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II. 충실의무와 배려의무의 인정 여부
III.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
IV. 사용자의 권리와 의무
II. 충실의무와 배려의무의 인정 여부
III.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
IV. 사용자의 권리와 의무
본문내용
한다.
(2)안전배려의무
①의의
사용자는 자신의 지배 하에 있는 근로자의 생명, 신체, 건강, 성에 대하여 적절한 보호 조치를 강구할 의무를 부담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당사자의 약정, 취업규칙 등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규정이 없다면 거래통념상 타당한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야 한다.
②위반의 효과
이 경우 사용자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책임을 지며 근로자는 손해배상청구와 사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것을 요구하거나 안전배려 위반행위의 중지를 요구할 수 있다.
③산업재해에 따른 손해배상
근로자는 산업재해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때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법률에 규정된 안전배려의무를 위반하면 벌칙이 과해지며 근로자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3) 취업기회부여의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근로자에게 취업시킬 의무를 부담하며, 이를 위반하면 민법상의 채권자지체에 해당이 되어 그 기간의 임금전액을 지불하여야 함은 물론, 근로자가 임금을 받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인격권의 침해가 된다.
(4) 균등대우의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근로자를 균등하게 대우하여야 하며 정당한 이유가 없는 차별은 근로기준법 위반이 된다.
(2)안전배려의무
①의의
사용자는 자신의 지배 하에 있는 근로자의 생명, 신체, 건강, 성에 대하여 적절한 보호 조치를 강구할 의무를 부담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당사자의 약정, 취업규칙 등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규정이 없다면 거래통념상 타당한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야 한다.
②위반의 효과
이 경우 사용자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책임을 지며 근로자는 손해배상청구와 사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것을 요구하거나 안전배려 위반행위의 중지를 요구할 수 있다.
③산업재해에 따른 손해배상
근로자는 산업재해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때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법률에 규정된 안전배려의무를 위반하면 벌칙이 과해지며 근로자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3) 취업기회부여의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근로자에게 취업시킬 의무를 부담하며, 이를 위반하면 민법상의 채권자지체에 해당이 되어 그 기간의 임금전액을 지불하여야 함은 물론, 근로자가 임금을 받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인격권의 침해가 된다.
(4) 균등대우의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근로자를 균등하게 대우하여야 하며 정당한 이유가 없는 차별은 근로기준법 위반이 된다.
추천자료
미국 노동법상의 근로자 개념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의 개념에 대한 판례평석 리포트
개정 노동법상 비정규 근로자에 대한 차별 처우의 근거로서의 합리적 이유
증인의 의무와 권리에 대한 형사소송법상 검토
근로관계 종료 후 근로자 보호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노동법상 각국의 근로자 개념 비교 고찰
단시간근로자 보호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및 휴게 파트 중간 기말 시험 대비 총정리
노동법상 해고를 중심으로 한 근로관계의 종료와 관련된 법적 쟁점 연구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
노동법상 근로자개념 판단의 기준으로써 사용종속성론에 대한 비판
근로기준법상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보호
근로기준법상 연소근로자의 근로계약 및 근로관계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