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동불법행위의 의의
2. 공동불법행위의 모습과 요건
3.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
2. 공동불법행위의 모습과 요건
3.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
본문내용
다51148).
대판 2001.2.9. 2000다60227 피해자가 공동불법행위자들을 모두 피고로 삼아 한꺼번에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와 달리 공동불법행위자별로 별개의 소를 제기하여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각 소송에서 제출된 증거가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의 경위와 피해자의 손해액산정의 기초가 되는 사실이 달리 인정됨으로 인하여 과실상계비율과 손해액도 서로 달리 인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공동불법행위자들 중 일부를 상대로 한 전소에서 승소한 금액을 전부 지급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금액이 나머지 공동불법행위자에 대한 후소에서 산정된 손해액에 미치지 못한다면 후소의 피고는 그 차액을 피해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
대판 2000.8.22. 2000다29028 공동불법행위자 중의 1인이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와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제3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짐과 동시에 피해자로서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에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경우에 피해자로서의 과실상계의 대상이 되는 과실 내용이나 비율은 공동불법행위자 사이에 제3자에 대한 가해자로서의 부담 부분을 정하기 위한 과실 내용이나 비율과 반드시 일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대판 2001.2.9. 2000다60227 피해자가 공동불법행위자들을 모두 피고로 삼아 한꺼번에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와 달리 공동불법행위자별로 별개의 소를 제기하여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각 소송에서 제출된 증거가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의 경위와 피해자의 손해액산정의 기초가 되는 사실이 달리 인정됨으로 인하여 과실상계비율과 손해액도 서로 달리 인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공동불법행위자들 중 일부를 상대로 한 전소에서 승소한 금액을 전부 지급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금액이 나머지 공동불법행위자에 대한 후소에서 산정된 손해액에 미치지 못한다면 후소의 피고는 그 차액을 피해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
대판 2000.8.22. 2000다29028 공동불법행위자 중의 1인이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와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제3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짐과 동시에 피해자로서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에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경우에 피해자로서의 과실상계의 대상이 되는 과실 내용이나 비율은 공동불법행위자 사이에 제3자에 대한 가해자로서의 부담 부분을 정하기 위한 과실 내용이나 비율과 반드시 일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추천자료
[형법]공범과 신분(형법 제33조의 해석문제)에 대한 이론과 판례
법률행위의 목적
민법상 점유취득시효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권리의 종류와 경합에 대한 검토
민법상 조건부 법률행위의 효력 연구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에 관한 민법상 연구
민법상 진의 아닌 의사표시에 대한 검토
민법상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전반에 대한 검토
민법상 조합에 대한 법적 쟁점 검토
불법 스팸메일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쟁의행위와 임금지급의무에 대한 법적 검토
공동대표이사제도에 대한 상법상 검토
민법상 해제의 효과에 대한 판례 검토 (민법)
[형법 사례] 공동정범 중 일부가 피해자인 경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