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핵심기출문제 정답
2. 핵심기출문제 정답
본문내용
: 캐다 채→採
③ 정애 : 깨끗하다 결→潔
④ 남주 : 재료 료→科
⑤ 현철 : 치다 벌→伐
26. 4자 성어의 짜임이 ‘□□|□□’로 목적어가 앞에 나온 것은?
① 生活下水
② 山林綠化
③ 再生活用
④ 淨化施設
⑤公害問題
27. 다음 문항에 쓰인 한자어가 바른 것은?
① 그는 끝까지 結白을 주장 하였다.
② 秋守 감사절엔 삶은 달걀을 먹었다.
③ 물건을 사고 나면 令收證을 꼭 받자.
④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공연이 取消되었다.
⑤ 지난 일요일에는 군대에 있는 형에게 面回를 갔었다.
28. ‘施’를 이용하여 만든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施工
② 施設
③ 都施
④ 實施
⑤ 施行
29.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收, 守, 受, 首
① 뜻이 같다.
② 총획수가 같다.
③ 음이 같다
④ 한자의 짜임이 같다
⑤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
30. 다음 중 밑줄 친 ‘於’의 공통적인 풀이로 알맞은 것은?
一年之計는 在於春이요, 一生之計는 在於勤이라
① ~의
② ~을(를)
③ ~에
④ ~보다
⑤ ~하면
31. 다음 속담이 강조하는 바를 잘 나타낸 것은?
來言不美면, 去言何美리오.
① 自由
② 言行
③ 經驗
④ 善惡
⑤ 信義
32. 다음 글의 밑줄친 부분과 가장 관련이 깊은 문장은?
엽전의 생긴 모양을 보면 구멍은 네모지고 사면은 둥글게 생겼도다. 둥글어 어디로든지 굴러다니지만 누구나 차지하지는 못하는 것이로다. 굴러가는 곳마다 반기지만 누구나 차지하지 못하여 조그마한 쇠붙이를 두고 머리가 터져 상처가 나도록 다투는구나!
① 己所不欲 勿施於人
② 與人同處 不可自擇便利
③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④ 見義不爲 無勇也
⑤ 日新 日日新 又日新
33. ‘欲速不達’과 관계 깊은 속담은?
① 세 살 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
②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③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④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⑤ 바쁘다고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쓰랴.
34. 풀이순서가 ‘立身揚名’과 같은 한자 성어는?
① 大器晩成
② 素質啓發
③ 自强不息
④ 欲速不達
⑤ 心性啓發
핵심 기출문제 정답
1. ⑤
① 안-가, ②제-치, ③ 유-성, ④ 노-사 ⑤ 권-권
2. ④
① 대립, ② 술목, ③ 유사, ④ 수식, ⑤ 유사
3. ②
① 정치, ② 경제, ③ 교육, ④ 문화, ⑤ 사회
4. ③
① 입신양명, ② 대기만성, ③ 욕속부달, ④ 자강불식, ⑤ 소질계발
5. ④
甲(갑) : 갑옷
晝(주) : 낮
科(과) : 조목, 과목
當(당) : 당당하다
6. ①
樂의 쓰임
① (요) : 좋아하다
② (락) : 즐겁다
③ (악) : 음악
7. ②
於乎 : 오호
8. ③
勤學(근학) 揚名(양명) 養成(양성) 和氣(화기)
9. ⑤
10. ④
欲<欠 7>욕 : 하고자 하다
11. ⑤
① 達(달) : 이루다
② 校(교) : 집, 학교
③ 正(정) : 바르다
④ 味(미) : 맛
12. ①
立身 : 몸을 세우다, 즉 성곡하다(술목관계)
13. ⑤
化→匕, 問→口
14. ①
‘休’는 회의자이다.
15. ④
수식 관계가 아닌 한자어를 찾을 것.
16. ⑤
‘주어+서술어’로 이루어진 한자어의 짜임을 찾는다.
17. ①
언론과 밀접한 한자어이다.
18. ④
만개, 속개, 개시, 개폐
19. ①
공정보도 : 공평하고 올바르게 알려 줌.
道 ┏①길…道路
┗②말하다…報道
20. ⑤
드러날 양
21. ③
쇠 철
22. ①
不<一 3>불 : 아니다.
23. ④
① 수식관계-유사관계
② 수식관계-술목관계
③ 수식관계-술목관계
⑤ 대립관계-대등관계
24. ②
어떤 대상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감정의 뜻에는 ‘맛 미(味)’가 쓰인다.
25. ④
비슷한 글자에 주의 할 것.
26. ②
‘~을 ~로 하다’로 해석되는 것을 찾아보자.
27. ④
먼저 한자어들을 해석해 보자.
28. ③
시공 : 공사를 실지로 행함
29. ③
收 : 支부 2획 首 : 제부수
30. ③
於 : ~에 ~에게
在於春 : 봄에 있다.
勿施於人 : 남에게 베풀지 말라.
31. ②
오는 말이 아름답지 않으면 가는 말이 어찌 아름답겠는가?
32. ③
①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
② 남과 같이 사는 데 있어서 자기가 편리한 것을 가려서는 안 된다.
③ 부와 귀, 이것은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다.
④ 의를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⑤ 하루가 새롭거든 나날이 새롭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33. ⑤
34. ④
③ 정애 : 깨끗하다 결→潔
④ 남주 : 재료 료→科
⑤ 현철 : 치다 벌→伐
26. 4자 성어의 짜임이 ‘□□|□□’로 목적어가 앞에 나온 것은?
① 生活下水
② 山林綠化
③ 再生活用
④ 淨化施設
⑤公害問題
27. 다음 문항에 쓰인 한자어가 바른 것은?
① 그는 끝까지 結白을 주장 하였다.
② 秋守 감사절엔 삶은 달걀을 먹었다.
③ 물건을 사고 나면 令收證을 꼭 받자.
④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공연이 取消되었다.
⑤ 지난 일요일에는 군대에 있는 형에게 面回를 갔었다.
28. ‘施’를 이용하여 만든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施工
② 施設
③ 都施
④ 實施
⑤ 施行
29.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收, 守, 受, 首
① 뜻이 같다.
② 총획수가 같다.
③ 음이 같다
④ 한자의 짜임이 같다
⑤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
30. 다음 중 밑줄 친 ‘於’의 공통적인 풀이로 알맞은 것은?
一年之計는 在於春이요, 一生之計는 在於勤이라
① ~의
② ~을(를)
③ ~에
④ ~보다
⑤ ~하면
31. 다음 속담이 강조하는 바를 잘 나타낸 것은?
來言不美면, 去言何美리오.
① 自由
② 言行
③ 經驗
④ 善惡
⑤ 信義
32. 다음 글의 밑줄친 부분과 가장 관련이 깊은 문장은?
엽전의 생긴 모양을 보면 구멍은 네모지고 사면은 둥글게 생겼도다. 둥글어 어디로든지 굴러다니지만 누구나 차지하지는 못하는 것이로다. 굴러가는 곳마다 반기지만 누구나 차지하지 못하여 조그마한 쇠붙이를 두고 머리가 터져 상처가 나도록 다투는구나!
① 己所不欲 勿施於人
② 與人同處 不可自擇便利
③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④ 見義不爲 無勇也
⑤ 日新 日日新 又日新
33. ‘欲速不達’과 관계 깊은 속담은?
① 세 살 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
②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③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④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⑤ 바쁘다고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쓰랴.
34. 풀이순서가 ‘立身揚名’과 같은 한자 성어는?
① 大器晩成
② 素質啓發
③ 自强不息
④ 欲速不達
⑤ 心性啓發
핵심 기출문제 정답
1. ⑤
① 안-가, ②제-치, ③ 유-성, ④ 노-사 ⑤ 권-권
2. ④
① 대립, ② 술목, ③ 유사, ④ 수식, ⑤ 유사
3. ②
① 정치, ② 경제, ③ 교육, ④ 문화, ⑤ 사회
4. ③
① 입신양명, ② 대기만성, ③ 욕속부달, ④ 자강불식, ⑤ 소질계발
5. ④
甲(갑) : 갑옷
晝(주) : 낮
科(과) : 조목, 과목
當(당) : 당당하다
6. ①
樂의 쓰임
① (요) : 좋아하다
② (락) : 즐겁다
③ (악) : 음악
7. ②
於乎 : 오호
8. ③
勤學(근학) 揚名(양명) 養成(양성) 和氣(화기)
9. ⑤
10. ④
欲<欠 7>욕 : 하고자 하다
11. ⑤
① 達(달) : 이루다
② 校(교) : 집, 학교
③ 正(정) : 바르다
④ 味(미) : 맛
12. ①
立身 : 몸을 세우다, 즉 성곡하다(술목관계)
13. ⑤
化→匕, 問→口
14. ①
‘休’는 회의자이다.
15. ④
수식 관계가 아닌 한자어를 찾을 것.
16. ⑤
‘주어+서술어’로 이루어진 한자어의 짜임을 찾는다.
17. ①
언론과 밀접한 한자어이다.
18. ④
만개, 속개, 개시, 개폐
19. ①
공정보도 : 공평하고 올바르게 알려 줌.
道 ┏①길…道路
┗②말하다…報道
20. ⑤
드러날 양
21. ③
쇠 철
22. ①
不<一 3>불 : 아니다.
23. ④
① 수식관계-유사관계
② 수식관계-술목관계
③ 수식관계-술목관계
⑤ 대립관계-대등관계
24. ②
어떤 대상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감정의 뜻에는 ‘맛 미(味)’가 쓰인다.
25. ④
비슷한 글자에 주의 할 것.
26. ②
‘~을 ~로 하다’로 해석되는 것을 찾아보자.
27. ④
먼저 한자어들을 해석해 보자.
28. ③
시공 : 공사를 실지로 행함
29. ③
收 : 支부 2획 首 : 제부수
30. ③
於 : ~에 ~에게
在於春 : 봄에 있다.
勿施於人 : 남에게 베풀지 말라.
31. ②
오는 말이 아름답지 않으면 가는 말이 어찌 아름답겠는가?
32. ③
①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
② 남과 같이 사는 데 있어서 자기가 편리한 것을 가려서는 안 된다.
③ 부와 귀, 이것은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다.
④ 의를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⑤ 하루가 새롭거든 나날이 새롭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33. ⑤
34.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