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과 행동의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앎과 행동의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앎과 행동의 문제


1.들어가는 말

2.중국사상가들의 지행의 문제
 1)공자
 2)순자
 3)묵자
 4)주희
 5)왕수인
 6)왕부지

3.앎과 행위의 관계론
 1)行難 . 行重의 전통
 2)지행의 선후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선지후(行先知後)이다. 이 관점을 견지하는 대표적 인물은 왕부지, 안원 등인데 그들은 모두 행한 후에야 지식을 가지게 되고 지는 행으로부터 나온다고 주장하였다. 인식의 기본과정으로부터 고찰을 해보면 지행의 선후문제는 직접적으로 인식의 기원과 기초의 문제에 연결되며, 이것은 지행관의 문제에 있어서 유물론과 관념론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대체로 지선행후설을 견지하면 관념론이며, 행ㅇ선지후설을 견지하면 유물론이다.
셋째는 지행합일이다. 맹자의 양지설은 이미 지행합일의 경향을 내포하고 있는데 왕수인은 그것을 발전시켜 전형적인 지행합일설을 이루어 내었다. 왕수인은 변증법적인 요소를 지닌 지행의 통일적 관계를 알아낸 점은 마땅히 인정받아야 할 점이다.
마치면서..
지행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우선 윤리화의 경향이다. 중국의 지행관과 서양의 지행관은 유사한 내용과 공통적인 법칙을 지니고 있지만 구체적 상황과 역사적 조건 등의 차이로 인해 다른 특징들도 지닌다. 서양의 지행학설은 비교적 수학과 경험과학의 연구 방법과 많이 관련되어 있지만 동양의 지행학설은 비교적 윤리학이나 도덕 수양의 방법과 결합하여 (비 경험적인)논리적 경향을 뚜렷하게 드러내었다. 이것은 동양 지행학설의 결점이며 우려할 만한 점이다. 결점이라는 것은 상대적으로 자연 과학 및 그 방법론과의 연계와 영향이 적어서 자연 현상에 대한 탐구와 인식에 대해서는 제한적이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앎과 삶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1998
중국철학과 지행의 문제 (방립천, 예문서원)1996
우리들의 동양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6.0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