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를 통해 본 영화와 드라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여는 말

2.말하기
2.1 재미란 무엇인가
2.2 재미와 웃음
2.3 재미 이론
2.3.1 카타스로프 이론
2.3.2 재미의 세 가지 요소와 뫼비우스 띠
2.3.3 그 밖의 유머에 대한 입장
2.4 영상매체(영화, 드라마)에 적용되는 재미이론

3.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는 모습을 통해 해소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영화는 회상의 방법으로 진행된다. 진석이 전화를 받고 구두 한 켤레를 보며 회상하면서 영화는 시작되고 마지막에 다시 처음 장면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반복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6.25 전쟁은 우리 민족이 분단되게 된 전쟁이고,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은 전쟁이다. 이런 동족 간의 비극이 당시 전쟁을 겪었던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지고, 우리의 역사 교육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때에 영화가 개봉하여 그 감동이 더했다.
위의 두 작품은 내용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면에서도 볼거리를 제공해 재미를 한층 더 느낄 수 있었다. 파리의 연인에서는 파리에서의 아름다운 풍경들은 드라마의 배우들과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모습을 그려냈으며, ‘태극기 휘날리며’에서는 실감나는 영상으로 실제 전쟁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어 영화의 감동을 더 했다.
3.맺음말
이론을 적용해 재미를 찾는 것은 힘들고 까다로울 것이다. 웃길 때마다 이론을 생각하면서 여기서는 이렇게, 저기서는 저렇게 해야 한다는 식으로 하나하나 생각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마다 재미의 이론을 생각하며 하나하나 분석하다보면 작품의 내용에 충실하지 못해 오히려 재미를 잃게 되는 수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이 왜 재미있는지, 재미없는 것이 왜 재미가 없는 것인지 좀 더 생각해 볼 수 있고, 재미를 추구할 때 좀 더 성공적으로 웃기거나 재미를 추구할 수 있을 듯 하다.
<참고문헌>
이명수, 화술과 유머센스, 지성문화사, 1996.
이현비, 원리를 알면 공자도 웃길 수 있다, 지성사, 1998.
ㅡ , 재미의 경계, 지성사, 2004.
John Allen Paulos, MATHEMATICS and HUMOR, THE University of Chicago, 1980.
(박영훈 번역, 수학 그리고 유머, 경문사, 2003.)
<참고 사이트>
네이버 오픈사전> 오픈국어
-http://kin.naver.com/openkr/entry.php?docid=22439
스포츠조선
-http://www.sportschosun.com/news/news.htm?name=/news/entertainment/200412/20041216/4cp10201.htm
파리의 연인 시청자 게시판
-http://tv.sbs.co.kr/paris/paris_sub_parisien.jhtml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