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
제 2절 아동의 영양섭취기준 설정 방법
제 3절 영양섭취기준의 활용
제 4절 영양과 영양소
제 2절 아동의 영양섭취기준 설정 방법
제 3절 영양섭취기준의 활용
제 4절 영양과 영양소
본문내용
하게 해줌
5) 음식의 단맛과 향미 제공
- 단당류와 이당류는 모두 단맛을 내므로 식품의 조리 및 풍미에 영향을 줌
6) 식이섬유소 제공
- 배변효과, 비만예방, 혈중 지질 감소효과 등의 기능(과거에는 영양소로 인정받지 못했음)
* 식이섬유란 사람의 소장 내 효소에 의하여 소화 흡수되지 않고 대장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발효되는 식품의 가식부분과 유사 탄수화물로 정의됨
3. 탄수화물의 영양섭취기준
- 전기 영아 : 모유로부터 섭취하는 양인 55g/일
- 후기 영아 : 모유와 이유보충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양인 90g/일
- 1세 이후 : 50~70% (만성질환 예방과 지질 및 단백질의 섭취량과 연계)
- 3~19세 : 성인과 동일한 55~70%
4. 탄수화물의 급원식품
탄수화물
급원식품
단당류
포도당
과일 : 포도, 사과, 살구, 복숭아 등
과당
꿀, 시럽
맥아당
엿기름
유당
우유, 유제품
서당
설탕, 꿀, 시럽
다당류
전분
곡류 : 쌀, 보리, 밀 등 / 두류 : 감자, 고구마, 콩, 팥 등
식이섬유
채소류, 과일류, 곡류, 콩류, 해조류
5. 단순당질과 건강
- 1960, 1970년대 이르러 단순당질(특히 설탕)이 충치, 당뇨병, 비만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이 널리 알려지면서 단순당질의 섭취량을 제한할 것을 권장하게 됨
- 또한 설탕은 활동항진 상태나 어린이 비행등의 원인으로 제안되기도 함
- 따라서 각 나라마다 식사지침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해 설탕의 소비를 줄일 것을
권장하고 있음
* 미국/캐나다 섭취에너지의 25%가 넘지 않도록,
WHO에서는 섭취에너지의 10% 이상이 넘지 않도록 제안함
5) 음식의 단맛과 향미 제공
- 단당류와 이당류는 모두 단맛을 내므로 식품의 조리 및 풍미에 영향을 줌
6) 식이섬유소 제공
- 배변효과, 비만예방, 혈중 지질 감소효과 등의 기능(과거에는 영양소로 인정받지 못했음)
* 식이섬유란 사람의 소장 내 효소에 의하여 소화 흡수되지 않고 대장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발효되는 식품의 가식부분과 유사 탄수화물로 정의됨
3. 탄수화물의 영양섭취기준
- 전기 영아 : 모유로부터 섭취하는 양인 55g/일
- 후기 영아 : 모유와 이유보충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양인 90g/일
- 1세 이후 : 50~70% (만성질환 예방과 지질 및 단백질의 섭취량과 연계)
- 3~19세 : 성인과 동일한 55~70%
4. 탄수화물의 급원식품
탄수화물
급원식품
단당류
포도당
과일 : 포도, 사과, 살구, 복숭아 등
과당
꿀, 시럽
맥아당
엿기름
유당
우유, 유제품
서당
설탕, 꿀, 시럽
다당류
전분
곡류 : 쌀, 보리, 밀 등 / 두류 : 감자, 고구마, 콩, 팥 등
식이섬유
채소류, 과일류, 곡류, 콩류, 해조류
5. 단순당질과 건강
- 1960, 1970년대 이르러 단순당질(특히 설탕)이 충치, 당뇨병, 비만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이 널리 알려지면서 단순당질의 섭취량을 제한할 것을 권장하게 됨
- 또한 설탕은 활동항진 상태나 어린이 비행등의 원인으로 제안되기도 함
- 따라서 각 나라마다 식사지침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해 설탕의 소비를 줄일 것을
권장하고 있음
* 미국/캐나다 섭취에너지의 25%가 넘지 않도록,
WHO에서는 섭취에너지의 10% 이상이 넘지 않도록 제안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