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철학-조건논증] 전건 긍정 논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 철학-조건논증] 전건 긍정 논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p라면 q이다.
p가 아니다.
∴q가 아니다.
전건 부정의 오류가 부당하다는 것을 반대사례 방법에 의해 밝히는 일은 쉬운 일이다.
만일 백악관이 캘리포니아주에 있다면, 그것은 미국에 있다.
백악관은 캘리포니아주에 있지 않다.
∴백악관은 미국에 있지 않다.
후건 긍정의 오류와 전건 부정의 오류에는 양쪽 다 분명히 드러내어 언급해 둘 가치가 있는 특수한 실례가 있다. 타당한 연역논증의 경우에 만일 전제가 옳다면 결론도 옳아야 한다. 우리가 논증의 타당성과 결론의 진리성이 밝혀진 어떤 논증을 대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 우리는 이를 근거로 하여 전제의 진리성에 관하여 무언가 주장할 수 있을까?
아마 대게는 이 논증의 전제가 옳다고 주장하고 싶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후건 긍정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
만일 이 논증의 전재가 옳다면 이 논증의 결론도 옳다.
이 논증의 결론은 옳다.
∴이 논증의 전제가 옳다
따라서 전제의 진리성을 결론의 진리성으로부터 추리하는 것은 논리적과오이다. 마찬가지로 대개의 사람들은 만일 그른 전제를 가진 타당한 논증을 대하면 결론도 그르다고 말하고 싶어할 것이다. 이 주장은 아래와 같이 전건 부정의 오류를 범한다.
만일 이 논증의 전제가 옳다면 이 논증의 결론도 옳다.
이 논증의 전제는 옳지 않다.
∴이 논증의 결론은 옳지 않다.
우리는 어떤 논증을 대했을 때, 그 논증을 타당한 형식과 옳은전제, 옳을 가능성이 큰 전제를 가진 논증으로 재구성 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이 일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방도가 전혀 없다고 봐야 할 것 같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0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