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버섯의 특성
1. 약용버섯
1) 신령버섯
2) 차가버섯
3) 느티만가닥버섯
4) 잎새버섯
5) 하나비라타케(꽃송이버섯)
6) 말똥 진흙버섯
7) 잔나비걸상버섯
8) 영지버섯
9) 상황버섯
10) 구름버섯
2. 독버섯
1) 기와 옷솔 버섯
2) 모래밭버섯
3) 게발톱버섯
4) 가랑잎애기버섯
5) 꽃방패버섯
6) 개나리광대버섯
3. 식용버섯
1) 풀버섯
2) 꽃송이버섯
3) 뽕나무 버섯 붙이
4) 검은 비늘 버섯
5) 맛버섯
6) 긴대안장버섯
7) 벚꽃버섯(밤버섯)
8) 민자주방망이버섯(가지버섯)
Ⅱ. 버섯의 성분
Ⅲ. 버섯의 분류
Ⅳ. 버섯의 종류
1. 표고버섯
2. 등색가시비녀버섯
3. 팽나무버섯
4. 이끼살이버섯
5. 갈색솔방울버섯
6. 여름갈고리동이버섯
7. 바늘버섯
8. 아교톱밥버섯
9. 풀무레입술버섯
10. 거미줄종지버섯
11. 흰찐빵버섯
12. 붉은사슴뿔버섯
13. 점버섯
14. 젤리귀버섯
15. 노란귀버섯
16. 넓은귀버섯아재미
17. 평평귀버섯
18. 다생귀버섯
19. 못버섯
20. 황금못버섯
21. 노란소똥버섯
22. 버들송이
23. 도토리종버섯
Ⅴ. 버섯의 역할
Ⅵ. 버섯의 영양소
1. 향균작용
2. 항비루스 작용
3. 강심작용
4.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5. 혈당강하작용
6. 혈압강하작용
7. 항혈전작용
8. 항종양 작용
9. 면역증강, 항염증작용
10. 혈당강하작용
11. 강심작용
12. 혈압강하작용
13.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14. 항혈전작용
15. 항바이러스 작용
Ⅶ. 버섯의 종류별 요리방법
1. 표고버섯
2. 팽이버섯
3. 느타리버섯
4. 양송이버섯
5. 상황버섯
6. 영지버섯
7. 동충하초
Ⅷ. 버섯의 재배
참고문헌
1. 약용버섯
1) 신령버섯
2) 차가버섯
3) 느티만가닥버섯
4) 잎새버섯
5) 하나비라타케(꽃송이버섯)
6) 말똥 진흙버섯
7) 잔나비걸상버섯
8) 영지버섯
9) 상황버섯
10) 구름버섯
2. 독버섯
1) 기와 옷솔 버섯
2) 모래밭버섯
3) 게발톱버섯
4) 가랑잎애기버섯
5) 꽃방패버섯
6) 개나리광대버섯
3. 식용버섯
1) 풀버섯
2) 꽃송이버섯
3) 뽕나무 버섯 붙이
4) 검은 비늘 버섯
5) 맛버섯
6) 긴대안장버섯
7) 벚꽃버섯(밤버섯)
8) 민자주방망이버섯(가지버섯)
Ⅱ. 버섯의 성분
Ⅲ. 버섯의 분류
Ⅳ. 버섯의 종류
1. 표고버섯
2. 등색가시비녀버섯
3. 팽나무버섯
4. 이끼살이버섯
5. 갈색솔방울버섯
6. 여름갈고리동이버섯
7. 바늘버섯
8. 아교톱밥버섯
9. 풀무레입술버섯
10. 거미줄종지버섯
11. 흰찐빵버섯
12. 붉은사슴뿔버섯
13. 점버섯
14. 젤리귀버섯
15. 노란귀버섯
16. 넓은귀버섯아재미
17. 평평귀버섯
18. 다생귀버섯
19. 못버섯
20. 황금못버섯
21. 노란소똥버섯
22. 버들송이
23. 도토리종버섯
Ⅴ. 버섯의 역할
Ⅵ. 버섯의 영양소
1. 향균작용
2. 항비루스 작용
3. 강심작용
4.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5. 혈당강하작용
6. 혈압강하작용
7. 항혈전작용
8. 항종양 작용
9. 면역증강, 항염증작용
10. 혈당강하작용
11. 강심작용
12. 혈압강하작용
13.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14. 항혈전작용
15. 항바이러스 작용
Ⅶ. 버섯의 종류별 요리방법
1. 표고버섯
2. 팽이버섯
3. 느타리버섯
4. 양송이버섯
5. 상황버섯
6. 영지버섯
7. 동충하초
Ⅷ. 버섯의 재배
참고문헌
본문내용
광릉에서 채집하였다. 분포는 한국, 일본,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Ⅴ. 버섯의 역할
숲에서 많은 양의 낙엽이나 죽은 나무와 풀들이 한없이 퇴적하지 않고 일정한 양이 유지되는 것은 버섯, 곰팡이 등의 균류와 세균류가 이러한 퇴적 유기물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Ⅵ. 버섯의 영양소
1. 향균작용
grifolin, coriolin, illudine - 각종 버섯
2. 항비루스 작용
단백질, β-glucan - 표고, 원숭이걸이 버섯
3. 강심작용
flamtoxin, 풀버섯 volvatoxin 팽나무 버섯
4.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erintadenine - 표고버섯
5. 혈당강하작용
ganoderan, peptideglucan 영지
6. 혈압강하작용
당단백질 - 영지 잎새버섯
7. 항혈전작용
lentinacin 표고, 양송이
8. 항종양 작용
β-glucan, RNA 복합체 - 아가리쿠스
9. 면역증강, 항염증작용
항종양활성을 나타내는 D- glucan, 영지로부터 분리된 heterogalactan-protein 복합체
10. 혈당강하작용
영지에서 얻은 다당 ganoderan A, B, C 나 그 단백질 복합체
11. 강심작용
영지를 물로 추출한 extract
12. 혈압강하작용
영지의 xetract
13.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표고버섯에서 얻은 eritadenine
14. 항혈전작용
nucleotide AMP와 GMP 에 mouse 혈소판 응집저지 활성이 인정, 표고버섯에 존재하는 5- AMP -GMP
15. 항바이러스 작용
표고버섯의 포자 내 당단백질, D-glucan, 표고버섯 균사체의 자기소화산물인 lignin- 당단백질 복합체는 AIDS 바이러스에 유효
Ⅶ. 버섯의 종류별 요리방법
1. 표고버섯
아무리 좋은 식품도 필요 이상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표고버섯 또한 정량을 적법한 방법으로 먹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표고버섯은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생표고인 경우는 깨끗이 씻은 뒤 60~70℃의 뜨거운 물에서 살짝 데쳐낸 뒤 잘라서 초장에 찍어먹는 것이 좋다. 말린 표고버섯인 경우는 찬물에 하룻밤 정도 담가 놓으면 원래의 모습이 되는데 이렇게 된 것을 60~70℃의 뜨거운 물에서 살짝 데쳐 초장에 찍어먹으면 된다.
2. 팽이버섯
쫄깃하고 매끄러운 맛이 나는 팽이버섯은 된장국에 넣어 먹으면 제격이다. 팽이버섯 본래의 상큼한 맛을 즐기고 싶다면 샐러드로 해 먹으면 좋다.
3. 느타리버섯
느타리버섯 또한 60~70℃의 끓는 물에 살짝 데쳐낸 뒤 초고추장에 찍어먹는 것이 좋다. 느타리버섯의 영양을 고스란히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양송이버섯
양송이버섯은 육류와 궁합이 최고로 잘 맞는 버섯이다. 양송이버섯은 육류 섭취시 인체에 축적되기 쉬운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해주는 약효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양송이버섯을 곁들여 먹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지혜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5. 상황버섯
상황버섯은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복용 방법은 물을 100℃로 끓인 다음 그 온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 상황버섯을 넣고 우려낸다. 이렇게 우려낸 물을 차처럼 수시로 마시면 된다.
6. 영지버섯
영지버섯의 약효를 가장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달여서 그 즙을 먹는 것이다. 만드는 요령은 간단하다. 물 2ℓ에 손바닥만 한 영지버섯의 1/4을 넣고 푹 달여서 그 즙이 1ℓ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을 달여서 그 즙을 한데 섞은 뒤 냉장고에 넣어두고 하루 두 컵 정도 마시면 된다. 특히 영지버섯의 경우는 쓴맛이 강한데 만약 쓴맛이 싫다면 끓일 때 대추나 감초 적당량을 넣고 끓이면 된다.
7. 동충하초
동충하초 또한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복용 방법은 물을 100℃로 끓인 다음 그 온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 동충하초를 넣고 그 즙을 우려낸다. 이렇게 우려낸 물을 차처럼 수시로 마시면 된다.
Ⅷ. 버섯의 재배
생나무의 뿌리에 균근을 형성하는 활물기생균(活物寄生菌)은 인공재배가 곤란하나 고목이나 유기질에 발생하는 사물기생성(死物寄生性)인 버섯은 배양종균(培養種菌)에 의한 인공재배가 가능하다. 현재 일반적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식용버섯의 종류는 양송이 표고 풀버섯 목이 느타리 팽나무버섯 맛버섯 등이다. 양송이 재배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발전되고 일본을 거쳐 타이완 한국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어 주로 서양요리에 사용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풀버섯이 재배되고 있다.
표고는 동양의 특산으로 일본 한국 중국 타이완에서 재배하여 주로 동양요리에 이용되고 있으며, 느타리 목이 등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재배방식은 표고 목이 느타리는 원목재배(原木栽培), 양송이 풀버섯은 볏짚의 균상재배(菌床栽培)가 실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느타리도 볏짚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팽나무버섯 맛버섯 느타리 목이 등을 재배사(栽培舍) 안에서 톱밥을 주원료로 한 상자 또는 병재배(甁栽培) 방식이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버섯류는 영양기관인 균사체(菌絲體)와 번식기관인 포자(胞子)를 지닌 자실체로 되어 있다. 균사체는 고등식물의 뿌리 줄기 잎에 해당되며, 자실체는 꽃에 해당된다. 눈에 띄는 버섯, 즉 자실체가 버섯 생활의 전부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자실체의 발생은 극히 짧은 기간에 불과하고 1년 중의 대부분은 솜털 모양의 가는 실 같은 균사가 부식토 또는 고목과 같은 유기물 속에서 생육하고 있다. 자실체에서 형성된 포자가 발아하여 1차균사로 되고, 화합성(和合性)인 균사가 서로 세포질 융합이 이루어져 2차균사로 되어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여 만연되면, 적당한 환경하에서 균사가 조직화되고 3차균사를 형성하여 자실체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 버섯의 생활사이다.
참고문헌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8), 한국의 버섯, 김영사
박완희(2003), 버섯, 교학사
박완희(1999), 한국약용버섯도감, 교학사
석순자, 장현유 외 3명(2011), 버섯과 버섯요리 세트, 푸른행복
이태수, 조덕현 외 1명(2010), 한국의 버섯 도감 1, 저숲출판
유주현, 여익현 외 1명(2008), 버섯의 기능과 재배, 효일
Ⅴ. 버섯의 역할
숲에서 많은 양의 낙엽이나 죽은 나무와 풀들이 한없이 퇴적하지 않고 일정한 양이 유지되는 것은 버섯, 곰팡이 등의 균류와 세균류가 이러한 퇴적 유기물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Ⅵ. 버섯의 영양소
1. 향균작용
grifolin, coriolin, illudine - 각종 버섯
2. 항비루스 작용
단백질, β-glucan - 표고, 원숭이걸이 버섯
3. 강심작용
flamtoxin, 풀버섯 volvatoxin 팽나무 버섯
4.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erintadenine - 표고버섯
5. 혈당강하작용
ganoderan, peptideglucan 영지
6. 혈압강하작용
당단백질 - 영지 잎새버섯
7. 항혈전작용
lentinacin 표고, 양송이
8. 항종양 작용
β-glucan, RNA 복합체 - 아가리쿠스
9. 면역증강, 항염증작용
항종양활성을 나타내는 D- glucan, 영지로부터 분리된 heterogalactan-protein 복합체
10. 혈당강하작용
영지에서 얻은 다당 ganoderan A, B, C 나 그 단백질 복합체
11. 강심작용
영지를 물로 추출한 extract
12. 혈압강하작용
영지의 xetract
13.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표고버섯에서 얻은 eritadenine
14. 항혈전작용
nucleotide AMP와 GMP 에 mouse 혈소판 응집저지 활성이 인정, 표고버섯에 존재하는 5- AMP -GMP
15. 항바이러스 작용
표고버섯의 포자 내 당단백질, D-glucan, 표고버섯 균사체의 자기소화산물인 lignin- 당단백질 복합체는 AIDS 바이러스에 유효
Ⅶ. 버섯의 종류별 요리방법
1. 표고버섯
아무리 좋은 식품도 필요 이상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표고버섯 또한 정량을 적법한 방법으로 먹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표고버섯은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생표고인 경우는 깨끗이 씻은 뒤 60~70℃의 뜨거운 물에서 살짝 데쳐낸 뒤 잘라서 초장에 찍어먹는 것이 좋다. 말린 표고버섯인 경우는 찬물에 하룻밤 정도 담가 놓으면 원래의 모습이 되는데 이렇게 된 것을 60~70℃의 뜨거운 물에서 살짝 데쳐 초장에 찍어먹으면 된다.
2. 팽이버섯
쫄깃하고 매끄러운 맛이 나는 팽이버섯은 된장국에 넣어 먹으면 제격이다. 팽이버섯 본래의 상큼한 맛을 즐기고 싶다면 샐러드로 해 먹으면 좋다.
3. 느타리버섯
느타리버섯 또한 60~70℃의 끓는 물에 살짝 데쳐낸 뒤 초고추장에 찍어먹는 것이 좋다. 느타리버섯의 영양을 고스란히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양송이버섯
양송이버섯은 육류와 궁합이 최고로 잘 맞는 버섯이다. 양송이버섯은 육류 섭취시 인체에 축적되기 쉬운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해주는 약효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양송이버섯을 곁들여 먹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지혜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5. 상황버섯
상황버섯은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복용 방법은 물을 100℃로 끓인 다음 그 온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 상황버섯을 넣고 우려낸다. 이렇게 우려낸 물을 차처럼 수시로 마시면 된다.
6. 영지버섯
영지버섯의 약효를 가장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달여서 그 즙을 먹는 것이다. 만드는 요령은 간단하다. 물 2ℓ에 손바닥만 한 영지버섯의 1/4을 넣고 푹 달여서 그 즙이 1ℓ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을 달여서 그 즙을 한데 섞은 뒤 냉장고에 넣어두고 하루 두 컵 정도 마시면 된다. 특히 영지버섯의 경우는 쓴맛이 강한데 만약 쓴맛이 싫다면 끓일 때 대추나 감초 적당량을 넣고 끓이면 된다.
7. 동충하초
동충하초 또한 하루 30g 정도를 먹는 것이 좋다. 복용 방법은 물을 100℃로 끓인 다음 그 온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 동충하초를 넣고 그 즙을 우려낸다. 이렇게 우려낸 물을 차처럼 수시로 마시면 된다.
Ⅷ. 버섯의 재배
생나무의 뿌리에 균근을 형성하는 활물기생균(活物寄生菌)은 인공재배가 곤란하나 고목이나 유기질에 발생하는 사물기생성(死物寄生性)인 버섯은 배양종균(培養種菌)에 의한 인공재배가 가능하다. 현재 일반적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식용버섯의 종류는 양송이 표고 풀버섯 목이 느타리 팽나무버섯 맛버섯 등이다. 양송이 재배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발전되고 일본을 거쳐 타이완 한국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어 주로 서양요리에 사용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풀버섯이 재배되고 있다.
표고는 동양의 특산으로 일본 한국 중국 타이완에서 재배하여 주로 동양요리에 이용되고 있으며, 느타리 목이 등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재배방식은 표고 목이 느타리는 원목재배(原木栽培), 양송이 풀버섯은 볏짚의 균상재배(菌床栽培)가 실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느타리도 볏짚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팽나무버섯 맛버섯 느타리 목이 등을 재배사(栽培舍) 안에서 톱밥을 주원료로 한 상자 또는 병재배(甁栽培) 방식이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버섯류는 영양기관인 균사체(菌絲體)와 번식기관인 포자(胞子)를 지닌 자실체로 되어 있다. 균사체는 고등식물의 뿌리 줄기 잎에 해당되며, 자실체는 꽃에 해당된다. 눈에 띄는 버섯, 즉 자실체가 버섯 생활의 전부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자실체의 발생은 극히 짧은 기간에 불과하고 1년 중의 대부분은 솜털 모양의 가는 실 같은 균사가 부식토 또는 고목과 같은 유기물 속에서 생육하고 있다. 자실체에서 형성된 포자가 발아하여 1차균사로 되고, 화합성(和合性)인 균사가 서로 세포질 융합이 이루어져 2차균사로 되어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여 만연되면, 적당한 환경하에서 균사가 조직화되고 3차균사를 형성하여 자실체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 버섯의 생활사이다.
참고문헌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8), 한국의 버섯, 김영사
박완희(2003), 버섯, 교학사
박완희(1999), 한국약용버섯도감, 교학사
석순자, 장현유 외 3명(2011), 버섯과 버섯요리 세트, 푸른행복
이태수, 조덕현 외 1명(2010), 한국의 버섯 도감 1, 저숲출판
유주현, 여익현 외 1명(2008), 버섯의 기능과 재배, 효일
추천자료
식품보조식품
웰빙 동충하초 허브 개발
일본음식문화
약용식물이란 무엇인가 ?
미생물과 관련있는 기능성 식품(건강보조식품)
일본의음식문화를 통한 일본음식의 이해
외국음식실습 - 치킨아라킹, 치킨커틀렛, 벨로테소스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건강한 아침
[특허][식물종자][생물][전립선암치료][조직공학적 인공장기기술][유전자치료제][항체]식물종...
2013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위해요소중점 관리기준 HACCP)
아동영양학 - 내가 식사한 식단 작성 및 영양상태 분석
중국 음식문화의 이해 -중국의 4대 음식.북방과 남방의 차이.종교에 따른차이.식사예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