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지방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트랜스 지방산이란

2. 트랜스 지방산의 위험성

3. 국내식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과 영향

4. 해외 시장의 트랜스 지방산 대책

5. 현 우리나라의 대책 및 방안

6. 결 론

본문내용

free
조건
(100g당)
0.5g 미만
1g 미만
미국과 동일
-
-
-
적용시기
06.1
03.6
05.12
06.1
-
-
-한국식품연구원 2006년 자료
1) 트랜스 지방산에 대한 해외 식품 업계 반응
해외업계는 트랜스 지방 함유 정도를 포화지방산처럼 식품 포장에 표시하는 제도가 시행됨으로서 제품의 맛을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을 없애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Campbell Soup社는 자사의 스프나 스파게티 등의 캔 제품에 소비자들이 이미 오랜 기간 익숙해진 기존의 맛을 해치지 않으며 트랜스 지방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동사의 자회사인 Pepperidge Farm社 역시 지난 12월에 ‘Goldfish’ 크래커 제품에 트랜스 지방 성분을 제거한데 이어 쿠키 제품에도 같은 시도를 하고 있다.
J.M. Smucker社는 이미 지난 4월에 트랜스 지방이 포함되지 않은 ‘Crisco’ 식용유 제품을 선보였다. 포장을 푸른색으로 하여 건강 이미지를 강조하였는데 현재 매출이 순조롭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Gorton社 역시 자사의 56가지 냉동 어류 식품에 트랜스 지방을 제거한 제품을 내놓았다.
Kraft Foods社 또한 트랜스 지방을 제거한 ‘Triscuits’와 ‘Oreos’ 제품을 내놓은 데이어 다른 쿠키와 크래커에도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업체는 트랜스 지방 제거 외에도 포화 지방 역시 이전 제품보다 함량을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트랜스 지방을 제거한 제품이 일반화되기까지 이들 선도 업체들이 제품 차별화로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트랜스 지방산에 대한 해외시장을 조사하다 재미있는 뉴스를 발견했다. 샌프란시스코 환경 운동사사 맥도날드사를 트랜스지방 사용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였는데 이에 대한 법원의 중재 명령이 떨어져 자사는 이를 받아들인다고 뉴욕타임즈 뉴스이다. 맥도날드사는 심장학회에 700만 달러의 연구비를 기부해야하면 트랜스지방의 홍보비용으로 150만달러를 기부해야 한다. 이 뉴스의 중요한 점은 맥도날드사가 트랜스 지방산의 유해성에 대해서 인정했다는 사실이다. 판매하는 자가 해로움점을 인정하였는데 그것을 과연 먹어도 될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5. 현 우리나라의 대책 및 방안
트랜스 지방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일부 가공 식품 중 트랜스지방의 잔류 실태를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마가린 및 쇼트닝 등 가공유지에서 100g당 평균 14.4±10.2g, 비스켓류에서 2.8±2.1g, 초콜릿가공품에서 3.2±2.4g, 스낵류에서 1.2±2.1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트랜스 지방산은 앞서 말한바와 같은 신체에 해로운 작용을 하므로 관리해주어야 한다. WHO에서 권장하는 트랜스지방산 섭취량은 2000칼로리 섭취시 2.2g이므로 위에 조사한 식품 내에 존재하는 트랜스지방산 양은 과다하다고 사료되며, 정부기관에서 관리대상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현 우리나라에서 시행계획중인 트랜스지방의 대책방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트랜스 지방산의 감소를 촉진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와 만찬가지로 2008년도에는 트랜스지방산의 표시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식약청에서 한국식품공업협회의 주관하에 민·관대책반(T/F)을 구성하여 가공유지의 공정개선과 대체품의 개발·활용등 저감화 방안에 대한 상호정보교환과 아울러 자율적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자율적감화방안을 강구토록 유지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시설 및 공정의 개발·적용에는 상당한 자본의 투입과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외에 우리 식생활 중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예견되는 식품에 대한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들 성분을 섭취함으로써 소비자에 미칠 수 있는 건강영향평가를 과학적으로 실시하여 트랜스지방성의 위험성을 좀 더 과학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마지막 대책 방안으로는 유지 식품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다. 지금까지 말한 대책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소비자들이 트랜스 지방산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위험한지를 모른다면 국가에서 트랜스지방산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은 물거품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제품을 선택하는 자는 소비자 국민이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트랜스지방산에 대해서 모른다면 제품영양표시에 트랜스 지방산의 함유량이 높아도 구입할 것이며 트랜스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들을 계속 섭취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교육은 대책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6. 결 론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트랜스 지방산은 인체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건강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과잉행동증과 어른들의 만성피로에도 매우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해로운 트랜스 지방산에 우리는 매우 노출되어 있다. 보통 가공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오는 9월부터 가공식품label에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label을 보는 습관을 기울여 WHO에서 정한 권장섭취량을 지키도록 노력해야 하며, 식품회사 역시 허위로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직하게 표시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7. 참고 문헌
<인터넷사이트>
네이버백과사전
www.tripleomegaplus.com
http://www.hani.co.kr
http://www.samna.co.kr/ddt/wlqkd.htm
www.CartoonStock.com
http://www.mbakery.co.kr/200509/subpage/200504_1.htm
<논문>
한국인의 식품중 트랜스지방산의 함량과 섭취
(김종리, 장경원. 신효선, -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한국 보건 산업진흥원 000)
Trans지방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심소희, 노경희 - 인제대학 식품과학부, 부산여자대학식품영양과 2001)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지방산 함량
(노경희, 이교연, 문정원, 이미오가,, 송영선- 인제대학교 식품과학부, 부산여자대학 식품 영양과 1999)
<서적>
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 (안병수, 국일미디어, 2005)

KBS 생로병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