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미터 달리기와 포환던지기의 기초 기술 탐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00미터 달리기와 포환던지기의 기초 기술 탐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육상의 유래
Ⅱ. 육상 경기 종목
 1) 경주경기
 2) 도약경기
 3) 투척경기
 4) 경보경기
 5) 혼성경기
 6) 마라톤 경기
Ⅲ. 대표적인 육상 종목의 기초 기술 탐색
 1) 단거리 경기 중 100미터 달리기
  (1) 운동의 역학적 측면
  (2) 기술의 분석
 2) 투척 경기 중 포환던지기
  (1) 기술의 단계와 동작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90도 정
도 구부려 강하고 활발하게 팔 흔들기
팔꿈치가 팔의 움직임을 이끔
머리, 목, 어깨, 그리고 몸통의 근육
이완
스윙하는 다리의 무릎을 들어 올리
는 단계의 시작
후방 지지 단계
추진하는 발을 지면에서 뗌
지지하는 다리의 무릎을 지나는
이완되고 활발한 스윙
지속적이고 준비된 무릎 들기
단계
발뒤꿈치가 둔근에 도달하기까지
스윙 다리의 이완된 동작 - 높은 각
속도의 결과인 이 짧은 진자운동은
빠른 보폭을 가능하게 함
발뒤꿈치를 들어주는 것은 활발한
무릎의 움직임 때문이며 그 외에 다
른 근육은 모두 이완되어 있어야 함
엉덩이의 수평적인 움직임이 지속

전방 스윙 단계
무릎 올리는 단계
효율적인 보폭 길이는 강한 팔
흔들기와 관련
엉덩이의 이동 경로를 수평으로
확실하게 관리
발로 지면을 긁는 동작과 함께
활발한 착지 준비, 그리고 전방
지지 단계의 제동 최소화
체공 단계
허벅지를 거의 수평으로 탄력 있게
들어주고 다음 보폭으로 넘어갈 때
적절한 길이와 빠르기로 실행
무릎을 들어 올리는 움직임은 팔
을 반대로 움직임의 반작용으로
추진됨
팔꿈치는 뒤쪽과 위로 움직임
허벅지의 신전을 이용한 다리의
원활한 전방 스윙, 발과 지면의
강한 접촉
전방 지지 단계
Amortization 현상
착지할 때 다리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여 이어지는 보폭을 더 힘
차게 하기 위한 전방 허벅지 근
육과 발 근육의 작용을 미리 준

발가락을 위로 들고 발바닥의 중
심부로 지면 접촉하여 발 디딤
앞으로 뻗는 보폭의 길이를 부자
연스럽게 길게 하지 않고 엉덩이
(몸의 중심)는 발의 지지점을 지
나 빠르게 이동
과도한 제동력을 피함
앞으로 내딛는 다리의 접촉을 가
능한 가장 짧게 함
2) 투척 경기 중 포환던지기
(1) 기술의 단계와 동작
직선식 기술
목적과 기능
관찰 포인트 및 특징적 기준
시작위치/시작 자세
좋은 시작위치 만들기
오른쪽 다리의 최초움직임
을 위한 최적화 된 준비
몸통은 위쪽을 향한다.
발을 평행하게, 약간 갈지자로 놓는다.
오른발에 체중을 싣는다.
던지는 방향을 등진다.
포환에 손바닥을 대고 목에 붙인다.
상체를 앞쪽으로 구부리고 오른쪽무릎을 구부
린다(구부린 자세)
지면으로부터 1미터가 안되게 포환을 위치시킨
다.
오른쪽 무릎은 100~110도 정도 구부린다.
둔부를 50~60도 정도 구부린다.
왼쪽 다리의 최초 움직임
글라이딩
가능한 한 최초에 큰 수평 속도를 성취하기
파워포지션을 위한 회전력의 형성
최적화 된 파워포지션
(power position)을 포함
하기 위한 좋은 상태 형성
투사방향을 향한 왼쪽다리의 힘찬 신전
오른쪽 다리로 무게중심 이동
오른발의 파워풀한 드라이빙
평편한 글라이딩
70~80cm의 글라이딩 거리
가능한 한 짧은 글라이딩거리를 유지
글라이딩의 끝: 오른쪽 무릎을 120~130도 굴
곡/ 상체를 구부린다, 둔부각도는 c.90도
목적과 기능
찰 포인트 및 특징적 기준
던질 때 발의 위치
한쪽 지지에서 양발 지지로 이어지는 균형감 있는 전환
포환의 긴 가속경로 형성
회전력의 유지
글라이딩에서 투사까지 가속에너지의 전환
빠르고 힘찬 양발의 디딤
원의 중심에서 던지는 방향의 약간 뒤쪽으
로 오른쪽 발을 놓으면서 돈다.
왼발을 약간 구부리고, 무릎각도는 c.160
왼발의 지지를 발의 안쪽 가장자리로 시작
한다.
오른쪽 팔꿈치를 약간 든다.
머리와 왼팔은 던지는 방향의 반대쪽에 위
치 시킨다.
둔부와 어깨 축이 직각이 될 때의 회전력
던지기
가속의 지속
신전근을 동원하는 최적화된 조정력 성취
최적화 된 투사각 성취
양발의 확실한 신전
몸통 좌측면의 고정
몸통 풀기
왼팔을 열기
몸통과 팔을 충분히 뻗는다
폭발적인 오른팔의 투척 운동
복귀(recovery)
발막이 위로 발을 디디는 것을 방지
양발의 전환
오른쪽 다리를 강하게 구부린 상태에서 체
중을 싣는다.
상체를 낮춤
회전식 기술
목적과 기능
관찰 포인트 및 특징적 기준
시작위치 /
초기 움직임
회전식(rotation) 기술
의 시작 자세 숙지
오른쪽 다리의 최적화
된 준비 자세 숙지
발을 평행하게 어깨넓이로 선다.
무릎을 90도정도로 구부린다.
던지는 방향을 등지고 선다.
포환은 손바닥으로 잡고 목에 밀착시킨다.
팔꿈치를 들어준다(대략 수평으로)
오른쪽으로 1/4회전하면서 초기 움직임 갖는다.
오른쪽 다리에 체중을 싣는다.
체공구간의 도약
가능한 최초의 높은 수
평속도 달성
투척 속도 증가
균형 유지
최적화 된 파워포지션
(power position) 준비
구부린 왼쪽 무릎을 회전시킨다.
왼쪽 다리에 체중을 옮긴다.
어깨 축은 엉덩이 축을 넘어가지 않는다(어깨 축을 뒤로 유지한다).
왼쪽 무릎이 던지는 방향으로 90도보다 더 커질 때 오른쪽 다리를 이동시킨다.
3/4회전 후 왼발을 지면에서 뗀다.
왼발을 펴면서 체공구간으로 도약한다.
오른쪽 다리는 낮게 차면서 원 중심의 위를 낮게 이끈다.
왼발과 어깨 축으로 향하는 회전력을 엉덩이 축을 이용하여 만든다.
체공구간으로 들어가는 동안 신전된 왼팔을 몸 쪽으로 당긴다.
왼쪽다리는 발막이의 오른쪽 다리로 가까이 이동한다.
목적과 기능
관찰 포인트 및 특징적 자세
파워포지션
( power position)
양발지지단계로의 균형
있는 전환
어깨와 엉덩이 축사이의
회전력 만들기
포환의 가속경로를 위한
상태 만들기
가속 에너지의 전환
구부린 무릎으로 왼쪽 다리를 힘차게 딛기
양쪽 다리의 무릎을 약간 구부리기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
상대적으로 선 자세
가능한 뒤쪽으로 멀리 던짐
엉덩이와 어깨 축사이의 회전력
던지기
가속의 지속
근육이 신전했을 때 최
적의 긴장 상태 유지
최적화 된 투사각도
(c.42도)
양 발의 확연한 신전
몸통의 왼쪽 면의 억제 강함
몸통 풀기
왼쪽 팔꿈치를 흔드는 장력 증가
몸과 팔의 충분한 신전
왼팔의 멈춤
체공구간에서 투구의 지속
오른팔의 폭발적인 투척 동작
복귀(recovery)
속도의 감소
발막음판 넘어가는 행위
방지
양 다리의 전환
고정된 오른쪽 다리에 체중 싣기
상체를 낮춤
Ⅳ. 참고문헌
『육상경기의 근원을 찾는다.』, 日문리각, 1996
대한 육상 경기 연맹 홈페이지 http://www.kaaf.or.kr/default.asp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5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