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시행하게 된다. 또한 한비는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군주가 허정무위의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극단적인 통제를 강조하는 법가사상이 무위자연을 이야기하는 도가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이상해 보일 수 있으나, 한비가 노자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나름대로 해석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그다지 이상한 것 도 아니다. 마음을 비우고 고요히 함으로써 군주는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냉철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것을 법에 맡지면, 군주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모든 것을 다스릴 수 있게 된다. 결국 <한비자>에 나타나 있는 도가 사상의 요소는, 도가 사상의 영향이라기보다 도가 사상의 응용이라고 말하는 편이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비가 주장하는 법가사상은 인구가 적고 사회가 복잡하지 않았던 상고 시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그의 법가사상을 현대 시대에 맞게 변화시켜 민중들을 다스린다면 지금보다 더 부국강병하며 공평하고 능력에 따라 직업을 얻을 수 있을 것 이라 생각한다. 현대 민주주의에 법가사상을 현대화시켜 적용한다면 지금 가장 크게 일어나고있는 우리 대학생들의 취업난도 조금씩 조금씩 공평하게 조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