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갈등과 사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적 갈등과 사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한 정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본서에서는 “가치관계 모델”이라는 메이어의 범주를 문화로 정의 한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을 문화라는 한 단어로 정의하기에는 애매한 구석이 있다. 따라서 조금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또 마지막으로 결론을 내리면서 저자는 문화를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본다. 물론 저자가 이야기 하는 삶의 패턴으로 그 영역을 한정짓는 다면 그것은 맞는 말일 수 있다. 그러나 문화를 삶의 총체로 볼 때 분명 문화에는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고, 세계관의 뿌리는 종교이다. 따라서 선교의 현장에서 이런 종교적 핵심에 따른 문화의 분석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문화가 어떻게 정의되느냐에 따라서 선교의 범위와 방법이 완전히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더 나아가서 변혁이라는 주제까지 갔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물론 메이어의 기본가치의 모델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약간은 한정된 감이 있지만 문화는 분명 중립적인 것은 아니다. 가치판단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변혁이라는 것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 모델까지 제시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전체적으로 본서는 실질적이고, 분석적으로 메이어의 기본가치 모델을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며 선교지에서 이용할 수 있게 쉽게 제시하였다.
Ⅴ. 통 합(결론)
선교는 문화와 땔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타문화권을 선교하는 경우에 선교사들은 많은 갈등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문화적인 가치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 그것이다. 선교사들은 이런 갈등들의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 아울러 이런 문화권에서 선교하는 자신의 성향이나 문화적인 배경에 대한 명확한 인식 또한 중요하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백전백승이다.” 라는 손자병법의 문구는 선교지에 나가는 선교사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말이다.
선교사라는 것은 우선 그 문화를 알아야 한다. 효과적인 선교를 위해서 문화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공부와 논문을 위해서 라기 보다도 효과적인 복음을 증거하기 위해서 이다. 이를 위해서 선교사는 그리스도의 사역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스도께서는 스스로 세상에 빛을 비추기 위해서 낮아지셨다. 그것이 성육신이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완벽한 인간으로 마구간에서 태어나신 것처럼 겸손과 낮아짐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자신이 현제 익숙한 문화는 우월하게 의식되곤 한다. 특히 미개발 지역에 대한 선교에서는 그런 의식이 지배적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마음은 그리스도의 마음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철저히 낮아져서 인간의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히고, 그들의 인식의 패턴을 따라서 가르치고 사역하신 것처럼 선교의 현장에서 사역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익숙한 문화의 장점을 살리고, 또한 사역지의 문화적 장점을 살릴 필요가 있다. 이런 성향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원리는 철저하게 예수님의 방법이다. 따라서 선교지에서의 충돌이 일어날 때, 그리스도를 성육신에서 그 문제의 원인을 찾고 분석하여야한다. 이를 통해서 선교사는 문화 우월의식에서 벗어나 진정 그리스도께서 이 땅의 죄인들에게 오신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원리에 따른 접근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문화를 바라보는 예리한 눈이다. 문화는 세계관의 반영이다. 세계관은 그 근본에 있어서 종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선교의 대상이 되는 문화권은 기본적으로 다른 세계관, 미신과 자연숭배, 자기이기심 등과 같은 세계관이 반영 되어 있을 것이다. 이런 문화의 뿌리를 분석하여 그것에 엘랭틱스의 방법을 적용하여 회개시키고 그 안에서 문화변혁을 일으키는 것 또한 중요한 선교사의 사명이다. 그것이 온전한 그리스도의 나라를 이루는 길일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9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