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교육사상의 전개(진보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본질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 교육사상의 전개(진보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본질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진보주의(progressivism)
1. 진보주의란?
2. 진보주의 교육의 역사적 배경
3. 전통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의 비교
4. 진보주의 교육협회의 강령
5. 진보주의의 교육이론
6. 진보주의 교육의 특징
7. 진보주의 교육의 비판
8. 대표적 교육사상가

Ⅱ 본질주의(Essentialism)
1. 본질주의란?
2. 본질주의 등장배경
3. 본질주의의 특징 및 기본원리
4. 대표 학자
5. 공헌점
6. 비판점
Ⅲ 항존주의 (恒存主義, Perennialism)
1. 항존주의 철학의 배경
2. 항존주의의 기본가정
3. 항존주의의 성격
4. 항존주의의 교육이론
※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의 잠깐 비교!
5. 대표적 교육사상가
6. 의의
7. 한계
Ⅳ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1. 정의 및 배경
2. 특징
3. 교육 원리
4. 교육 내용 및 방법
5. 의의 및 한계점

6. 한국 교육 안에서의 재건주의

7. 대표적 사상가 - 브라멜드(Brameld, Theodore 1904-87)
Ⅴ 한눈에 보기

본문내용

인 방식으로 아동학생에게 설득해야 한다.
(5) 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행동과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여 재구성 되어야 한다.
(6) 아동학생, 학교, 교육은 크게는 사회적문화적 힘에 의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4. 교육 내용 및 방법
(1) 재건주의 교육의 내용
특히 생물사회학적 과학과 실천에서 얻는 인간 및 사회에 관한 지식을 존중하였다.
(2) 재건주의 교육의 방법
①직접적 또는 간접적 경험 중시
②학교와 지역사회의 밀접한 연관성 강조
③민주주의적 방법(참여, 의사소통, 토론 등) 중시
④활동학습과 집단적 협력 중시
5. 의의 및 한계점
(1) 재건주의 교육의 의의
현대문화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갖게 하여, 소극적 사회추종기능이 되어가는 교육에 새로운 이상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2) 재건주의 교육의 한계점
① 재건주의가 목적하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어떻게 어떤 능력으로 실천이 가능하게 하는가가 문제이다.
② 재건주의는 확고한 미래의 설계를 그려 놓고 청년학생을 그 방향으로 강제로 몰고 갈지도 모른다.
③ 재건주의가 행동과학적인 지식과 방법을 강조하는 데 비해서 영혼적인 면을 소홀히 하는 감이 없지 않다.
④ 재건주의자는 어떤 정도의 주입식 교육을 허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⑤ 자본주의 체제의 경제와 물질 과학문명의 최상을 걷고 있는 미국사회의 위기에 준해서 착안되었다는 점을 고려해야겠다.
6. 한국 교육 안에서의 재건주의
한국에서 두 차례(1962.10.; 1963.8.) 재건주의 교육철학의 주창자인 브라멜드를 초청한 바 있다. 특히, 한국의 교육재건 운동이었던 향토학교 운동, 재건국민 운동, 지역사회학교 운동, 새마을학교 운동 등과 사회교육추진운동은 재건주의 교육사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급진적 교육사상은 당시 한국의 군사 정부에 의해 경제발전과 정권 수호를 위한 교육으로 오용되기도 하였다.
7. 대표적 사상가 - 브라멜드(Brameld, Theodore 1904-87)
미국 위스콘신주의 내쉬빌에서 출생하여 1926년 리폰 대학에서 공부하고 1931년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브라멜드는 미국의 교육학자로서 재건주의 교육의 주창자라 볼 수 있다. 그는 교육은 사회 속에서 경험에 기초하여 실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Ends and Means in Education (1950)」을 통해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천명했고, 「Philosophies of Education in Cultural Perspective (1955)」를 통해 기존 미국의 교육철학들에 대한 한계를 밝혔다. 「Toward a Reconstructed Philosophy of Education (1956)」 을 내고 오늘날 미국과 세계의 문화가 인류의 역사상 가장 큰 전환기의 하나를 통과하고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교육적 쟁점들을 명쾌히 추려냈으며, 또한 「Cultural Foundation of Education,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1957)」 을 발표하고 그 속에서 교육은 문화와의 맥락 속에서만 존재해야 할 것임을 밝혔다.
Ⅴ 한눈에 보기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핵심
아동
전통, 교사
영원
절충
개념
전통교육에 반기
아동의 흥미, 경험,
욕구 중시
과거의 전통과
문화유산을 중시
불변하는, 절대적인 진리중시
문화재건을 위한
앞선 세 사상의
절충
배경
교사중심비판
미래교육비판
루소-아동중심교육
페스탈로치
-심리적 계발주의
진보주의 비판
-한계를 보완, 극복 하면서 대두
진보주의와 정반대
고대철학의 실재론
진보주의적 요소
+
사회적 요소
이론
&
특징
전인적 인간교육
아동의 필요, 흥미, 생활문제를 교육
자발성, 개별학습
전통적인 수업
교사주도권
교과 철저히 이수
사회구성원 역할
이성 계발
=>진리의 세계로
기본적인 과목
종합, 절충
사회개혁 프로그램
민주적
사회문화적
의의
아동의 참여, 활동, 경험=>비형식적 교육
경험 +전통
=>과거 핵심적 경험
방종,목표상실 경계
절대적 가치 중시
=> 삶의 지표 확고히
사회개혁적 전망
반성의 기회
비판
지나치게 아동중심 =>목표, 본질 무시
너무 개인적,현실적
아동의 자발성,
창의성, 참여성 저해
지적영역만 강조
엘리트지향
이성, 지력 강조
현실 경시
실천가능성에 대한
의문의 여지를 남김
행동과학적 방식에
치중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