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서란 무엇인가
2. 청소년의 독서 실태
3. 독서가 우리들에게 주는 영향
4. 독서가 외면 받는 이유
5. 청소년들에게 독서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방안
6. 맺음말
7. 참고자료
2. 청소년의 독서 실태
3. 독서가 우리들에게 주는 영향
4. 독서가 외면 받는 이유
5. 청소년들에게 독서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방안
6. 맺음말
7.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 습득보다는 칼라로 보여지고 거기에다 재미까지 함께주는 모니터를 통해서 그들은 정보를 얻어간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에게 재미있는 문화공간을 만들어 주는 일이 필요하며, 그 문화공간은 컴퓨터 상이 될 것이다. 그 곳에서 우리는 딱딱한 종이로 된 책이 아닌 흥미를 끌 수 있는 전자도서를 제공해 줌으로써 그들에게 책을 읽는 흥미를 심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그들을 독서로 이끌 수 있는 대중매체를 이용한 독서캠페인이 함께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매주 토요일 저녁 MBC TV에서 방송되는 ‘느낌표’란 프로그램에서 김용만, 유재석이 진행하는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코너가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사실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의 캠페인 방식은 황당할 정도로 말장난이 심하다. 그런데도 두 진행자가 필독도서 100권을 들고 다니며 읽은 사람을 애타게 찾는 대목에 이르면 시청자들은 어느새 저 책을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서점으로 달려가 책을 구입한다. 이렇듯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는 시청자들에게 즉각적인 자극과 반응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켐페인은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모르는 잠재 독자들을 독서로 이끌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할 것이다.
6. 맺음말
독서는 세계를 인식하는 창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확실하다는 인식이 팽배한 물질주의와 쾌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인식하게 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성 계발이 무엇보다도 요구되는 21세기 지식, 정보화의 시대에는 독서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고,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학교교육의 중심 과제가 되었다. 우리는 특히 독서 지도에서 이러한 과정 중심의 접근을 취함으로써, 이러한 능숙한 독자를 길러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7. 참고자료
박병길, 『중고등학생들의 독서실태 분석을 통한 독서지도연구』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류치곤, 『인터넷을 활용한 독서의 현황과 개선방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느낌표-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MBC TV 매주 토요일밤 9시 45분
김중식,『책 안 읽는 청소년 (3)인터넷시대 독서교육』『경향신문』
홍성철,『전 연령층에 걸쳐 독서량 턱없이 부족』『문화일보』
성정일, [어린이 글쓰기와 독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나], 시서례
그러므로 청소년들에게 재미있는 문화공간을 만들어 주는 일이 필요하며, 그 문화공간은 컴퓨터 상이 될 것이다. 그 곳에서 우리는 딱딱한 종이로 된 책이 아닌 흥미를 끌 수 있는 전자도서를 제공해 줌으로써 그들에게 책을 읽는 흥미를 심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그들을 독서로 이끌 수 있는 대중매체를 이용한 독서캠페인이 함께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매주 토요일 저녁 MBC TV에서 방송되는 ‘느낌표’란 프로그램에서 김용만, 유재석이 진행하는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코너가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사실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의 캠페인 방식은 황당할 정도로 말장난이 심하다. 그런데도 두 진행자가 필독도서 100권을 들고 다니며 읽은 사람을 애타게 찾는 대목에 이르면 시청자들은 어느새 저 책을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서점으로 달려가 책을 구입한다. 이렇듯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는 시청자들에게 즉각적인 자극과 반응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켐페인은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모르는 잠재 독자들을 독서로 이끌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할 것이다.
6. 맺음말
독서는 세계를 인식하는 창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확실하다는 인식이 팽배한 물질주의와 쾌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인식하게 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성 계발이 무엇보다도 요구되는 21세기 지식, 정보화의 시대에는 독서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고,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학교교육의 중심 과제가 되었다. 우리는 특히 독서 지도에서 이러한 과정 중심의 접근을 취함으로써, 이러한 능숙한 독자를 길러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7. 참고자료
박병길, 『중고등학생들의 독서실태 분석을 통한 독서지도연구』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류치곤, 『인터넷을 활용한 독서의 현황과 개선방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느낌표-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MBC TV 매주 토요일밤 9시 45분
김중식,『책 안 읽는 청소년 (3)인터넷시대 독서교육』『경향신문』
홍성철,『전 연령층에 걸쳐 독서량 턱없이 부족』『문화일보』
성정일, [어린이 글쓰기와 독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나], 시서례
추천자료
학습장애아동의 개념, 학습장애아동의 원인, 학습장애아동의 유형, 학습장애아동의 교육배경,...
[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아지도][학습장애][특수교육]학습장애의 개념, 학습장애아동의 특...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정의, 배경, 필요성,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과 창의적 사고...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연극놀이학습,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지명탐색학습, ...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교과내...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말과 수놀이학습,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문제해결협동학습...
재량활동의 의의와 편성, 재량활동의 인성교육 사례, 재량활동의 예절교육 사례, 재량활동의 ...
전통음악교육(교수학습)프로그램, 직업준비교육(교수학습)프로그램, 인성교육(교수학습)프로...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부서선정과 부서조...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총체적언어교육과 독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독서...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 의미와 배경,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 특징과 원리,...
인성교육(인성지도) 개념,지향점, 인성교육(인성지도) 의의, 인성교육(인성지도) 접근방법, ...
어린이(아동)와 미술관교육, 미술교육, 어린이(아동)와 가정교육, 인성교육, 어린이(아동)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