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정 동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주제 해결을 위한 활동의 실제
Ⅳ. 기대 효과
Ⅴ. 지도의 실제
1. 단원 개관
2. 단원의 목표
3. 단원의 학습 계열
4. 단원지도의 계획
5. 학습 실태 분석 및 지도 대책
6. 수준별 학습장 구성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 평가 계획
9. 본시 학습의 실제
Ⅱ. 이론적 배경
Ⅲ. 주제 해결을 위한 활동의 실제
Ⅳ. 기대 효과
Ⅴ. 지도의 실제
1. 단원 개관
2. 단원의 목표
3. 단원의 학습 계열
4. 단원지도의 계획
5. 학습 실태 분석 및 지도 대책
6. 수준별 학습장 구성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 평가 계획
9. 본시 학습의 실제
본문내용
점(※)
창의성 요소(★)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
운동하기
시범보이기
움직임
탐색하기
자료 이용하여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운동을 하기
모둠별로 체조 대형으로 서서 음악에 맞추어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 운동하기
- 보조보강운동으로 흔들의자 및 개구리 물구나무서기 실시
앞구르기의 시범동작 관찰하기
앞구르기를 잘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하기
잘 구르기 위한 몸의 특징 알아보기
시범 보이기
모둠별로 앞구르기에 알맞은 몸의 모양 알아보기
모둠별로 앞구르기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연습하기
- 1~3모둠 : 처음 준비할 때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앞구르기
- 4~6모둠 : 구르는 동안과 구른 후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앞구르기
앞구르기를 할 때 잘 안되는 점을 발표해 보기
- 몸이 가운데로 구르지 않고 왼쪽으로 기울어졌다.
- 구르는 속도가 너무 느려 구르기가 끝난 후 일어나기가 잘 안된다.
- 다리가 펴져서 일어서기가 잘 안된다.
- 처음에 넘을 때 고개를 숙이지 않아서 잘 넘어가지 않았 다. 등등
앞구르기의 바른 자세에 대해 발표하기
앞구르기를 처음 준비할 때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해 발표하기
- 처음 준비를 할 때는 머리를 숙여야 한다.
- 두 손을 몸에서 가까운 무릎 아래쪽에 짚어야 몸이 공처럼
둥글게 된다.
- 발뒤꿈치와 엉덩이를 살짝 들어 주어야 한다. 등등
구르는 동안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하여 발표하기
- 구를 때 머리 뒤쪽이 매트에 닿아야 잘 구를 수 있다.
- 구르는 순간 발을 살짝 밀어주면 속도가 나서 일어서기가 잘 된다.
- 등을 공처럼 둥글게 해야 한다.
- 다리를 끝까지 오므리고 있어야 한다.
구른 후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하여 발표해 봅시다.
- 머리를 끝까지 숙여 몸을 둥글게 해 주어야 한다.
- 일어서서 앞구르기가 끝났음을 두 손을 들어 표시한다. 등등
녹음기
★민감성
※생각할 관점
제시해주기
단계
(분)
학습
요항
교수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창의성 요소(★)
실천
(5′)
발전
정착
(15′)
정리
(5′)
수준
나누기
관찰관점제시하기
수준별
학습하기
정리운동
학습정리
자료 이용하여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를 통한 수준 나누기
앞구르기를 모둠별로 2번 정도씩 해보고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를 통해 수준을 나누기
앞구르기의 관찰 관점 제시하기
관찰
관점
손을 몸통 가까이 짚고 일 직선으로 구를 수 있는가?
적절한 속도로 굴러 일어 설 수 있는가?
통과학생→빨간색 스티커 부여
통과학생→노란색 스티커 부여
머리 뒤쪽이 먼저 매트에
닿아 구를 수 있는가?
마지막까지 몸의 모양을 둥 글게 해서 일어설 수 있는가?
통과학생→파랑색 스티커 부여
통과학생→초록색 스티커 부여
수준별 앞구르기 연습하기
친구들이 붙여준 스티커 색깔과 자신이 붙인 스티커 색깔
참고하여 수준별 학습장으로 이동하여 수준별 학습하기
수준
♣손의 위치와 구르는 방향이 잘못된 학생
♣구를 때 속도가 너무 느린 학생
♣뒤통수가 먼저 닿지 않는 학생
♣구른 후 다리가 펴져서 못 일어서는 학생
학습장
똑바로 굴러요
빠르게 굴러요
고개 숙여 굴러요
종을 울리지 마세요
연습
방법
▶손을 짚는 위치와 바른 길이 표시된 매트에서 연습하기
▶경사진 매트에서 자연스럽게 구를 수 있도록 연습하기
▶목에 스펀지막대 목걸이를 끼우고 앞구르기 연습하기
▶매트에 붙은 공 모양을 머리띠에 붙일 수 있도록 연습하기
▶다리가 펴지는 지점에 고무줄에 종을 달아서, 종이 울리지 않게 다리모양 연습하기
☞ 잘 안되는 학생들은 자료 을 이용하여 잘못된 동작을 찾도록 한다.
☞ 심화학습
연속으로 앞구르기 2회 하기
자료 이용하여 정리 운동하기
음악에 맞춰 본 운동 중 사용한 관절과 근육 스트레칭하기
앞구르기를 할 때 바른 몸 모양 발표하기
- 머리를 숙여서 몸을 둥글게 해야 하다.
- 구를 때 목의 뒷부분이 매트에 닿아야 한다.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표
※대기시간에 친구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토의하게 한다.
※앞사람이 완전히 끝나면 다음사람이 구르도록 지도
※스스로 수준
에 맞는 움직임
을 찾아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동기를 부여 하도록 한다.
※기능이 우수한 학생은 보조 도 우미 역할을 하 도록 한다.
(빨간색 모둠 조끼 착용)
캠코더
녹음기
※음악에 맞추어 근육과 관절을 충분히 풀도록 한다.
단계
(분)
학습
요항
교수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창의성 요소(★)
성취도
확인하기
차시예고
정리정돈
하기
- 손을 몸 가까이 짚어야 한다.
- 발을 힘차게 차고 엉덩이를 높이 들어 주어야 한다.
- 구르면서 무릎을 펴지 않아야 한다. 등등
성취도 확인 및 평가
바른 자세로 열심히 운동한 친구를 칭찬하기
- 자료을 이용하여 자기와 동료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기록하게 하고 기능(빨강), 태도(초록), 지식(분 홍)별로 세 가지 스티커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동료에게 붙여 주게 한다.
- 자기 평가표로 자기와 동료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 하여 기록하고 기능(빨강), 태도(초록), 지식(분홍)별로
세 가지 스티커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동료에게 붙여 준다.
차시 예고하기
매트 위에서 뒤구르기
모둠별로 자료를 정리하기
- 모둠별로 자료를 깨끗이 정리한다.
옷의 먼지 털기와 손 씻기를 지도
★PMI(정교성)
동료 평가 및 자기 평가표
(시간이 부족할 경우 교실에서 하도록 한다.)
성취기준
구분
평가관점
평가 방법
평가 시기
몸을 둥글게 하여 앞구르기를 할 수 있다.
상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을 모두 바르게 하여 앞구르기를 한다.
관찰법
자기평가
녹화자료 분석
수업 중
중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 중 한 가지가 부족하지만 앞구르기를 한다.
하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이 모두 부족하여 앞구르기를 하지 못한다.
올바른 앞구르기 방법과 순서를 이해할 수 있다.
공통
올바른 앞구르기 방법과 순서를 이해한다.
관찰법
수업 중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공통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관찰법
수업 중
창의성 요소(★)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
운동하기
시범보이기
움직임
탐색하기
자료 이용하여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운동을 하기
모둠별로 체조 대형으로 서서 음악에 맞추어 준비체조 및
보조보강 운동하기
- 보조보강운동으로 흔들의자 및 개구리 물구나무서기 실시
앞구르기의 시범동작 관찰하기
앞구르기를 잘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하기
잘 구르기 위한 몸의 특징 알아보기
시범 보이기
모둠별로 앞구르기에 알맞은 몸의 모양 알아보기
모둠별로 앞구르기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연습하기
- 1~3모둠 : 처음 준비할 때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앞구르기
- 4~6모둠 : 구르는 동안과 구른 후의 바른 몸의 모양을 생각하면서 앞구르기
앞구르기를 할 때 잘 안되는 점을 발표해 보기
- 몸이 가운데로 구르지 않고 왼쪽으로 기울어졌다.
- 구르는 속도가 너무 느려 구르기가 끝난 후 일어나기가 잘 안된다.
- 다리가 펴져서 일어서기가 잘 안된다.
- 처음에 넘을 때 고개를 숙이지 않아서 잘 넘어가지 않았 다. 등등
앞구르기의 바른 자세에 대해 발표하기
앞구르기를 처음 준비할 때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해 발표하기
- 처음 준비를 할 때는 머리를 숙여야 한다.
- 두 손을 몸에서 가까운 무릎 아래쪽에 짚어야 몸이 공처럼
둥글게 된다.
- 발뒤꿈치와 엉덩이를 살짝 들어 주어야 한다. 등등
구르는 동안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하여 발표하기
- 구를 때 머리 뒤쪽이 매트에 닿아야 잘 구를 수 있다.
- 구르는 순간 발을 살짝 밀어주면 속도가 나서 일어서기가 잘 된다.
- 등을 공처럼 둥글게 해야 한다.
- 다리를 끝까지 오므리고 있어야 한다.
구른 후의 바른 몸의 모양에 대하여 발표해 봅시다.
- 머리를 끝까지 숙여 몸을 둥글게 해 주어야 한다.
- 일어서서 앞구르기가 끝났음을 두 손을 들어 표시한다. 등등
녹음기
★민감성
※생각할 관점
제시해주기
단계
(분)
학습
요항
교수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창의성 요소(★)
실천
(5′)
발전
정착
(15′)
정리
(5′)
수준
나누기
관찰관점제시하기
수준별
학습하기
정리운동
학습정리
자료 이용하여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를 통한 수준 나누기
앞구르기를 모둠별로 2번 정도씩 해보고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를 통해 수준을 나누기
앞구르기의 관찰 관점 제시하기
관찰
관점
손을 몸통 가까이 짚고 일 직선으로 구를 수 있는가?
적절한 속도로 굴러 일어 설 수 있는가?
통과학생→빨간색 스티커 부여
통과학생→노란색 스티커 부여
머리 뒤쪽이 먼저 매트에
닿아 구를 수 있는가?
마지막까지 몸의 모양을 둥 글게 해서 일어설 수 있는가?
통과학생→파랑색 스티커 부여
통과학생→초록색 스티커 부여
수준별 앞구르기 연습하기
친구들이 붙여준 스티커 색깔과 자신이 붙인 스티커 색깔
참고하여 수준별 학습장으로 이동하여 수준별 학습하기
수준
♣손의 위치와 구르는 방향이 잘못된 학생
♣구를 때 속도가 너무 느린 학생
♣뒤통수가 먼저 닿지 않는 학생
♣구른 후 다리가 펴져서 못 일어서는 학생
학습장
똑바로 굴러요
빠르게 굴러요
고개 숙여 굴러요
종을 울리지 마세요
연습
방법
▶손을 짚는 위치와 바른 길이 표시된 매트에서 연습하기
▶경사진 매트에서 자연스럽게 구를 수 있도록 연습하기
▶목에 스펀지막대 목걸이를 끼우고 앞구르기 연습하기
▶매트에 붙은 공 모양을 머리띠에 붙일 수 있도록 연습하기
▶다리가 펴지는 지점에 고무줄에 종을 달아서, 종이 울리지 않게 다리모양 연습하기
☞ 잘 안되는 학생들은 자료 을 이용하여 잘못된 동작을 찾도록 한다.
☞ 심화학습
연속으로 앞구르기 2회 하기
자료 이용하여 정리 운동하기
음악에 맞춰 본 운동 중 사용한 관절과 근육 스트레칭하기
앞구르기를 할 때 바른 몸 모양 발표하기
- 머리를 숙여서 몸을 둥글게 해야 하다.
- 구를 때 목의 뒷부분이 매트에 닿아야 한다.
상호평가 및 자기평가표
※대기시간에 친구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토의하게 한다.
※앞사람이 완전히 끝나면 다음사람이 구르도록 지도
※스스로 수준
에 맞는 움직임
을 찾아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동기를 부여 하도록 한다.
※기능이 우수한 학생은 보조 도 우미 역할을 하 도록 한다.
(빨간색 모둠 조끼 착용)
캠코더
녹음기
※음악에 맞추어 근육과 관절을 충분히 풀도록 한다.
단계
(분)
학습
요항
교수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창의성 요소(★)
성취도
확인하기
차시예고
정리정돈
하기
- 손을 몸 가까이 짚어야 한다.
- 발을 힘차게 차고 엉덩이를 높이 들어 주어야 한다.
- 구르면서 무릎을 펴지 않아야 한다. 등등
성취도 확인 및 평가
바른 자세로 열심히 운동한 친구를 칭찬하기
- 자료을 이용하여 자기와 동료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기록하게 하고 기능(빨강), 태도(초록), 지식(분 홍)별로 세 가지 스티커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동료에게 붙여 주게 한다.
- 자기 평가표로 자기와 동료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 하여 기록하고 기능(빨강), 태도(초록), 지식(분홍)별로
세 가지 스티커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동료에게 붙여 준다.
차시 예고하기
매트 위에서 뒤구르기
모둠별로 자료를 정리하기
- 모둠별로 자료를 깨끗이 정리한다.
옷의 먼지 털기와 손 씻기를 지도
★PMI(정교성)
동료 평가 및 자기 평가표
(시간이 부족할 경우 교실에서 하도록 한다.)
성취기준
구분
평가관점
평가 방법
평가 시기
몸을 둥글게 하여 앞구르기를 할 수 있다.
상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을 모두 바르게 하여 앞구르기를 한다.
관찰법
자기평가
녹화자료 분석
수업 중
중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 중 한 가지가 부족하지만 앞구르기를 한다.
하
앞구르기의 준비자세와 구르는 과정의 동작, 구른 후의 동작이 모두 부족하여 앞구르기를 하지 못한다.
올바른 앞구르기 방법과 순서를 이해할 수 있다.
공통
올바른 앞구르기 방법과 순서를 이해한다.
관찰법
수업 중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공통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관찰법
수업 중
키워드
추천자료
미술 4학년 3. 상상의 세계 표현하기 교수 학습 지도안 세안
학습지도의 계획과 평가
5학년 1학기 국어 <셋째 마당> 교수-학습 과정안(시의 일부분을 바꾸어 쓰기)
중학교 1학년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초등1)국어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5.생각을 펼쳐요(읽기 78~81쪽 (3/6)차시) 전체학습...
초등1)바생 <바른 생활과 교수-학습 과정안> - 2.스스로 잘해요(바&#8228;생 24~27쪽, 생...
초등학교 5학년 교수 학습 과정안 평면도형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이해하고 구하기(세안)
초등3) <음악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음악35쪽 (3/3)차시> 12. 방울새 - <왕벌의 비행> 감...
초등3)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118~121(17/17차시)>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 옛...
초등4)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피하기형 게임 하기 - 피구 게임을 통해 공이 오...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2) 외세의 침략과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단원 : 행복한 생활-우리 동네 / 제재 : ...
초등2학년) <(수학)과 교수&#8228;학습 과정안 {약안}> 7. 시간 알아보기 (1/6차시) / ...
초등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6.용액의 진하기 / 학습주제 : 용액의 진하기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