 守
② 校
③ 協
④ 助
⑤ 外
32. 다음 □안에 한자를 넣어 한자어를 완성하고자 할 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現□←□→□學
① 在
② 立
③ 日
④ 不
⑤ 知
핵심 기출문제 정답
1. ⑤
新(신) : 새롭다
親(친) : 친하다
2. ②
實(실) : 실행하다
復(부) : 다시
易(역) : 바꾸다
布(포) : 펴다
省(성) : 생각하다.
3. ①
者의 쓰임
① ~하는 사람
② ~하는 것
③ ~하는 곳
4. ③
① 순접 : ~하고, ~해서
② 역접 : ~하나, ~하여도
5. ④
6. ②
한자의 음과 뜻
書(서) : 글
晝(주) : 낮
畵(화) : 그림
7. ①
‘易’의 독음
易-┏(이) : 쉽다
┗(역) : 바꾸다.
8. ④
9. ③
부수
①
②
③ 寸
④ 采
⑤ 日
10. ⑤
貧<貝 4>빈 : 가난하다
11. ③
晝夜 : 낮과 밤
12. ③
‘安’은 뜻과 뜻을 더해 만든 ‘회의자’이다.
13. ①
視→見, 命→口
14. ④
‘全’과 ‘重’ 두 글자와 모두 어울려 단어가 될 수 있는 글자를 찾아본다.
15. ⑤
┏ 患 : 근심 환
┗ 忠 : 충성 충
┏ 弟 : 아우 제
┗ 第 : 차례 제
┏ 球 : 공 구
┗ 救 : 구하다 구
16. ③
韓 : 17획, 醫 : 18획, 處 : 11획
17. ⑤
① 수칙
② 양보
③ 질서
④ 청결
⑤ 조장
18. ⑤
① 푸른 구름의 뜻
② 오르기 어려운 나무
③ 천지의 차이
④ 형설의 공
⑤ 인간이 하고자 하는 바
19. ①
① 시비
② 살생
③ 동고
④ 엄수
⑤ 개선
20. ①
② 현재 현(現)
③ 만약 약(若)
④ 가난할 빈(貧)
⑤ 낮 주(晝)
21. ⑤
장(將) : 나아가다, 장수
22. ⑤
제시된 성어는 모두 배움에 힘쓰기를 권하고 있다.
23. ②
‘지금 이 시대’라는 뜻에는 ‘대신할 대(代)’가 쓰인다.
24. ④
聞一知十
2 1 4 3
25. ⑤
增 : 더하다 증
26. ④
‘方’에는 ‘모, 방위, 방법, 바야흐로’ 등의 뜻이 있다.
27. ①
사람을 나타내는 한자가 바르게 쓰였는지 살펴보자.
간병인 : 환자를 돌보는 사람.
28. ②
한자성어
① 교학상장
② 형설지공
③ 학여불급
④ 개권유익
⑤ 대기만성
29. ③
한자의 여러 가지 뜻
將 ┏ 장수 : 將軍(장군)
┃ 장차 : 將來(장래)
┗ 나아가다 : 月將(월장)
30.②
勤勞者와 使用者의 줄인 말→勞使
31. ④
조장, 조력, 내조, 부조
32. ①
⑤ 명령- 命今
9. 다음 글자를 자전에서 부수로 찾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① 難
② 螢
③ 將
④ 釋
⑤ 晝
10. 음이 ‘빈’인 한자는?
① 勉
② 益
③ 溫
④ 就
⑤ 貧
11. 보기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生死(□↔□)
① 溫水
② 中止
③ 晝夜
④ 意志
⑤ 方法
12. 다음 중,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가 아닌 것은?
① 身
② 心
③ 安
④ 生
⑤ 貝
13. 부수가 바르게 된 것은?
① 弱→弓
② 全→王
③ 命→
④ 視→示
⑤ 藥→木
14. 다음 끝말 잇기에서 □ 안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글자는?
安全→全□→□重→重視
① 部
② 國
③ 力
④ 體
⑤ 用
15. 한자의 뜻이 맞는 것은?
① 患 : 충성
② 着 : 보다
③ 弟 : 차례
④ 球 : 구하다
⑤ 特 : 특별하다
16. 총획수를 이용하여 자전을 찾으려 한다. 가장 나중에 나오게 될 한자는?
① 韓
② 醫
③ 體
④ 處
⑤ 應
17. 다음 중, 한자어의 음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守則-수직
② 讓步-양지
③ 秩序-실직
④ 淸潔-청소
⑤ 助長-조장
18. 다음 밑줄친 ‘之’의 쓰임이 다른 것은?
① 靑雲之志
② 難上之木
③ 天地之間
④ 螢雪之功
⑤ 人之所欲
19. 다음 중 밑줄친 한자가 잘못 풀이된 것은?
① 是非-이것
② 殺生-죽이다
③ 同苦-같이하다
④ 嚴守-지키다
⑤ 改善-좋다
20. 다음 뜻과 음에 맞는 한자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시간 음-陰
② 현재 현-賢
③ 만약 약-苦
④ 가난할 빈-實
⑤ 낮 주-書
21. ‘將’의 부수는?
① 片
② ㅣ
③ 一
④ 月
⑤ 寸
22. 다음에 제시된 한자어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 것은?
開卷有 益 , 手不釋卷, 晝耕夜讀
① 善行
② 孝道
③ 交友
④ 正直
⑤ 勉學
23. ‘現’과 결합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現金
② 現大
③ 現實
④ 現場
⑤ 現地
24. 보기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聞一知十
① 日就月將
② 明若觀火
③ 晝耕夜讀
④ 溫故知新
⑤ 螢雪之功
25. 한자의 음이 서로 같지 않은 것은?
① 全…展
② 弱…藥
③ 急…及
④ 看…間
⑤ 重…增
26. ‘處方’에서 ‘方’의 뜻은?
① 모
② 방향
③ 집
④ 방법
⑤ 바야흐로
27. 다음 문장에 쓰인 한자어가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나는 醫士가 되는 것이 꿈이다.
② 승훈이네 아버지는 木手이시다.
③ 그 사고로 많은 死傷者가 생겼다.
④ 救急車가 응급 환자를 싣고 병원으로 달려갔다.
⑤ 핵가족화가 되면서 看病人을 구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28. 다음 글의 밑줄친 부분과 뜻이 통할 수 있는 한자 성어는?
중국 진(晉)나라 차윤(車胤)이 불 밝힐 기름을 얻을 수 없을 만큼 가난하여 여름철에는 반딧불 빛에 책을 읽어, 후에 벼슬이 상서랑에 이르렀다. 또, 진(晉)나라 손강(孫康)도 가난하여 기름을 구할 수 없자 흰 눈빛에 책을 읽어, 후에 벼슬이 어사 대부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세상사람들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공부하여 출세하면 이들을 거론하곤 했다.
① 敎學相長
② 螢雪之功
③ 學如不及
④ 開卷有益
⑤ 大器晩成
29. 다음 ‘日就月將’에서 밑줄친 ‘將’의 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장수
② 장차
③ 나아가다
④ 물러나다
⑤ 기쁘다
30. 다음 밑줄친 부분을 한자어로 옮길 때, 잘못된 것은?
우리 나라의 경제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서로 ㉢협조해야 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 신경제의 기본 방향이다.
① ㉠ : 進入
② ㉡ : 老師
③ ㉢ : 協調
④ ㉣ : 品質
⑤ ㉤ : 改善
31. 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長 □力 內□ 扶□
① 守
② 校
③ 協
④ 助
⑤ 外
32. 다음 □안에 한자를 넣어 한자어를 완성하고자 할 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現□←□→□學
① 在
② 立
③ 日
④ 不
⑤ 知
핵심 기출문제 정답
1. ⑤
新(신) : 새롭다
親(친) : 친하다
2. ②
實(실) : 실행하다
復(부) : 다시
易(역) : 바꾸다
布(포) : 펴다
省(성) : 생각하다.
3. ①
者의 쓰임
① ~하는 사람
② ~하는 것
③ ~하는 곳
4. ③
① 순접 : ~하고, ~해서
② 역접 : ~하나, ~하여도
5. ④
6. ②
한자의 음과 뜻
書(서) : 글
晝(주) : 낮
畵(화) : 그림
7. ①
‘易’의 독음
易-┏(이) : 쉽다
┗(역) : 바꾸다.
8. ④
9. ③
부수
①
②
③ 寸
④ 采
⑤ 日
10. ⑤
貧<貝 4>빈 : 가난하다
11. ③
晝夜 : 낮과 밤
12. ③
‘安’은 뜻과 뜻을 더해 만든 ‘회의자’이다.
13. ①
視→見, 命→口
14. ④
‘全’과 ‘重’ 두 글자와 모두 어울려 단어가 될 수 있는 글자를 찾아본다.
15. ⑤
┏ 患 : 근심 환
┗ 忠 : 충성 충
┏ 弟 : 아우 제
┗ 第 : 차례 제
┏ 球 : 공 구
┗ 救 : 구하다 구
16. ③
韓 : 17획, 醫 : 18획, 處 : 11획
17. ⑤
① 수칙
② 양보
③ 질서
④ 청결
⑤ 조장
18. ⑤
① 푸른 구름의 뜻
② 오르기 어려운 나무
③ 천지의 차이
④ 형설의 공
⑤ 인간이 하고자 하는 바
19. ①
① 시비
② 살생
③ 동고
④ 엄수
⑤ 개선
20. ①
② 현재 현(現)
③ 만약 약(若)
④ 가난할 빈(貧)
⑤ 낮 주(晝)
21. ⑤
장(將) : 나아가다, 장수
22. ⑤
제시된 성어는 모두 배움에 힘쓰기를 권하고 있다.
23. ②
‘지금 이 시대’라는 뜻에는 ‘대신할 대(代)’가 쓰인다.
24. ④
聞一知十
2 1 4 3
25. ⑤
增 : 더하다 증
26. ④
‘方’에는 ‘모, 방위, 방법, 바야흐로’ 등의 뜻이 있다.
27. ①
사람을 나타내는 한자가 바르게 쓰였는지 살펴보자.
간병인 : 환자를 돌보는 사람.
28. ②
한자성어
① 교학상장
② 형설지공
③ 학여불급
④ 개권유익
⑤ 대기만성
29. ③
한자의 여러 가지 뜻
將 ┏ 장수 : 將軍(장군)
┃ 장차 : 將來(장래)
┗ 나아가다 : 月將(월장)
30.②
勤勞者와 使用者의 줄인 말→勞使
31. ④
조장, 조력, 내조, 부조
32.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