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3) 해고예고의무위반의 효과
“근기법 제26조에 규정하고 있는 해고예고절차는 통상해고, 징계해고의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적용되는 것이나,
징계해고의 경우에 있어서는 비록 사용자가 해고 예고절차를 거치지 않아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했다하더라도, 해고의 정당한 이유를 갖추고 있는 한 해고의 사법상 효력에는 영향이 없어 절차를 무시한 해고도 유효하다.”
3) 해고예고의무위반의 효과
“근기법 제26조에 규정하고 있는 해고예고절차는 통상해고, 징계해고의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적용되는 것이나,
징계해고의 경우에 있어서는 비록 사용자가 해고 예고절차를 거치지 않아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했다하더라도, 해고의 정당한 이유를 갖추고 있는 한 해고의 사법상 효력에는 영향이 없어 절차를 무시한 해고도 유효하다.”
추천자료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
우리나라의 정리해고 제도
근로자 해고의 승인에 대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근로자와 관련 판례 검토
노조법상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상 부당해고구제신청제도의 의미 관련 판례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 의무 관련 주요 판례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의 의의 전반에 대한 연구
노동법상 해고를 부당노동행위로 인정한 경우의 주요 판례
노조법상 해고와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상 해고와 신의성실의 원칙 연구
근기법상 해고의 예고 검토
기간제근로자와 해고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