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2. 해고시기의 제한
3. 해고예고
4. 해고사유등의 서면통지
5. 단체협약/취업규칙상의 해고절차
6. 해고사유의 판단시점
2. 해고시기의 제한
3. 해고예고
4. 해고사유등의 서면통지
5. 단체협약/취업규칙상의 해고절차
6. 해고사유의 판단시점
본문내용
해고는 유효라고 보면서, 해고동의조항에 위반한 해고는 무효라고 본다. 다만, 노동조합의 합의/동의권을 남용하여 합의/동의를 거부하는 경우 사용자가 합의하지 아니하고 한 해고에 대해서는 유효라고 한다.
6. 해고사유의 판단시점
해고의 정당한 이유는 해고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고, 향후 해고사유가 치유되었더라도 해고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6. 해고사유의 판단시점
해고의 정당한 이유는 해고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고, 향후 해고사유가 치유되었더라도 해고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법의 개정과 노사관계의 개혁
노동운동 맥락에서 살펴 본 비정규직노동운동의 의의
구조조정 이후의 노사관계
연봉제에 대하여
비정규직 노동자 증가의 장단점 분석 및 비정규직 노동자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논의
파견근로자보호에관한법률
비정규직해결방안
[비정규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비정규직조직화]비정규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의 개념, 성격...
비정규직
노동관계법상 채용시 계약의 체결의 유형 및 방식
비정규직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악영향과 정규직전환의 효과, 비정규직노동자(...
[공공부문비정규직]공공부문비정규직(공공부문비정규직노동자)의 실태와 사례, 공공부문비정...
비정규직 노동자의 개념, 원인, 규모, 실태
노동복지 정책 -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