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성인병의 정의, 특징
II. 본론
1. 고혈압과 운동
2. 당뇨병과 운동
3. 비만증과 운동
4. 골다공증과 운동
III. 결론
※ 참고문헌
※ 참고site
성인병의 정의, 특징
II. 본론
1. 고혈압과 운동
2. 당뇨병과 운동
3. 비만증과 운동
4. 골다공증과 운동
III. 결론
※ 참고문헌
※ 참고site
본문내용
호르몬, 칼슘, 운동이다. 건강한 뼈가 이루어지려면, 이 세 가지 요소가 있어야하고 이 요소는 모두 필요하며 서로 보완적이지 못합니다. 반드시 세 가지 다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 골다공증의 운동요법
여러 요인에 의해 골량의 감소가 과도하게 진행되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되면 뼈가 약해져서 과격한 운동이 아닌 일상적인 활동에도 쉽게 골절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정밀검사를 통해 운동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여 신체에 적절한 운동 부하를 줌으로써 골량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도록 운동을 계획해야 한다.
① 운동형태
- 간헐적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하다가 점차로 저항운동을 줄여 나가도록 한다.
- 대부분 요부와 대퇴부의 골밀도 감소에 의한 요통이나 골절 등이 가장 흔한 증상이므 로 체중에 의해 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걷기, 수중운동, 의자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 고무줄을 이용한 저항운동 등이 적절하다.
- 달리기, 점프, 에어로빅댄스, 테니스, 줄넘기 등은 충격량이 큰 운동은 골다공증에 위험 하며 농구, 테니스, 축구 등 순간적인 과대 스트레스 스포츠 종목은 골절의 위험이 있 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몸을 물의 부력으로 지탱하는 수영과 같은 운동은 골밀도 손실을 예방할 수 없으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없다.
② 운동강도 및 빈도
- 유산소운동은 하루 20분 이상으로 주당 최소 3회 이상 실시해야한다.
- 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의 경우 각 종목마다 8~12회 정도 2~3sets 실시해야한다.
- 최대 심박수의 40~70%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비교적 가벼운 강도로 보통수준에 서 실시해야한다.
- 중량운동의 경우 최대 근력의 30~40%의 중량을 선택해야한다.
- 고령자인 경우에는 준비운동, 정리운동,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의 전체시간이 1시간 정도가 소요되도록 해야한다.
③ 운동효과
- 뼈를 자극하여 골 밀도 감소를 막아주어 최고의 골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 노화로 인한 골 손실을 예방하여 관절의 운동성을 유지시킨다.
- 근육이 조화롭게 증가, 발달 시켜줌으로써 체위유지를 시킨다.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얻게 되는 효과를 미친다.
④ 운동 시 주의사항
- 달리기, 점프, 에어로빅댄스, 테니스, 줄넘기 등은 충격량이 큰 운동으로서 골다공증에 위험하며 또한 농구, 테니스, 축구 등 순간적인 과대 스트레스 스포츠 종목은 골절의 위혐이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몸을 물의 부력으로 지탱하는 수영과 같은 운동은 골밀도 손실을 예방할 수 없으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없다.
-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운 날, 습도가 많은 시간에 운동을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식사 직 후에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신의 건강 체력수준에 알맞은 운동처방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과 휴식의 적절 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III. 결론
성인병은 첨단 사회의 신속성에 물든 조급함, 각종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그리고 그런 사회에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인간의 이기심과 두려움 등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신체적으로는 운동을 유발하지 않는 업무의 증가, 인스턴트 음식의 과다 섭취, 운동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에 원인이 있다.
특히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고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의 긴장이나 심신의 피로를 풀어준다. 성인병과 관련해서는 혈압을 낮추고 체중조절을 도와주며 혈당을 낮추어 준다. 또한 동맥경화, 지방간 등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운동은 성인병의 사회적 원인인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고, 신체적 원인인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을 예방 및 치료해 줌으로 운동은 '만병통치약'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본다.
운동은 무슨 운동을 어떻게 하느냐보다는, 꾸준히 하는가가 중요하다. 자신이 쉽게 할 수 있는 가능한 운동을 즐기면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고, 친구나 가족과 함께 하면 자신뿐 만아니라 같이 하는 사람들까지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성인병과 건강사(2003), 성인병과 건강, 성인병과 건강사
현송자, 백승국(1992), 운동과 건강, 동아대학교 출판부
※ 참고site
http://www.healthkorea.net/
http://www.o2run.com
http://undongsarang.com.ne.kr/
http://cafe.naver.com/eacecare.cafe?iframe_url=/
- 골다공증의 운동요법
여러 요인에 의해 골량의 감소가 과도하게 진행되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되면 뼈가 약해져서 과격한 운동이 아닌 일상적인 활동에도 쉽게 골절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정밀검사를 통해 운동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여 신체에 적절한 운동 부하를 줌으로써 골량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도록 운동을 계획해야 한다.
① 운동형태
- 간헐적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하다가 점차로 저항운동을 줄여 나가도록 한다.
- 대부분 요부와 대퇴부의 골밀도 감소에 의한 요통이나 골절 등이 가장 흔한 증상이므 로 체중에 의해 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걷기, 수중운동, 의자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 고무줄을 이용한 저항운동 등이 적절하다.
- 달리기, 점프, 에어로빅댄스, 테니스, 줄넘기 등은 충격량이 큰 운동은 골다공증에 위험 하며 농구, 테니스, 축구 등 순간적인 과대 스트레스 스포츠 종목은 골절의 위험이 있 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몸을 물의 부력으로 지탱하는 수영과 같은 운동은 골밀도 손실을 예방할 수 없으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없다.
② 운동강도 및 빈도
- 유산소운동은 하루 20분 이상으로 주당 최소 3회 이상 실시해야한다.
- 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의 경우 각 종목마다 8~12회 정도 2~3sets 실시해야한다.
- 최대 심박수의 40~70%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비교적 가벼운 강도로 보통수준에 서 실시해야한다.
- 중량운동의 경우 최대 근력의 30~40%의 중량을 선택해야한다.
- 고령자인 경우에는 준비운동, 정리운동,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의 전체시간이 1시간 정도가 소요되도록 해야한다.
③ 운동효과
- 뼈를 자극하여 골 밀도 감소를 막아주어 최고의 골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 노화로 인한 골 손실을 예방하여 관절의 운동성을 유지시킨다.
- 근육이 조화롭게 증가, 발달 시켜줌으로써 체위유지를 시킨다.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얻게 되는 효과를 미친다.
④ 운동 시 주의사항
- 달리기, 점프, 에어로빅댄스, 테니스, 줄넘기 등은 충격량이 큰 운동으로서 골다공증에 위험하며 또한 농구, 테니스, 축구 등 순간적인 과대 스트레스 스포츠 종목은 골절의 위혐이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몸을 물의 부력으로 지탱하는 수영과 같은 운동은 골밀도 손실을 예방할 수 없으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없다.
-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운 날, 습도가 많은 시간에 운동을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식사 직 후에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신의 건강 체력수준에 알맞은 운동처방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과 휴식의 적절 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III. 결론
성인병은 첨단 사회의 신속성에 물든 조급함, 각종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그리고 그런 사회에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인간의 이기심과 두려움 등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신체적으로는 운동을 유발하지 않는 업무의 증가, 인스턴트 음식의 과다 섭취, 운동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에 원인이 있다.
특히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고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의 긴장이나 심신의 피로를 풀어준다. 성인병과 관련해서는 혈압을 낮추고 체중조절을 도와주며 혈당을 낮추어 준다. 또한 동맥경화, 지방간 등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운동은 성인병의 사회적 원인인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고, 신체적 원인인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을 예방 및 치료해 줌으로 운동은 '만병통치약'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본다.
운동은 무슨 운동을 어떻게 하느냐보다는, 꾸준히 하는가가 중요하다. 자신이 쉽게 할 수 있는 가능한 운동을 즐기면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고, 친구나 가족과 함께 하면 자신뿐 만아니라 같이 하는 사람들까지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성인병과 건강사(2003), 성인병과 건강, 성인병과 건강사
현송자, 백승국(1992), 운동과 건강, 동아대학교 출판부
※ 참고site
http://www.healthkorea.net/
http://www.o2run.com
http://undongsarang.com.ne.kr/
http://cafe.naver.com/eacecare.cafe?iframe_url=/
추천자료
스포츠 대체의학 - 운동과 건강
각종 성인병들의 원인, 증상 및 예방책
성인병과 식이요법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의 비교
고혈압과 운동
건강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운동처방사
성인병,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동맥경화증에 대한 자료와 경각심을 깨닫자.
[건강][현대인 건강위험요소][현대인 건강과 식생활][현대인 건강과 운동][현대인의 건강과 ...
[성인병][고혈압][고지혈증][동맥경화증][폐질환][당뇨병][뇌졸중]성인병의 정의와 성인병 고...
운동 처방
서구화된 식생활의 문제점 - 슬로우 푸드 운동
운동의미학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허혈성 심장질환과 운동 - 협심증 & 심근경색.pd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