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이론과 갈등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기능이론
1. 기본 전제
2. 기능이론에서 바라보는 학교의 기능
3. 기능이론의 교육적 기본 과정
4. 갈등이론에 관한 문제제기
5. 대표적인 학자
가. 에밀 뒤르껨(Emile Durkheim)
나. 파슨스(T. Parsons)
다. 드리벤(R. Dreeben) : 학교사회화 이론

II. 갈등이론
1. 갈등이론의 기본 전제
2. 갈등이론에서 바라보는 학교의 기능
3. 기능이론에 대한 문제제기
4. 칼 마르크스(K. Marx) : 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
가. 기본 전제
나.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다. 이데올로기와 의식화
5. 갈등이론과 교육

III.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본문내용

이행될 것으로 예견하였다.
다. 이데올로기와 의식화
지배계급의 그럴듯한 논리는 피지배계급의 의식세계까지 지배하게 되고, 이들이 제시한 환상적, 허위적 논리에 따라간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관습이나 법, 이념이나 지식, 예술의 형태로 존재한다. 학교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가지고 학생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깨닫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을 의식화라고 한다.
* 알튀세(L. Althusser)
자본주의사회의 노동력 재생산이 어떻게 일어나는가? 이데올로기적 복종 아래서 일어난다.
- 억압적 국가기구(RSA) : 국가, 정치, 군대, 감옥 등은 억압, 폭력을 통해 역할 수행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ISA) : 이데올로기적으로 자본을 재생산하고 기존 질서체계에 학 생들을 알게 모르게 편입시킴. 대표적인 기관이 학교이다.
5. 갈등이론과 교육
갈등론적 교육관은 비판적이며,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학교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기관이 아니며 지배집단과 관련을 맺고 있다.
② 학교는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를 전수하는 곳으로, 불평등 사회구조를 심화시키는 역할 을 한다.
③ 학교는 업적주의 이념으로 공정성을 위장하고 있으며, 실패의 원인을 사회구조적인 측 면 보다 개인의 능력과 노력 부적으로 돌리고 있다.
④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인지적 능력보다는 지배집단이 선호하는 가치태도규범 등을 주 입하고 있다.
⑤ 결국 학교는 기존의 불평등한 사회질서에 개인을 편입시키고, 지배집단의 이익에 기여하 는 도구적 장치에 불과하다.
이런 5 가지 유형으로 인해 학교는 독립적인 사고와 인간적이 가치를 길러주기 보다는 순종과 예속성을 가르치는 기관이라고 Bowles & Gintis 가 말하였다.
학교교육에 대한 갈등론적 이론들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다. 교육이 사회계급을 재생산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재생산이라고 하며, 이 재생산이론은 경제적 재생산이론과 문화적 재 생산이론의 두 가지가 있다. 또 다른 것은 ‘교육과 국가론으로 불리는 국가와 교육과의 관계에 관한 분석이 있다.
- 자본주의 교육기관은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소유관계의 산물이다.
- 교육은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곳이 아니며, 교묘하게 위장된 지배집단의 이익을 지속화시키기 위한 장소다. 교육은 공정하지 못하며 기존 계층 질서를 정당화시켜주는 도구다.
* 학교는 중립적이지 않으며 지배집단과 관련을 맺는다.
* 학교는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를 전수하며,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심화시킨다.
* 학교는 개인의 실패 원인을 사회구조적 측면보다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 전가시킨다.
- 따라서 자본주의의 교육은 절대다수의 국민을 기계로 만드는 훈련에 불과하므로 소멸시켜야 한다. 교육은 노동과 분리되어서는 않되고 교육을 물질 생산과 결합시켜야 한다.
III.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기능이론
갈등이론
학교는 사회 안정과 질서에 기여한다.
학교는 기존 질서를 공고히 하며,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변한다.
학교는 기술, 지식, 공동체의식을 전수하고, 이를 통해 국가경제가 발전하며 개인은 자아실현을 한다.
학교는 기존 질서를 재생산하여 사회불평등을 유지, 심화시키고, 피지배계층의 자아실현은 없다.
교육은 독립적이며 자율적이며, 교과내용은 사회구성원의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다.
교육은 지배계층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는 곳이며, 그들의 구미에 맞는 교육내용을 가르친다.
학교는 개인의 능력을 공정히 평가하며, 이에 따라 정당한 보상이 주어진다.
개인의 능력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 때문에 학교교육 성취의 차이가 발생한다.
학교교육을 통해서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학교교육을 통해서 갈등이 심화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