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용기로 -C6H5 의 화학식을 지닌다. 여기 에서 6개의 탄소 원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순환 고리 구조를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Ph 를 약어로 가지는 페닐기는 아릴기의 일종이다. 페닐기는 매우 안정적이며, 방향족 탄화수소의 일종이고, 많은 유기 화합물에서 발견된다. 페닐기는 C6H6의 구조를 지니는 벤젠에서 유도된 것으로 생각 될 수 있고, 따라서 화학 문헌에서 종종 벤젠 자체를 Ph로 표기하기도 한다. 페닐기를 포함하는 가장 단순한 화합물은 페놀(C6H5OH)로,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된 구조이다. 페놀은 공명 안정성 때문에, 다른 알코올보다도 훨씬 강한 산으로 작용한다. (pKa = 10 vs. 16-18). 페닐은 메틸렌기(CH2)이 없다는 점에서 벤질기과 다르며, 폴리스티렌과 같은 중합체에도 존재한다.
-NO2 : 니트로기
공명혼성체구조로 된 1가(價)의 기로 일반적으로 -NO2가 포함되어 있다. 유기화합물에 진한 질산 HNO3를 작용시키면 질산의 -NO3에서 -NO2가 생기는데, 이것이 유기화합물을 니트로화한다. 이때 진한 황산을 탈수제로서 미리 첨가하여 두면 니트로기가 쉽게 도입된다.
CnH2n+1 : 알킬기
화학식은 CnH2n+1-로 표시되며 약호는 R이다. 알킬기라는 이름은 모체가 되는 포화탄화수소(알칸, alkan)의 어미를 -yl로 바꾸고 알킬 alkyl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메탄(methane)의 수소 1개를 제외한 CH3-는 메틸(methyl)이된다. 이 밖에 에틸 C2H5-를 비롯하여 프로필 CH3CH2CH2-, 부틸 CH3CH2CH2CH2-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또 메틸기·에틸기에는 이성질체 구조는 없지만, C3 이상의 것에는 노르말사슬구조와 가지가 있는것이 있다.
Ar- : 아릴기 (* 방향족화합물에서 수소원자 1개를 뺀 원자단의 총칭)
지방족 탄화수소에서 수소원자 하나를 뺀 알킬기 CnH2n+1- 와 대응된다. 불포화원자단인 알릴기 CH2=CH-CH2- 와 구별하여 아릴기로 표시한다. 여러 종류가 있는데 벤젠에서 유도되는 페닐기와 축합고리 방향족화합물인 안트라센, 페난트렌에서 유도되는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등이 있다. 벤젠핵이 2개 직접 결합된 화합물인 비페닐에서 유도되는 비페닐기도 있다.
CH2=CH-CH2- : 알릴기
1가(價)의 불포화탄화수소기로서 H₂C=CH↕CH₂↕로 표시되는 치환기. 일반적으로 알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접두어로 알릴을 붙여서 부른다.
-NO2 : 니트로기
공명혼성체구조로 된 1가(價)의 기로 일반적으로 -NO2가 포함되어 있다. 유기화합물에 진한 질산 HNO3를 작용시키면 질산의 -NO3에서 -NO2가 생기는데, 이것이 유기화합물을 니트로화한다. 이때 진한 황산을 탈수제로서 미리 첨가하여 두면 니트로기가 쉽게 도입된다.
CnH2n+1 : 알킬기
화학식은 CnH2n+1-로 표시되며 약호는 R이다. 알킬기라는 이름은 모체가 되는 포화탄화수소(알칸, alkan)의 어미를 -yl로 바꾸고 알킬 alkyl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메탄(methane)의 수소 1개를 제외한 CH3-는 메틸(methyl)이된다. 이 밖에 에틸 C2H5-를 비롯하여 프로필 CH3CH2CH2-, 부틸 CH3CH2CH2CH2-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또 메틸기·에틸기에는 이성질체 구조는 없지만, C3 이상의 것에는 노르말사슬구조와 가지가 있는것이 있다.
Ar- : 아릴기 (* 방향족화합물에서 수소원자 1개를 뺀 원자단의 총칭)
지방족 탄화수소에서 수소원자 하나를 뺀 알킬기 CnH2n+1- 와 대응된다. 불포화원자단인 알릴기 CH2=CH-CH2- 와 구별하여 아릴기로 표시한다. 여러 종류가 있는데 벤젠에서 유도되는 페닐기와 축합고리 방향족화합물인 안트라센, 페난트렌에서 유도되는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등이 있다. 벤젠핵이 2개 직접 결합된 화합물인 비페닐에서 유도되는 비페닐기도 있다.
CH2=CH-CH2- : 알릴기
1가(價)의 불포화탄화수소기로서 H₂C=CH↕CH₂↕로 표시되는 치환기. 일반적으로 알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접두어로 알릴을 붙여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