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 스포츠교육 모형
1. 개요
2. 스포츠교육 모형의 기초
3. 교수*학습의 특징
4. 교사의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5. 스포츠교육 모형의 교수*학습 기준
6. 스포츠교육 모형에서의 학습평가
7. 스포츠교육 모형의 선정과 변형
8. 요약
1. 개요
2. 스포츠교육 모형의 기초
3. 교수*학습의 특징
4. 교사의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5. 스포츠교육 모형의 교수*학습 기준
6. 스포츠교육 모형에서의 학습평가
7. 스포츠교육 모형의 선정과 변형
8. 요약
본문내용
1. 개요
- 학생들이 스포츠 팀의 일원이 되어 시즌의 운영에 관한 모든 역할을 경험
- 직접교수, 협력적인 소집단 학습, 동료교수 등의 다각도적인 활용
-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팀 소속, 공정성, 에티켓, 전통, 감상, 전략, 가치, 구조 등 스포츠가 가진 총체적인 특성 학습
☞세가지 주요 목적(Sidentop)
- 유능한 스포츠인: 충분한 기술, 적절한 전략, 풍부한 경기지식을 가진 스포츠 참여자
- 박식한 스포츠인: 스포츠의 규칙, 의례, 전통을 이해하면서 스포츠 수행을 잘하는 사람
- 열정적인 스포츠인: 다양한 스포츠 문화를 보존하고 증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참여하는 스포츠 집단의 일원
☞10가지 학습 목표(Sidentop)
1) 특정 스포츠에 대한 기능과 체력의 발달
2) 스포츠 경기 전략의 이해와 수행
3) 발달 단계에 적합한 스포츠에 참여
4) 스포츠 경험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운영 방법의 결정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
5) 책임 있는 지도력 배양
6) 공동의 목적을 위한 집단 내의 효율적 참여
7) 각 스포츠 고유의 의례와 관습 수행
8) 스포츠 쟁점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발달
9) 경기심판, 훈련방법에 대한 지식의 발달과 적용
10)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 유도
→ 학생들에게 선수 외에 다른 임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스포츠 문화에 대한 모든 양상을 학습
☞6가지 핵심적인 특성(Sidentop)
1) 시즌: 연습기간, 시즌전 기간, 정규시즌 기간, 최종경기를 포함한 후기 시즌기간을 포함하는 장시간의 기간
2) 팀 소속: 전체 시즌 동안 한 팀의 일원으로 수업에 참여
3) 공식경기: 시즌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의사결정에 참여
4) 결승전 행사: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팀 경쟁, 혹은 개인 경쟁 등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
5) 기록보존: 경기 수행에 대한 수많은 기록 양산
6) 축제화: 스포츠 이벤트는 축제적 성격을 지닌다
☞스포츠의 부정적 특성들을 제거
1) 경쟁은 학생의 기능, 지식, 전략을 발달시키는 수단으로 사용
2) 모든 학생은 선수뿐만 아니라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참여자가 된다
3) 능동적인 태도로 참여
4) 자신의 발달단계에 맞는 스포츠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결정을 한다
5) 교육 목표와 활용을 교육의 연장선에서 지키려는 책임감 필요
2. 스포츠교육 모형의 기초
가. 이론적 배경 및 근거: 스포츠교육 모형은 ‘놀이 이론’에 기초한 모형
★놀이- 일상사태로부터 시간적, 공간적으로 벗어나 있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의 한가지
- 학생들이 스포츠 팀의 일원이 되어 시즌의 운영에 관한 모든 역할을 경험
- 직접교수, 협력적인 소집단 학습, 동료교수 등의 다각도적인 활용
-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팀 소속, 공정성, 에티켓, 전통, 감상, 전략, 가치, 구조 등 스포츠가 가진 총체적인 특성 학습
☞세가지 주요 목적(Sidentop)
- 유능한 스포츠인: 충분한 기술, 적절한 전략, 풍부한 경기지식을 가진 스포츠 참여자
- 박식한 스포츠인: 스포츠의 규칙, 의례, 전통을 이해하면서 스포츠 수행을 잘하는 사람
- 열정적인 스포츠인: 다양한 스포츠 문화를 보존하고 증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참여하는 스포츠 집단의 일원
☞10가지 학습 목표(Sidentop)
1) 특정 스포츠에 대한 기능과 체력의 발달
2) 스포츠 경기 전략의 이해와 수행
3) 발달 단계에 적합한 스포츠에 참여
4) 스포츠 경험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운영 방법의 결정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
5) 책임 있는 지도력 배양
6) 공동의 목적을 위한 집단 내의 효율적 참여
7) 각 스포츠 고유의 의례와 관습 수행
8) 스포츠 쟁점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발달
9) 경기심판, 훈련방법에 대한 지식의 발달과 적용
10)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 유도
→ 학생들에게 선수 외에 다른 임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스포츠 문화에 대한 모든 양상을 학습
☞6가지 핵심적인 특성(Sidentop)
1) 시즌: 연습기간, 시즌전 기간, 정규시즌 기간, 최종경기를 포함한 후기 시즌기간을 포함하는 장시간의 기간
2) 팀 소속: 전체 시즌 동안 한 팀의 일원으로 수업에 참여
3) 공식경기: 시즌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의사결정에 참여
4) 결승전 행사: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팀 경쟁, 혹은 개인 경쟁 등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
5) 기록보존: 경기 수행에 대한 수많은 기록 양산
6) 축제화: 스포츠 이벤트는 축제적 성격을 지닌다
☞스포츠의 부정적 특성들을 제거
1) 경쟁은 학생의 기능, 지식, 전략을 발달시키는 수단으로 사용
2) 모든 학생은 선수뿐만 아니라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참여자가 된다
3) 능동적인 태도로 참여
4) 자신의 발달단계에 맞는 스포츠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결정을 한다
5) 교육 목표와 활용을 교육의 연장선에서 지키려는 책임감 필요
2. 스포츠교육 모형의 기초
가. 이론적 배경 및 근거: 스포츠교육 모형은 ‘놀이 이론’에 기초한 모형
★놀이- 일상사태로부터 시간적, 공간적으로 벗어나 있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의 한가지
추천자료
체육과 기능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
타일러의 목표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올림픽을 중심으로-
[구성주의][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의 배경, 구성주의의 유래, 구성주의의 필요성, 구성주의의...
협동학습을 통한 음악 수업 - 직소 (Jigsaw)Ⅱ 모형을 중심으로 -
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개념과 특징, 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필요성...
목표중심시나리오(목표기반학습, GBS)의 개념과 구성, 목표중심시나리오(목표기반학습, GBS)...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정의와 분류,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고려사항, 놀이중...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개념과 과정,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필요성, 주제중심...
영어과 이야기중심학습(이야기중심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영어과 이야기중심학습(이야기중심...
소비자 중심 평가 모형(종합)
교육, 교육시장,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수설계모형, 문제중심학습 (PBL : Problem-Based Lea...
[행정학] 세종시 건설에 대한 정책과정 분석 - 정책과정에 대한 의사결정 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스타벅스 경영 성공사례 분석 및 향후 전망 - 말콤볼드리지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스타벅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