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포도주(wine)의 제조
1) 적포도주
(1) 원료와 처리
(2) 발효 및 숙성
2) 백포도주
3) 샴페인(champagne, 발포성포도주)
4) 포트와인(port wine)
5) 애플와인(apple wine)
1) 적포도주
(1) 원료와 처리
(2) 발효 및 숙성
2) 백포도주
3) 샴페인(champagne, 발포성포도주)
4) 포트와인(port wine)
5) 애플와인(apple wine)
본문내용
성분의 포도주에 탄산수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4) 포트와인(port wine)
포트와인이란 이름은 포르투칼의 오포르트 항구에서 출하된 적포도주에서 유래한다.
원래는 포도과즙의 발효도중에 브랜디를 첨가하여 발효를 정지시켜서 단맛을 남기고, 떡갈나무로 만든 술통에 넣어 숙성시킨 것이다. 또, 생포도주(dry wine)에 알코올, 설탕, 유기산류, 향료, 색소 등을 섞어서 만든 일종의 혼성주를 포트와인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5) 애플와인(apple wine)
사과를 세척하고 파쇄ㆍ압착하여 과즙을 분리한 후아황산염과 보당으로 과즙을 조정한 다음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킨다. 약 1주일 정도 발효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다시 2~3개월간 숙성시켜서 제품으로 하는데 영어로는 사이더(cider), 프랑스어로는 시드르(cidre)라 부른다. 또 이 사과주를 증류하여 애플 브랜디(프랑스어로는 칼바도스-calvados)를 만들기도 한다.
목 차
포도주(wine)의 제조
1) 적포도주
(1) 원료와 처리
(2) 발효 및 숙성
2) 백포도주
3) 샴페인(champagne, 발포성포도주)
4) 포트와인(port wine)
5) 애플와인(apple wine)
4) 포트와인(port wine)
포트와인이란 이름은 포르투칼의 오포르트 항구에서 출하된 적포도주에서 유래한다.
원래는 포도과즙의 발효도중에 브랜디를 첨가하여 발효를 정지시켜서 단맛을 남기고, 떡갈나무로 만든 술통에 넣어 숙성시킨 것이다. 또, 생포도주(dry wine)에 알코올, 설탕, 유기산류, 향료, 색소 등을 섞어서 만든 일종의 혼성주를 포트와인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5) 애플와인(apple wine)
사과를 세척하고 파쇄ㆍ압착하여 과즙을 분리한 후아황산염과 보당으로 과즙을 조정한 다음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킨다. 약 1주일 정도 발효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다시 2~3개월간 숙성시켜서 제품으로 하는데 영어로는 사이더(cider), 프랑스어로는 시드르(cidre)라 부른다. 또 이 사과주를 증류하여 애플 브랜디(프랑스어로는 칼바도스-calvados)를 만들기도 한다.
목 차
포도주(wine)의 제조
1) 적포도주
(1) 원료와 처리
(2) 발효 및 숙성
2) 백포도주
3) 샴페인(champagne, 발포성포도주)
4) 포트와인(port wine)
5) 애플와인(apple win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