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만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차시 비만이란?

◉시작하기
◉학습내용
1-1.비만의 정의
1-2비만의 분류
1-3.비만의 진단방법 :체질량지수(BMI)

2-1.복부비만이 왜 중요한가?
2-2.진단방법:허리둘레
2-3.복부 비만의 분류

3. 비만의 유병률

◉평가하기
◉정리하기

본문내용

비만
복부의 피부 밑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
주로 성장기에 발생
(비만한 청소년 및 젊은 여성)
-내장지방형 복부비만
복강 내부 내장 사이를 가르는 장간막과 위주변의 막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
주로 40-50대 중년 남성및 폐경기 이후 여성
☆피하형과 내장형 복부비만은 복부지방 컴퓨터 단층 촬영(CT)으로 구별
3. 비만의 유병률
전 세계적으로 비만 유병률 증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님
남자는 40,50대 여자는 50,60대에 많음
평가하기
40세의 남자 환자가 건강검진을 위해서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과거력은 없었으며, 신체 계측상 키 170cm에 체중이 67kg이었다.
혈압은 정상이었고 평소에 규칙적으로 하는 운동은 없었으며 평소에 활동량은 보통이었다.
허리둘레는 97cm이었고 엉덩이 둘레는 100cm이었다.
1.상기 환자의 체질량지수는 얼마일까요? 23
2.상기 환자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옳은 설명은 무엇일까요?
1.비만이므로 적극적인 식사조절과 운동치료를 시작하도록 한다.
2.비만이 아니므로 치료를 할 필요성이 없다.
3.이 환자에서는 체성분검사를 하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4.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같은 대사 이상인 가능성이 높다.
3.다음 중 복부 비만도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1.BMI
2.피부주름 두께 측정
3.허리둘레
4.브로카법
4.다음 비만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비만은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2.복부비만의 형태 중 피하지방형 복부비만이 더 위험하다
3.허리/엉덩이 둘레비와 허리둘레는 비만의 주요 합병증 발생과 관련성이 없다.
4.여자의 경우 체지방률이 30%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한다.
정리하기
-섭취한 에너지가 몸을 유지하고 움직이는데 사용하고도 남을 경우 남는 에너지는 지방의 형태로 저장된다.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경우를 비만이라 하는데 체질량지수가 23이면 과체중 25이상이면 비만 30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정의한다.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허리둘레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며, 내장지방의 축적정도를 알아보는 데는 복부지방 CT가 유용하다
-비만도가 같더라도 복부비만 특히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이 있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등의 합병증 발병할 위험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의 비만 유병률은 30%를 상회하며,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 생활 패턴이 서구화 됨에 따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