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동양 젓가락의 기원
3. 젓가락의 사용 인구
3.1 가장 오래된 젓가락 사용국 중국
3.2 젓가락만을 사용하는 일본
3.3 일본의 한 여자고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된 젓가락 사용법
3.4 세 나라의 젓가락 비교
4. 서양식 포크의 역사
4.1 포크가 사용 되어진 문화적 배경
4.2 서양문화 내에서조차 차별되어진 포크사용
4.3 현재의 서양식 포크 사용법
5. 동서양의 식사도구의 장단점 비교
5.1 젓가락의 장점
5.2 젓가락의 단점
5.3 포크의 장점
5.4 포크의 단점
6. 결론
2. 동양 젓가락의 기원
3. 젓가락의 사용 인구
3.1 가장 오래된 젓가락 사용국 중국
3.2 젓가락만을 사용하는 일본
3.3 일본의 한 여자고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된 젓가락 사용법
3.4 세 나라의 젓가락 비교
4. 서양식 포크의 역사
4.1 포크가 사용 되어진 문화적 배경
4.2 서양문화 내에서조차 차별되어진 포크사용
4.3 현재의 서양식 포크 사용법
5. 동서양의 식사도구의 장단점 비교
5.1 젓가락의 장점
5.2 젓가락의 단점
5.3 포크의 장점
5.4 포크의 단점
6. 결론
본문내용
스스로 무의식적인 차별을 했던 것이다. 이러한 나의 생각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발달의 역사만을 가지고 그 우월함을 판단하는 그릇된 생각이었다는 점이다. 본 리포트를 통하여 동서양의 서로 다른 식사도구는 단지 그들의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에 기인한 것임과 더불어 다양한 음식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단순한 동서양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로 다른 문화의 장점을 부각 시키고 이들의 화합점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생각하고 프랑스의 문학가 ‘롤랑 바르트’의 말에 의하면 과거사를 되집어 볼 때 서양 사람들은 동양 사람들 보다 공격적인 성향이 있기 때문에 서양 사람들이 사용하는 포크는 동물의 “발톱”이라고 생각하였다. 나이프와 포크는 고기를 찢기 위해서 존재 하는 것이다. 흔히 고기를 “썬다”고 하지만 그건 점잖은 표현이고 사실은 “찢어발기는”것이다. 표범의 날카로운 발톱이 고기를 찢는 것을 상상해 보라. 고깃덩어리가 찢겨 질 때 그 사이에 “식욕의 불꽃”이 타지 않는가? 찢어 먹기 위해, 식욕을 돋우기 위해서 그들은 포크와 나이프를 쓰는 것이다. 반면, 젓가락은 새의 부리와 같은 것이다. 젓가락질에서는 “식욕의 불꽃”이 일어나지 않는다. 포크는 달랑 한 개만으로 모든 해체를 가능케 하지만, 젓가락은 한 개로는 그 구실을 하지 못한다. 젓가락은 짝을 이루어 융합에 나서기 때문에 젓가락은 갈라져 있는 것들, 따로 외롭게 떨어져 있는 것들을 짝지어 주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의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결국,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문화들의 화합점을 찾는 것은 다름 아닌 문화의 뿌리 즉,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그 문화를 창조해낸 바로 인간의 상상력에 달려있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러한 위대한 상상력의 업적을 설령 그 문화의 내용이 아무리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단지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업신여겨서는 안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이유로 예로부터 나물과 같이 젓가락으로 집어먹어야 하는 우리의 음식문화. 그리고 여기서 출발한 한국의 금속 젓가락의 정교함과 섬세함은 지키고 발전시키며 젓가락이 단지 동양의 전통문화 일뿐 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들과 아우러져 결국 인류의 문화가 되어 진다는 것을 이해하고 발전 되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로써의 화합된 문화로 재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동양 젓가락의 기원
3. 젓가락의 사용 인구
3.1 가장 오래된 젓가락 사용국 중국
3.2 젓가락만을 사용하는 일본
3.3 일본의 한 여자고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된 젓가락 사용법
3.4 세 나라의 젓가락 비교
4. 서양식 포크의 역사
4.1 포크가 사용 되어진 문화적 배경
4.2 서양문화 내에서조차 차별되어진 포크사용
4.3 현재의 서양식 포크 사용법
5. 동서양의 식사도구의 장단점 비교
5.1 젓가락의 장점
5.2 젓가락의 단점
5.3 포크의 장점
5.4 포크의 단점
6. 결론
단순한 동서양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로 다른 문화의 장점을 부각 시키고 이들의 화합점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생각하고 프랑스의 문학가 ‘롤랑 바르트’의 말에 의하면 과거사를 되집어 볼 때 서양 사람들은 동양 사람들 보다 공격적인 성향이 있기 때문에 서양 사람들이 사용하는 포크는 동물의 “발톱”이라고 생각하였다. 나이프와 포크는 고기를 찢기 위해서 존재 하는 것이다. 흔히 고기를 “썬다”고 하지만 그건 점잖은 표현이고 사실은 “찢어발기는”것이다. 표범의 날카로운 발톱이 고기를 찢는 것을 상상해 보라. 고깃덩어리가 찢겨 질 때 그 사이에 “식욕의 불꽃”이 타지 않는가? 찢어 먹기 위해, 식욕을 돋우기 위해서 그들은 포크와 나이프를 쓰는 것이다. 반면, 젓가락은 새의 부리와 같은 것이다. 젓가락질에서는 “식욕의 불꽃”이 일어나지 않는다. 포크는 달랑 한 개만으로 모든 해체를 가능케 하지만, 젓가락은 한 개로는 그 구실을 하지 못한다. 젓가락은 짝을 이루어 융합에 나서기 때문에 젓가락은 갈라져 있는 것들, 따로 외롭게 떨어져 있는 것들을 짝지어 주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의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결국,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문화들의 화합점을 찾는 것은 다름 아닌 문화의 뿌리 즉,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그 문화를 창조해낸 바로 인간의 상상력에 달려있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러한 위대한 상상력의 업적을 설령 그 문화의 내용이 아무리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단지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업신여겨서는 안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이유로 예로부터 나물과 같이 젓가락으로 집어먹어야 하는 우리의 음식문화. 그리고 여기서 출발한 한국의 금속 젓가락의 정교함과 섬세함은 지키고 발전시키며 젓가락이 단지 동양의 전통문화 일뿐 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들과 아우러져 결국 인류의 문화가 되어 진다는 것을 이해하고 발전 되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로써의 화합된 문화로 재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동양 젓가락의 기원
3. 젓가락의 사용 인구
3.1 가장 오래된 젓가락 사용국 중국
3.2 젓가락만을 사용하는 일본
3.3 일본의 한 여자고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된 젓가락 사용법
3.4 세 나라의 젓가락 비교
4. 서양식 포크의 역사
4.1 포크가 사용 되어진 문화적 배경
4.2 서양문화 내에서조차 차별되어진 포크사용
4.3 현재의 서양식 포크 사용법
5. 동서양의 식사도구의 장단점 비교
5.1 젓가락의 장점
5.2 젓가락의 단점
5.3 포크의 장점
5.4 포크의 단점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