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협동학습의 이해
1) 협동 학습의 뜻
2) 협동 학습의 의의
2. 협동 학습의 적용 원리
3. 협동 학습법의 종류
1) 집단 탐구(Gtoup Investigation, GI)
2) 성취과제 분담학습(student achievement division, STAD)
3) 팀 보조 개별학습(Team Assisted Individualization, TAI)
4)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I)
5)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II)
6)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Ⅲ)
7) 토너먼트 게임식 학습(teams games tournaments, TGT)
8) 자율적 협동 탐구 학습(코코 모형, co-op co-op)
1) 협동 학습의 뜻
2) 협동 학습의 의의
2. 협동 학습의 적용 원리
3. 협동 학습법의 종류
1) 집단 탐구(Gtoup Investigation, GI)
2) 성취과제 분담학습(student achievement division, STAD)
3) 팀 보조 개별학습(Team Assisted Individualization, TAI)
4)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I)
5)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II)
6) 전문가 집단학습(Jigsaw Ⅲ)
7) 토너먼트 게임식 학습(teams games tournaments, TGT)
8) 자율적 협동 탐구 학습(코코 모형, co-op co-op)
본문내용
성적순으로 순위를 매긴다.
② 소집단별로 같은 등위에 있는 학생들끼리 모여(수준별 집단), 역할을 분담하고 공부를 한 후에 게임이나 퀴즈를 통해 시험을 본다.
<게임을 하는 방식>
수준별 집단끼리 모인 다음, 첫 번째 학생(가위바위보나 제비뽑기)이 자기 앞에 놓인 카드(문제)를 뽑아 문제를 낭독하고 답을 말한다. 도전자1은 그 답이 맞다고 생각하거나 잘 모르겠으면 '통과'를 하고, 틀렸다고 생각하면 ‘찬스’를 외치고 새로운 답을 말한다. 제기한 답이 맞으면 벌점이 없지만 틀리면 벌점을 받는다. 2, 3번 도전자도 그 문제에 대해 답을 말한다. 마지막 도전자(3번 도전자)는 정답을 확인하는 역할과 결과를 기록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렇게 한 라운드가 끝나면 시계 방향으로 다음 학생이 낭독자가 되어 낭독을 하고 다른 학생들은 답을 해 나간다.
③ 각자 얻는 점수를 가지고 모집단으로 돌아와서, 소집단별로 합산한다.
④ 결과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한다.
특징
① 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 간의 경쟁을 유도한다.
② 집단 간의 토너먼트 게임은 개별학습 성취를 나타내는 게임을 시행한다.
③ 공동작업의 구조이며, 보상구조는 집단 내 협동 - 집단 간 경쟁 구조이다.
8) 자율적 협동 탐구 학습(코코 모형, co-op co-op)
수업진행 순서
① 학급 전체가 학습 문제를 확인하고 소집단을 구성한다.
② 소집단에서는 학습 주제를 정한다. 그런 다음 몇 개의 소주제로 나누고 각자 소주제를 선택한다.
③ 각 소집단 내에서 주제를 맡은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탐구 활동을 하고 개인 보고서를 작 성한다.
④ 소집단별로 모여서 각자 공부한 것을 소집단 내 다른 친구들에게 말해 주고 필요하면 토 론을 한 후 개인 보고서를 중심으로 집단 보고서를 작성한다.
⑤ 각 소집단은 학급 전체 앞에서 보고회를 갖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⑥ 평가는 소집단 내에서 동료에 대한 평가, 교사의 개인 보고서 평가, 학급 모든 학생들의 소집단 보고서에 대한 평가를 종합해서 한다.
특징
① 학습자의 자율적 활동을 최대한 보장해 준다.
② 사회적 빈둥거림(봉 효과, 무임승차효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박성익 외,『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3.
박성익 외,『교육공학탐구의 새 지평』, 교육과학사, 2003.
변영계 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kice.re.kr
② 소집단별로 같은 등위에 있는 학생들끼리 모여(수준별 집단), 역할을 분담하고 공부를 한 후에 게임이나 퀴즈를 통해 시험을 본다.
<게임을 하는 방식>
수준별 집단끼리 모인 다음, 첫 번째 학생(가위바위보나 제비뽑기)이 자기 앞에 놓인 카드(문제)를 뽑아 문제를 낭독하고 답을 말한다. 도전자1은 그 답이 맞다고 생각하거나 잘 모르겠으면 '통과'를 하고, 틀렸다고 생각하면 ‘찬스’를 외치고 새로운 답을 말한다. 제기한 답이 맞으면 벌점이 없지만 틀리면 벌점을 받는다. 2, 3번 도전자도 그 문제에 대해 답을 말한다. 마지막 도전자(3번 도전자)는 정답을 확인하는 역할과 결과를 기록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렇게 한 라운드가 끝나면 시계 방향으로 다음 학생이 낭독자가 되어 낭독을 하고 다른 학생들은 답을 해 나간다.
③ 각자 얻는 점수를 가지고 모집단으로 돌아와서, 소집단별로 합산한다.
④ 결과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한다.
특징
① 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 간의 경쟁을 유도한다.
② 집단 간의 토너먼트 게임은 개별학습 성취를 나타내는 게임을 시행한다.
③ 공동작업의 구조이며, 보상구조는 집단 내 협동 - 집단 간 경쟁 구조이다.
8) 자율적 협동 탐구 학습(코코 모형, co-op co-op)
수업진행 순서
① 학급 전체가 학습 문제를 확인하고 소집단을 구성한다.
② 소집단에서는 학습 주제를 정한다. 그런 다음 몇 개의 소주제로 나누고 각자 소주제를 선택한다.
③ 각 소집단 내에서 주제를 맡은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탐구 활동을 하고 개인 보고서를 작 성한다.
④ 소집단별로 모여서 각자 공부한 것을 소집단 내 다른 친구들에게 말해 주고 필요하면 토 론을 한 후 개인 보고서를 중심으로 집단 보고서를 작성한다.
⑤ 각 소집단은 학급 전체 앞에서 보고회를 갖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⑥ 평가는 소집단 내에서 동료에 대한 평가, 교사의 개인 보고서 평가, 학급 모든 학생들의 소집단 보고서에 대한 평가를 종합해서 한다.
특징
① 학습자의 자율적 활동을 최대한 보장해 준다.
② 사회적 빈둥거림(봉 효과, 무임승차효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박성익 외,『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3.
박성익 외,『교육공학탐구의 새 지평』, 교육과학사, 2003.
변영계 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kice.re.kr
추천자료
[장애인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의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 ...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개념, 종류, 특징, 필요성,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개별화학습의 정의, 목적, 실태, 정보통신기술(ICT)활용개별화학습의 ...
개별화수업(개별교육, 개별화학습)의 개념, 분류, 필요성, 개별화수업(개별교육, 개별화학습)...
개별화교육(개별화수업, 개별화학습)의 개념과 중요성, 개별화교육(개별화수업, 개별화학습)...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 성격, 자기주도적학습 원리, 자기주도적학습과 구성...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의미와 성립요건,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필요성과...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정의, 역사적배경, 필요성,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등장배경과 필요성,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교...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개별화교육)의 의미와 특성,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개별화교육)의 ...
[조사방법, 현장조사, 협동학습조사, 문헌연구조사, 평가모형조사]조사방법의 종류, 조사방법...
[과학적 태도][과학적 태도와 특수교육][과학적 태도와 협동학습][과학적 태도와 특수아동]과...
영유아 교수학습 유형 중 협동학습과 탐구학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현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