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섭을 하는 사무처리를 맡기는 것을 뜻하고, 그 위임 후 이를 해지하는 등의 별개의 의사표시가 없더라도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한은 여전히 수임자의 단체교섭권한과 중복하여 경합적으로 남아있다고 할 것이며, 같은 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단위노동조합이 당해 노동조합이 가입한 상부단체인 연합단체에 그러한 권한을 위임한 경우에 있어서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복수노조와 교섭창구 단일화 문제의 대응방안
노조전임자의 대우
복수노조체제하의 단체교섭단일화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주체와 대상에 대한 판례 중심 법적 검토
복수노조 금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유니온 숍 협정의 요건과 효력
노조법상 노동쟁의와 쟁의행위의 비교
노조법상 중재의 대상과 관련한 판례 연구
복수노조 및 전임자 급여 문제의 해결 방안
노조전임자급여지급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정당성 전반에 대하여
산별노조의 설립과 관련한 법적 이슈
노조의 해산
노조 전임자 및 근로시간 면제자의 법적 지위 검토
서울지하철노조의 문제점 현황 및 민주노총 탈퇴 사례와 개선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