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위법한 쟁의행위에 대한 근로자 측의 민사 책임
Ⅲ. 위법한 쟁의행위에 대한 근로자의 형사 책임
Ⅳ. 징계 책임
Ⅴ. 사용자의 위법한 쟁의행위(직장폐쇄)의 민사책임
Ⅱ. 위법한 쟁의행위에 대한 근로자 측의 민사 책임
Ⅲ. 위법한 쟁의행위에 대한 근로자의 형사 책임
Ⅳ. 징계 책임
Ⅴ. 사용자의 위법한 쟁의행위(직장폐쇄)의 민사책임
본문내용
였다면 임금지급을 면했을 근로자이므로 파업 불참가자중 근로제공을 희망하는 근로자에게는 지급해야 한다. 파업 참가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임금 지급 의무가 없으므로(제44조제1항) 취업규칙, 단체협약에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이 경우에 지급 대상이 되지 않는다.
2) 지급해야 되는 임금의 범위
지급되어야 하는 임금의 범위에 대해서는 근로 기준법상의 휴업 수당의 범위 내에서 지급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위법한 쟁의행위로 인한 임금지급은 경영상의 귀책사유에 대한 휴업 수당과는 달리 집단적 노사관계로 인한 것 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법 행위 책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임금 전액을 지급해야 한다고 본다.
2. 제3자에 대한 책임
1) 거래 상대방에 대한 책임
사용자가 위법한 직장폐쇄로 인해 거래 상대방에 대하여 채무의 이행이 지체 되거나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불가능하게 한 때에는 사용자는 채무 불이행책임을 진다.
2) 일반 제 3자에 대한 책임
직장폐쇄의 위법성 여부는 경영내의 문제로서 원칙적으로는 일반 제3자에 대하서 불법행위 책임을 지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 폐쇄가 제 3자에게 직접적으로 위법하게 행하여진 경우에는 불법행위 책임을 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지급해야 되는 임금의 범위
지급되어야 하는 임금의 범위에 대해서는 근로 기준법상의 휴업 수당의 범위 내에서 지급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위법한 쟁의행위로 인한 임금지급은 경영상의 귀책사유에 대한 휴업 수당과는 달리 집단적 노사관계로 인한 것 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법 행위 책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임금 전액을 지급해야 한다고 본다.
2. 제3자에 대한 책임
1) 거래 상대방에 대한 책임
사용자가 위법한 직장폐쇄로 인해 거래 상대방에 대하여 채무의 이행이 지체 되거나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불가능하게 한 때에는 사용자는 채무 불이행책임을 진다.
2) 일반 제 3자에 대한 책임
직장폐쇄의 위법성 여부는 경영내의 문제로서 원칙적으로는 일반 제3자에 대하서 불법행위 책임을 지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 폐쇄가 제 3자에게 직접적으로 위법하게 행하여진 경우에는 불법행위 책임을 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해로 인한 불법행위의 책임
불법행위법 상의 책임- 과실책임, 무과실책임, 중간책임
아시아나 조종사 노조의 쟁의행위 및 이에대한 정부의 긴급조정 행사의 사례
쟁위행위의 정당성 및 간부책임 (판례평석)
아리스토텔레스의 행위의 책임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대한 법적 검토
단체교섭 거부와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법적 검토
[미성년자][미성년][미성년자(미성년) 매매춘][미성년자(미성년) 불법행위][청소년][청소년문...
[민사책임][책임][책임성][저작권침해][명예훼손][전산망운영][예측정보부실공시][불법쟁의]...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
미성년자의 불법행위능력 -미성년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책임
불법행위법상의 과실책임원칙의 수정
쟁의 행위
특수불법행위의 책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