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의 개요
2. 관련 주요 판례
2. 관련 주요 판례
본문내용
오하여 위 병원을 폐업하기로 마음먹고 자신이 고용하고 있던 의사 5명으로 하여금 사직서를 제출하게 하여 1987. 12. 30. 위 병원을 폐업하고 그 다음날 원고를 비롯한 근로자를 모두 해고한 사실을 확정한 다음 위 폐업이 위장폐업임을 인정할 자료가 없으므로 그 사업체를 폐업함으로써 원고가 복귀할 사업체가 없어진 이상 원고의 구제신청은 실익이 없게 되었다고 판시하고 있는 바, 기록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니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하여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리나 구제이익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없다. (대법원 1990. 2. 27. 선고 89누6501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1누2762 판결이 있다.
추천자료
단체교섭 거부와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법적 검토
지배 개입 및 경비원조와 그 구제에 대한 법적 검토
집단적 노동관계법상 사용자 개념의 확대 문제 고찰
중앙노동위원회 권한에 대한 법적 검토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의 사용자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에서의 사용자개념
불이익취급 전반에 대한 세부 검토
노조법상 비열계약의 부당노동행위와 유니언 샵 제도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의 구체적 태양
단체교섭의 유형 및 방법 관련 판례 검토
중앙노동위원회 판결사례-직위해제사유(형사사건으로 계류중인자)인한 조징심판사례-사건번호...
[노동조합법, 노조]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의 설립요건, 법인격, 노동조합및노...
한국통신계약직(한통계약직, KT)과 노조문제, 한국통신계약직(한통계약직, KT) 노조건설, 한...
[법학개론] 노사관계법(勞使關係法) - 노동법의 개념(정의),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총설, 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