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천안함 사건
1-1 정의
1-2 개요
1-3 사건발생배경
1-4 침몰원인
1-5 정부의 대응방안
2.연평도 사건
2-1 정의
2-2 개요
2-3 발생배경 및 피해상황
2-4 정부의 대응방안
3.향후 대처 방향
1-1 정의
1-2 개요
1-3 사건발생배경
1-4 침몰원인
1-5 정부의 대응방안
2.연평도 사건
2-1 정의
2-2 개요
2-3 발생배경 및 피해상황
2-4 정부의 대응방안
3.향후 대처 방향
본문내용
01 천안함 사건
1-1 천안함 사건의 정의
┗━━━━━━━━━━─────────…
<천안함 피격사건>
2010. 3. 26(금) 21:22분 경 백령도 서남방 2.5Km 해상에서 경계 임무수행 중이던 해군 제2함대사 소속 천안함(PCC-772)이 북한 잠수정의 기습 어뢰공격으로 침몰
승조원 104명 중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된
국가 안보차원의 중대한 사태 발생
≪ 사 진 ≫
≪ 글 - 그림 파일 ≫
1-2 천안함 사건의 개요
┗━━━━━━━━━━─────────…
상황 발생/초동 조치
3.26(금) 21:22 천안함 백령도 서남방에서 북한 어뢰 공격으로 침몰
21:28 제2함대사, 천안함 침몰 상황 접수, 함미 완전 침몰
21:45 제2함대사, 서북해역 경계태세 강화지시
23:13 승조원 104명 중 58명 구조, 46명 실종
탐색/구조작전
3.28(일) 22:31 옹진함, 음파탐지기로 천안함 함미 위치 확인
3.29(월) 01:31 양양함, 음파탐지기로 천안함 함수 위치 확인
3.30(화) 17:00 해군 특수전여단 수중폭파대(UDT) 소속 준위
한주호, 함수 부분 탐색작전 중 실신/전사
4.02(목) 20:30 수색작전 후 조업구역으로 이동하던
저인망 어선 금양 98호 침몰
4.03(금) 21:45 실종자가족 , 구조·수색작전 중단 요청 기자회견
1-1 천안함 사건의 정의
┗━━━━━━━━━━─────────…
<천안함 피격사건>
2010. 3. 26(금) 21:22분 경 백령도 서남방 2.5Km 해상에서 경계 임무수행 중이던 해군 제2함대사 소속 천안함(PCC-772)이 북한 잠수정의 기습 어뢰공격으로 침몰
승조원 104명 중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된
국가 안보차원의 중대한 사태 발생
≪ 사 진 ≫
≪ 글 - 그림 파일 ≫
1-2 천안함 사건의 개요
┗━━━━━━━━━━─────────…
상황 발생/초동 조치
3.26(금) 21:22 천안함 백령도 서남방에서 북한 어뢰 공격으로 침몰
21:28 제2함대사, 천안함 침몰 상황 접수, 함미 완전 침몰
21:45 제2함대사, 서북해역 경계태세 강화지시
23:13 승조원 104명 중 58명 구조, 46명 실종
탐색/구조작전
3.28(일) 22:31 옹진함, 음파탐지기로 천안함 함미 위치 확인
3.29(월) 01:31 양양함, 음파탐지기로 천안함 함수 위치 확인
3.30(화) 17:00 해군 특수전여단 수중폭파대(UDT) 소속 준위
한주호, 함수 부분 탐색작전 중 실신/전사
4.02(목) 20:30 수색작전 후 조업구역으로 이동하던
저인망 어선 금양 98호 침몰
4.03(금) 21:45 실종자가족 , 구조·수색작전 중단 요청 기자회견
추천자료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 평가
대북 화해협력정책과 남북 정상회담
[북한학]한반도 북핵문제의 쟁점과 전망
[평생교육] 통일교육의 개념 및 사례연구와 대안 고찰
작시작전통제권 회수를 둘러싼 각국의 입장과 한국의 전망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중국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반대와 그 해결방안 -중국 내 시민단체(NGO) 지원을 통한 대안 모색
남북관계의 변화과정에 따른 정책 및 발전과정 조사분석
주한미군의 필요성
판문점, 강화도 현장학습보고서
전쟁과 평화 - 북한과의 끝나지 않는 분쟁 (우리나라 관계의 역사적 배경, 대북제재, 미사일,...
6자회담 동북아 4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