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론]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의 방법론과 동감이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문제제기

II.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의 방법론

III. 스미스의 문제의식과 새로운 도덕이론의 등장 배경

IV. 흄의 동감론
1. 특수한 쾌감, 고통
3. 흄의 동감이론이 직면했던 딜레마

V. 스미스의 동감이론
1. 흄의 동감이론의 비판적 계승
2. 동감의 의미
3. 스미스의 동감이론의 성립과정과 그 특징

VI. 결론:동감과 적정성 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성질도 타인에 대한 유용성 때문에 중시되는 성질도 모두 그러하다. -
) TMS., p.188.
스미스의 동감과 적정성 이론의 의의는 단순히 덕의 공리주의적 기초를 비판했던 것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그의 이론은 도덕판단의 객관성의 기준을 외부적인 것에서 구했던 흄에 반해, 인간과 인간의 관계 그 자체 내에서 도덕판단의 원리를 구하는 사고방식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덕감정 그 자체의 사회적 인식 위에서 기원을 설명한 것이다.
흄의 경우 당사자의 열정과 행위의 성질(효용) 그 자체에 시인과 부인의 근거가 있으며, 관찰자가 그것을 이성과 동감에 의해 지각할 때 도덕판단이 성립한다. 그러나 스미스의 적정성 판단에서는 가치의 근거는 관찰자의 외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관찰자의 동감감정 그 자체가 가치의 기준, 척도가 되며, 관찰자의 존재 그 자체가 도덕적 가치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불가결한 계기가 된다. 그렇지만 그것은 도덕적 가치가 관찰자의 주관에 모두 환원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적정성을 떠맡는 것은 당사자의 감정이다. 관찰자의 동감감정은 그 자체로는 단순한 감정에 지나지 않으며, 당사자와의 인간관계 속에서 최초로 가치의 기준, 척도로 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당사자의 감정도 그 자체로는 단순한 감정에 지나지 않으며, 관찰자와의 인간관계 속에서 최초로 덕, 즉 적정성을 얻게 된다. 따라서 도덕판단은 관찰자와 당사자의 사회관계 속에서만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치판단의 성립 자체가 사회관계에 기초할 뿐 아니라, 말하자면 가치의 실체를 이루는 당사자 감정의 양적인 수준도 사회관계에 의해 규정된다. 왜냐하면 도덕적으로 시인되는 것은 당사자가 자연적으로 느끼는 본원적인 감정이 아니라 관찰자들이 가지는 정도로까지 스스로 규제하는 반성적 열정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Anspach, R.,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for Adam Smith's Economic Thought,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Vol.4(1), Spring, 1972.
Ardal, P. S., Passion and Value in Hume's Treatise, Edinburgh, 1966.
Bitterman, H. K., Adam Smith's Empricism and the Law of Nature, Part I-I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48(4), August, 1940.
Choi. Y. B., Smith's View on Human Nature : A Proble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Wealth of Nations and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 Review of Social Economy, Vol.48(3), Fall, 1990.
Davis, J. R., Is Man Led by a Invisible Hand or Misled by a Sleight of Hand? : Adam Smith on the Providential Reconciliation of Individual and Social Interest,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Vol.22(2), Summer, 1990.
Heilbroner, R. L., The Socialization of the Individual in Adam Smith,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Vol.14(3), Fall, 1982.
Hospers, J., Human Conduct -Problems of Ethics-, Harcourt Brace Jovanovich Co. 1982.
Hume, D., An I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in Enquiries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edited by Selby-Bigge, 3rd. ed., Oxford, 1975.
Hume, D., A Treatise of Human Nature, edited by Selby-Bigge, Oxford, 1975.
Hutcheson, F., An Inquiry into the Origin of Ideas of Beauty and Virtue, in Collected Works of Francis Hutcheson, Vol.1, Hildesheim, 1969.
Macfie, A. L., The Individual in Society -Papers on Adam Smith, London, 1967.
Morrow, G. R., The Significance of the Doctrine of Sympathy in Hume and Adam Smith, in the Philosophical Review, Vol.32, No.1, 1923.
Morrow, G. R., Adam Smith : Moralist and Philosophe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35(3), June, 1927.
Salmon, A., Adam Smith as Sociologist, Social Research, Vol.12, February, 1945.
Smith, A.,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Wealth of Nations, Oxford, 1976.
Smith, A.,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Oxford, 1976.
Smith, A., Essays on Philosophical Subjects, edited by W. P. D. Wightman and J. C. Bryce, Indianapolis, 1980.
Smith, A., Lectures on Rhetoric and Belles Letters, edited by J. C. Bryce, Oxford. 1976.
  • 가격2,8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10.0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