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찰일지와 해석 만 0세 1학기 2학기 5명
본문내용
숟가락을 스스로 잡아 음식을 퍼 올리려 하였으나 흘리기도 했고, 교사가 도와주면 다시 받아먹으며 미소를 보였다. 식사가 끝난 후 턱 주변에 묻은 음식을 손가락으로 문질러 입에 넣었다. 낮잠 시간에는 이불을 덮어주자 몸을 옆으로 말며 손가락을 입에 넣고 빨다가 눈을 감고 잠들었다.
신체운동
/
매트 위에서 기어가다 작은 장난감을 잡고 일어나 의자에 몸을 기대어 섰다. 잠시 균형을 잡더니 두 발로 한두 걸음을 내딛으려 시도했으나 곧 앉았다. 교사가 작은 공을 굴려주자 빠르게 기어가 잡은 뒤 두 손으로 들어 올리고 바닥에 던졌다. 블록을 손에 쥐자 양손으로 맞부딪히며 소리를 내다가 바닥에 세우려 하였고, 쓰러지자 다시 반복하였다.
의사소통
/
교사가 이름을 부르자 고개를 돌려 “에에” 하고 대답하듯 소리를 냈다. 교사가 “밥 먹자”라고 말하자 “마마” 비슷한 소리를 내며 웃었다. 장난감을 떨어뜨리자 “아따, 아따” 같은 소리를 반복하며 손을 뻗었다. 교사가 장난감을 건네주자 “우와” 하고 소리를 내며 두 손을 흔들었다. 음악이 흘러나오자 “아아” 소리를 내며 음을 따라 하듯 발성을 반복하였다.
사회관계
/
또래가 교사의 무릎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다가가 교사의 옷자락을 잡았다. 교사가 두 영아를 함께 안아주자 교사 어깨에 얼굴을 기대며 옆 영아를 바라보았다. 또래가 장난감을 흔들자 손을 내밀어 함께 잡으려 하였다. 다른 영아가 웃자 따라서 웃으며 소리를 냈다.
예술경험
/
교사가 작은 북을 두드리자 눈을 반짝이며 주시했다. 북을 건네받아 손바닥으로 두드리며 소리를 확인했다. 소리가 커지자 웃으며 반복적으로 북을 두드렸다. 음악이 흘러나오자 두 팔을 들어 올려 위아래로 흔들며 상체를 좌우로 움직였다. 교사가 리듬에 맞춰 박수를 치자 두 손을 마주쳐 따라 하려는 동작을 보였다.
자연탐구
/
투명한 통 안에 구슬이 굴러다니는 모습을 눈으로 쫓았다. 교사가 통을 흔들자 구슬의 움직임을 뚫어져라 바라보았다. 통을 건네받아 스스로 흔들며 소리를 확인했다. 교사가 바람개비를 불어 회전시키자 손을 뻗어 날개를 잡으려 했고, 바람개비가 멈추자 손으로 직접 돌리며 다시 움직이는 것을 관찰했다. 풍선을 건네받자 양손으로 잡아 눌렀고, 풍선이 손에서 튀자 깔깔 웃으며 빠르게 기어가 잡았다.
종합해석
기본생활에서 스스로 숟가락과 컵을 사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자율성이 확장되고 있다. 신체에서는 기어 다니기에서 일어서기, 한두 걸음 내딛기까지 시도하며 대근육 발달을 보였다. 의사소통에서는 옹알이에서 낱말 비슷한 발성으로 요구와 감정을 표현하였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교사에게 관심을 보이며 상호작용하려는 모습을 드러냈다. 예술경험에서는 북과 음악, 박수 소리에 신체를 움직이며 즐거움을 표현했고, 자연탐구에서는 구슬, 바람개비, 풍선 등을 탐색하며 호기심과 탐색 행동을 활발히 나타냈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0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오전 간식으로 준비된 과일을 작은 조각으로 건네주자 손가락으로 집어 입에 넣었다. 과일 조각이 손가락에 달라붙자 손을 털며 웃었고, 교사가 닦아주자 다시 손을 내밀었다. 점심 식사 시간에는 숟가락을 잡아보려는 시도를 했고, 숟가락을 들고 입에 가져가다가 음식이 떨어지자 “아” 소리를 내며 웃었다. 식사 후 교사가 물을 컵에 따라주자 두 손으로 잡아 입에 대었고, 물이 턱으로 흘러내리자 옷을 만지며 신기한 듯 바라보았다. 낮잠 시간에는 교사가 이불을 덮어주자 몸을 옆으로 말고 손가락을 입에 넣은 채 천천히 눈을 감았다.
신체운동
/
매트 위에서 빠르게 기어가다 작은 의자에 손을 대고 몸을 일으켜 섰다. 균형을 잡으며 두 발로 버티다가 한 발을 내딛으려 했으나 곧 앉았다. 교사가 작은 공을 굴리자 곧장 기어가 공을 잡아 바닥에 두드렸다. 두 손으로 블록을 잡아 머리 위로 올렸다가 바닥에 떨어뜨리며 소리를 냈고, 다시 주워 들며 반복했다. 작은 북을 건네주자 손바닥으로 두드리며 소리를 즐겼다.
의사소통
/
교사가 이름을 부르자 얼굴을 돌려 눈을 맞추며 “응” 하고 소리를 냈다. 교사가 “잘했어”라고 말하자 두 손을 흔들며 웃었다. 장난감을 잡고 놀다 떨어뜨리자 “아따, 아따” 같은 소리를 내며 교사를 바라보았다. 교사가 건네주자 “우와” 소리를 내며 두 손을 쳤다. 교사가 노래를 불러주자 “아아” 소리를 따라 내며 입모양을 흉내 냈다.
사회관계
/
옆에서 또래가 교사의 무릎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손을 뻗어 교사의 옷자락을 잡았다. 교사가 두 영아를 동시에 안아주자 교사 어깨에 얼굴을 기대며 옆 영아를 쳐다보았다. 다른 영아가 웃자 따라서 웃으며 “에에” 소리를 냈다. 또래가 장난감을 들고 흔들자 그쪽으로 다가가 손을 내밀며 함께 잡으려 했다.
예술경험
/
음악이 흘러나오자 양손을 머리 위로 들어 흔들며 상체를 좌우로 흔들었다. 교사가 북을 두드리자 주의를 기울이며 바라보다가 북을 건네받아 두 손바닥으로 세게 두드렸다. 소리가 커지자 입을 벌리고 웃으며 반복적으로 북을 쳤다. 교사가 박수를 치며 리듬을 맞추자 두 손을 마주쳐 소리를 내며 따라 했다.
자연탐구
/
투명한 통 안에 작은 구슬이 굴러다니는 것을 눈으로 따라가며 지켜봤다. 통을 건네받아 스스로 흔들어보고, 구슬이 움직이는 소리를 들으며 미소 지었다. 교사가 바람개비를 불어 회전시키자 손을 뻗어 잡으려 시도했고, 바람개비가 멈추자 손으로 직접 돌려보았다. 풍선을 건네받자 양손으로 눌러보고, 풍선이 손에서 튀자 깔깔 웃으며 빠르게 기어가 다시 잡았다.
종합해석
기본생활에서 스스로 먹고 마시려는 시도를 하며 자율성을 보였다. 신체 활동에서는 기어 다니기, 서기, 걷기 시도까지 이어지며 대근육 발달이 활발했다. 의사소통에서는 옹알이에서 낱말 비슷한 발화를 통해 감정과 요구를 표현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교사에게 관심을 보이며 함께하려는 행동을 나타냈다. 예술경험에서는 음악과 북, 박수에 즐겁게 반응하며 신체를 움직였고, 자연탐구에서는 구슬, 바람개비, 풍선 등 다양한 사물의 성질을 눈과 손으로 탐색하며 호기심을 드러냈다.
신체운동
/
매트 위에서 기어가다 작은 장난감을 잡고 일어나 의자에 몸을 기대어 섰다. 잠시 균형을 잡더니 두 발로 한두 걸음을 내딛으려 시도했으나 곧 앉았다. 교사가 작은 공을 굴려주자 빠르게 기어가 잡은 뒤 두 손으로 들어 올리고 바닥에 던졌다. 블록을 손에 쥐자 양손으로 맞부딪히며 소리를 내다가 바닥에 세우려 하였고, 쓰러지자 다시 반복하였다.
의사소통
/
교사가 이름을 부르자 고개를 돌려 “에에” 하고 대답하듯 소리를 냈다. 교사가 “밥 먹자”라고 말하자 “마마” 비슷한 소리를 내며 웃었다. 장난감을 떨어뜨리자 “아따, 아따” 같은 소리를 반복하며 손을 뻗었다. 교사가 장난감을 건네주자 “우와” 하고 소리를 내며 두 손을 흔들었다. 음악이 흘러나오자 “아아” 소리를 내며 음을 따라 하듯 발성을 반복하였다.
사회관계
/
또래가 교사의 무릎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다가가 교사의 옷자락을 잡았다. 교사가 두 영아를 함께 안아주자 교사 어깨에 얼굴을 기대며 옆 영아를 바라보았다. 또래가 장난감을 흔들자 손을 내밀어 함께 잡으려 하였다. 다른 영아가 웃자 따라서 웃으며 소리를 냈다.
예술경험
/
교사가 작은 북을 두드리자 눈을 반짝이며 주시했다. 북을 건네받아 손바닥으로 두드리며 소리를 확인했다. 소리가 커지자 웃으며 반복적으로 북을 두드렸다. 음악이 흘러나오자 두 팔을 들어 올려 위아래로 흔들며 상체를 좌우로 움직였다. 교사가 리듬에 맞춰 박수를 치자 두 손을 마주쳐 따라 하려는 동작을 보였다.
자연탐구
/
투명한 통 안에 구슬이 굴러다니는 모습을 눈으로 쫓았다. 교사가 통을 흔들자 구슬의 움직임을 뚫어져라 바라보았다. 통을 건네받아 스스로 흔들며 소리를 확인했다. 교사가 바람개비를 불어 회전시키자 손을 뻗어 날개를 잡으려 했고, 바람개비가 멈추자 손으로 직접 돌리며 다시 움직이는 것을 관찰했다. 풍선을 건네받자 양손으로 잡아 눌렀고, 풍선이 손에서 튀자 깔깔 웃으며 빠르게 기어가 잡았다.
종합해석
기본생활에서 스스로 숟가락과 컵을 사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자율성이 확장되고 있다. 신체에서는 기어 다니기에서 일어서기, 한두 걸음 내딛기까지 시도하며 대근육 발달을 보였다. 의사소통에서는 옹알이에서 낱말 비슷한 발성으로 요구와 감정을 표현하였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교사에게 관심을 보이며 상호작용하려는 모습을 드러냈다. 예술경험에서는 북과 음악, 박수 소리에 신체를 움직이며 즐거움을 표현했고, 자연탐구에서는 구슬, 바람개비, 풍선 등을 탐색하며 호기심과 탐색 행동을 활발히 나타냈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만 0세)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오전 간식으로 준비된 과일을 작은 조각으로 건네주자 손가락으로 집어 입에 넣었다. 과일 조각이 손가락에 달라붙자 손을 털며 웃었고, 교사가 닦아주자 다시 손을 내밀었다. 점심 식사 시간에는 숟가락을 잡아보려는 시도를 했고, 숟가락을 들고 입에 가져가다가 음식이 떨어지자 “아” 소리를 내며 웃었다. 식사 후 교사가 물을 컵에 따라주자 두 손으로 잡아 입에 대었고, 물이 턱으로 흘러내리자 옷을 만지며 신기한 듯 바라보았다. 낮잠 시간에는 교사가 이불을 덮어주자 몸을 옆으로 말고 손가락을 입에 넣은 채 천천히 눈을 감았다.
신체운동
/
매트 위에서 빠르게 기어가다 작은 의자에 손을 대고 몸을 일으켜 섰다. 균형을 잡으며 두 발로 버티다가 한 발을 내딛으려 했으나 곧 앉았다. 교사가 작은 공을 굴리자 곧장 기어가 공을 잡아 바닥에 두드렸다. 두 손으로 블록을 잡아 머리 위로 올렸다가 바닥에 떨어뜨리며 소리를 냈고, 다시 주워 들며 반복했다. 작은 북을 건네주자 손바닥으로 두드리며 소리를 즐겼다.
의사소통
/
교사가 이름을 부르자 얼굴을 돌려 눈을 맞추며 “응” 하고 소리를 냈다. 교사가 “잘했어”라고 말하자 두 손을 흔들며 웃었다. 장난감을 잡고 놀다 떨어뜨리자 “아따, 아따” 같은 소리를 내며 교사를 바라보았다. 교사가 건네주자 “우와” 소리를 내며 두 손을 쳤다. 교사가 노래를 불러주자 “아아” 소리를 따라 내며 입모양을 흉내 냈다.
사회관계
/
옆에서 또래가 교사의 무릎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손을 뻗어 교사의 옷자락을 잡았다. 교사가 두 영아를 동시에 안아주자 교사 어깨에 얼굴을 기대며 옆 영아를 쳐다보았다. 다른 영아가 웃자 따라서 웃으며 “에에” 소리를 냈다. 또래가 장난감을 들고 흔들자 그쪽으로 다가가 손을 내밀며 함께 잡으려 했다.
예술경험
/
음악이 흘러나오자 양손을 머리 위로 들어 흔들며 상체를 좌우로 흔들었다. 교사가 북을 두드리자 주의를 기울이며 바라보다가 북을 건네받아 두 손바닥으로 세게 두드렸다. 소리가 커지자 입을 벌리고 웃으며 반복적으로 북을 쳤다. 교사가 박수를 치며 리듬을 맞추자 두 손을 마주쳐 소리를 내며 따라 했다.
자연탐구
/
투명한 통 안에 작은 구슬이 굴러다니는 것을 눈으로 따라가며 지켜봤다. 통을 건네받아 스스로 흔들어보고, 구슬이 움직이는 소리를 들으며 미소 지었다. 교사가 바람개비를 불어 회전시키자 손을 뻗어 잡으려 시도했고, 바람개비가 멈추자 손으로 직접 돌려보았다. 풍선을 건네받자 양손으로 눌러보고, 풍선이 손에서 튀자 깔깔 웃으며 빠르게 기어가 다시 잡았다.
종합해석
기본생활에서 스스로 먹고 마시려는 시도를 하며 자율성을 보였다. 신체 활동에서는 기어 다니기, 서기, 걷기 시도까지 이어지며 대근육 발달이 활발했다. 의사소통에서는 옹알이에서 낱말 비슷한 발화를 통해 감정과 요구를 표현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교사에게 관심을 보이며 함께하려는 행동을 나타냈다. 예술경험에서는 음악과 북, 박수에 즐겁게 반응하며 신체를 움직였고, 자연탐구에서는 구슬, 바람개비, 풍선 등 다양한 사물의 성질을 눈과 손으로 탐색하며 호기심을 드러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