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작하는 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새로운 시대에서 삶과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 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Ⅲ. 존 듀이의 민주주의 철학과 교육적 함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삶의 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의 개념과 인간의 공동체적 본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공동체적인 삶의 경험으로서의 교육과 학교 민주주의의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Ⅳ.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의 현대적 의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Ⅴ. 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새로운 시대에서 삶과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 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Ⅲ. 존 듀이의 민주주의 철학과 교육적 함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삶의 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의 개념과 인간의 공동체적 본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공동체적인 삶의 경험으로서의 교육과 학교 민주주의의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Ⅳ.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의 현대적 의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Ⅴ. 결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본문내용
. 같은 맥락에서 오늘날 교육은 ‘정의’ 보다는 ‘자본’의 논리에 이끌려 소수의 지적엘리트에 대한 편의와 배려의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대다수의 보통의 아이들은 교육과정으로부터 소외를 경험하고 그들의 삶은 제도적으로 변두리화 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듀이는 교육을 사회적 선으로 간주하면서 교육의 과정에 사회적 다수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교육은 구성원들간의 공동체적 경험을 축적해 가는 과정으로서 그것은 사회적 다수의 참여와 공헌에 바탕을 두는 민주적인 활동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록펠러(Rockefeller, 1991)는 사회적 다수의 참여와 공헌을 강조하는 듀이의 이러한 사회적 이상을 가리켜 ‘민주주의적인 인문주의(democratic humanism)’로 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인류애’라는 인간 본래의 특질에 기초하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듀이의 공동체적 삶의 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의 개념은 다른 무엇보다도 타인에 대한 인간적인 관심과 태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듀이식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교육의 주된 관심이 능력 있는 소수에 대한 경제적인 투자보다는 교육의 과정에서 소외와 변두리 화를 경험하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간적인 돌봄에 있어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 그 과정에서 “사회적 다수의 죽음”을 막아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있으며,교육의 최우선의 과제는 삶의 위기를 느끼는 다수의 아이들의 삶을 보호하는데 있어야 한다.
한편 듀이가 구성원들 간의 참여와 협동에 기초하는 공동체적 삶에서 그의 철학적 이상을 찾는 데는 모든 사람은 그 자신의 삶의 경험에 대해 합법적이고 도덕적인 권리를 가진다는 그의 민주주의적 신념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는 능력이나 자질이 뛰어난 특정 개인이 다른 개인들에 대해 우선권을 갖는다는 지적 엘리트주의에 반대했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고나기를 도덕적으로 평등한 존재로서,남이 나를 억압할 권리가 없는 것 처럼 나 또한 남을 억압 할 권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주사회에서는 모든 개인은 동등한 참여와 발언의 권리가 있는 것이며,그것은 곧 정의의 원칙과 일치한다.
Ⅴ. 결어
타인의 삶의 가치를 인정하는 듀이의 도덕적 다원주의는 오늘날 신 자유주의적 세계질서 하에서의 삶의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위기가 다름 아닌 타인의 도덕적 권리에 대한 상호 주관적인 존중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해준다. 같은 맥락에서 교육을 협동적인 인간관계에 토대를 두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이해하는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은 오늘날의 학교에서의 사회적 다수의 삶의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 위기가 교육의 경제적 목적에 입각한 인간자본론 또는 지적엘리트주의에서 초래 된 것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그것의 회복을 위해서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고 공헌하는 사회적 분위기의 형성과 교육을 통한 개인들 간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듀이의 믿음대로 민주사회에서 교육은 나와 남의 장벽을 허물어 ‘우리’라는 공동의 경험을 창출해 내는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하며,학교는 “모두가 참여하고 공헌하는 그러면서 타인들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자아를 발달시켜 가는 축소된 사회로 정의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해 오늘날 교육과정은 교과나 지식이 아닌 타인들과의 경험으로 구성 될 필요가 있는데 세계화 시대의 삶의 위기로서의 참여 민주주의의 위기는 그 해결을 위해 ‘타자의 윤리’에 기초하는 공동체적 경험과 사회적 다수의 참여를 강조하는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교육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것처럼 듀이철학의 주제는 인간다움의 회복을 위한 민주주의와 교육의 문제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민주주의와 교육 - 교육철학 개론 / 존 듀이 지음 ; 이홍우 번역(교육과학사 2007)
현대 민주주의와 정치 주체의 문제 - 존 듀이의 민주주의론 / 존 듀이 지음 ; 홍남기 옮김(CIR 2010)
존 듀이의 교육을 집대성한 민주주의와 교육 / 강승규(우리교육 1993)
세계화 시대에 존 듀이 다시 읽기 - 세계화, 민주주의, 그리고 교육 / 김성훈(한국교육철학학회 2005)
참고 사이트
http://www.nanet.go.kr - 국회도서관
http://library.kmu.ac.kr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http://100.naver.com/100.nhn?docid=51627 - 네이버 지식백과
http://cafe.naver.com/jekimpro - 네이버 카페 : 인간과 문명 그리고 자연
록펠러(Rockefeller, 1991)는 사회적 다수의 참여와 공헌을 강조하는 듀이의 이러한 사회적 이상을 가리켜 ‘민주주의적인 인문주의(democratic humanism)’로 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인류애’라는 인간 본래의 특질에 기초하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듀이의 공동체적 삶의 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의 개념은 다른 무엇보다도 타인에 대한 인간적인 관심과 태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듀이식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교육의 주된 관심이 능력 있는 소수에 대한 경제적인 투자보다는 교육의 과정에서 소외와 변두리 화를 경험하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간적인 돌봄에 있어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 그 과정에서 “사회적 다수의 죽음”을 막아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있으며,교육의 최우선의 과제는 삶의 위기를 느끼는 다수의 아이들의 삶을 보호하는데 있어야 한다.
한편 듀이가 구성원들 간의 참여와 협동에 기초하는 공동체적 삶에서 그의 철학적 이상을 찾는 데는 모든 사람은 그 자신의 삶의 경험에 대해 합법적이고 도덕적인 권리를 가진다는 그의 민주주의적 신념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는 능력이나 자질이 뛰어난 특정 개인이 다른 개인들에 대해 우선권을 갖는다는 지적 엘리트주의에 반대했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고나기를 도덕적으로 평등한 존재로서,남이 나를 억압할 권리가 없는 것 처럼 나 또한 남을 억압 할 권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주사회에서는 모든 개인은 동등한 참여와 발언의 권리가 있는 것이며,그것은 곧 정의의 원칙과 일치한다.
Ⅴ. 결어
타인의 삶의 가치를 인정하는 듀이의 도덕적 다원주의는 오늘날 신 자유주의적 세계질서 하에서의 삶의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위기가 다름 아닌 타인의 도덕적 권리에 대한 상호 주관적인 존중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해준다. 같은 맥락에서 교육을 협동적인 인간관계에 토대를 두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이해하는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은 오늘날의 학교에서의 사회적 다수의 삶의 위기로서의 민주주의의 위기가 교육의 경제적 목적에 입각한 인간자본론 또는 지적엘리트주의에서 초래 된 것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그것의 회복을 위해서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고 공헌하는 사회적 분위기의 형성과 교육을 통한 개인들 간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듀이의 믿음대로 민주사회에서 교육은 나와 남의 장벽을 허물어 ‘우리’라는 공동의 경험을 창출해 내는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하며,학교는 “모두가 참여하고 공헌하는 그러면서 타인들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자아를 발달시켜 가는 축소된 사회로 정의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해 오늘날 교육과정은 교과나 지식이 아닌 타인들과의 경험으로 구성 될 필요가 있는데 세계화 시대의 삶의 위기로서의 참여 민주주의의 위기는 그 해결을 위해 ‘타자의 윤리’에 기초하는 공동체적 경험과 사회적 다수의 참여를 강조하는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교육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것처럼 듀이철학의 주제는 인간다움의 회복을 위한 민주주의와 교육의 문제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민주주의와 교육 - 교육철학 개론 / 존 듀이 지음 ; 이홍우 번역(교육과학사 2007)
현대 민주주의와 정치 주체의 문제 - 존 듀이의 민주주의론 / 존 듀이 지음 ; 홍남기 옮김(CIR 2010)
존 듀이의 교육을 집대성한 민주주의와 교육 / 강승규(우리교육 1993)
세계화 시대에 존 듀이 다시 읽기 - 세계화, 민주주의, 그리고 교육 / 김성훈(한국교육철학학회 2005)
참고 사이트
http://www.nanet.go.kr - 국회도서관
http://library.kmu.ac.kr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http://100.naver.com/100.nhn?docid=51627 - 네이버 지식백과
http://cafe.naver.com/jekimpro - 네이버 카페 : 인간과 문명 그리고 자연
추천자료
존 로크의 생애와 정부론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존 스튜어트 밀(J. S. Mill)의 정치사상
급진자유주의의 원리
시장의 철학에 대해 설명
우파의 자유주의관에 대한 급진자유주의 비판
남북 분단과 한국전쟁에 대해 논하시오.
급진자유주의와 ‘정치적인 것’의 이념에 대해 논하시오.
신자유주의와 하이에크 및 한국사회에 대해 논하시오
정치적인 것의 이념에 대한 현대 정치학 논쟁사 보론에 대해 설명.
정치의 복원에 대해 논하시오.
분단체제론의 비판과 미래에 대해 논하시오.
디지털 시대의 정치와 전자 공론장
[학교선택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따른 학교 선택제에 대한 본인의 관점을 교육평등과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