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문학_국어_학습지도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등문학_국어_학습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 별 첨 2 - 설 문 조 사 》
조사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조사 인원 : 30명
조사 기간 : 11월 5일~11월 8일
1. 한 달에 시를 몇편 정도 읽는 편입니까?
① 1편도 읽기 힘들다(6%)
② 2~3 편(17%)
③ 4~9 편(40%)
④ 10~20 편(28%)
⑤ 20편 이상(9%)
2. 다음 중 자신이 가장 많이 즐겨 읽는 것은 무엇입니까?
① 시 (17%)
② 소설 (27%)
③ 수필 (10%)
④ 희곡 (3%)
⑤ 기타(신문, 잡지 등등) (43%)
3. 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작품의 선정에 만족하십니까?
① 너무 불만족스럽다 (4%)
② 조금 불만족스럽다 (11%)
③ 그냥 그렇다 (20%)
④ 만족스럽다 (52%)
⑤ 굉장히 만족스럽다(13%)
4. 문학 작품을 읽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숙제 때문에 (30%)
② 여가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10%)
③ 흥미롭기 때문에 (13%)
④ 글을 잘 쓰기 위해 (3%)
⑤ 수능 학교시험 대비 (44%)
5. 문학 작품을 접할 때 어떤 생각이 듭니까?
① 쉽고 재밌다 (20%)
② 지루하고 어렵다 (17%)
③ 시험에 나온다는 생각이 들어 부담스럽다 (57%)
④ 글을 쓰고 싶은 창작욕구가 생겨난다 (3%)
⑤ 아무런 느낌이 없다 (3%)
《 별 첨 3 - 진 단 평 가 》
1. 다음 중 시의 회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
① 심상은 시인의 상상력으로 그려졌으므로 회화성과 관계가 없다. (4%)
② 현대시는 시의 회화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심상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44%)
③ 주지시파는 시의 회화성보단 음악성을 추구하였다. (12%)
④ 근대시는 청각성을 통해 회화성을 획득한다. (14%)
⑤ 현대시의 음악성은 회화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26%)
2. 다음 중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④)
① 표현양식에 따른 갈래의 구분에는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이 있다 (24%)
② 문학은 사회, 시대, 문학 담당 층이 변하여도 늘 동일한 하위갈래를 지닌다 (13%)
③ 서사 갈래는 대사와 행동으로 사건의 전개 과정을 보여준다 (3%)
④ 서정 갈래는 노래하는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감각적인 형상을 통해 전달한다 (54%)
⑤ 서정 갈래에는 전설, 민담, 고전 소설, 신소설, 현대 소설 등이 포함 된다 (6%)
3. 다음 진술을 읽고 맞으면 ○, 틀리면 ×로 표시해보자.
① 서정 서사 교술 갈래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가 있지만,
극 갈래는 화자가 없다 ( ○ ) (53%)
② 우리나라 문학의 역사는 구비문학 없이 곧바로 기록문학부터 시작되었다 ( × ) (93%)
③ 운문 문학 갈래와 산문 문학 갈래를 결정하는 요인은 작품의 길이이다 ( × ) (80%)
4. 다음 시의 본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⑤)
① 시는 대표적인 서정 갈래이다. (4%)
② 서정 갈래의 출발은 노래, 특히 민요였다. (3%)
③ 시는 노래와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12%)
④ 시가의 ‘가’는 음악을 ‘시’는 노랫말을 의미한다. (17%)
⑤시는 시가에서 음악성이 제거된 부분이다. (64%)
5. 다음 제시하는 작품이 해당되는 갈래를 연결 하시오.
① 꽃, 김춘수 (100%) 서정 가사
② 황조가, 유리왕 (80%) 서정시
③ 사미인곡, 정철 (73%) 고대 가요

《 별 첨 4 - 형 성 평 가 》
1. 이 시의 표현상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5)
① 꽃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② 꽃의 철학적 존재 의미를 추론하고 있다.
③ 꽃의 객관적인 외양 묘사에 치중하고 있다.
④ 꽃을 통해 대상의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⑤ 명명 행위의 철학적 의미를 꽃이라는 사물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2. 이 시의 시상 전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
① 시적 화자가 1인칭에서 2인칭으로 바뀌고 있다.
② ‘과거→현재→미래’로 시적 시간이 변하고 있다.
③ 공간의 확대와 의미의 확대가 상보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④ ‘나→너→우리’로 시적 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⑤ 외면의 탐색에서 내면의 추구로 시적 대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다음의 밑줄 친 내용에 대하여 가장 적절히 설명한 것은? (5)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① 반드시 음성만이 의미를 보증하는 경우.
② 사회적 규약으로서 언어 규범이 깨진 경우.
③ 인식 주체와 인식 대상이 합일에 이른 경우.
④ 음성과 의미 사이의 필연적 결합이 깨진 경우.
⑤ 언어 기호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4. 시에서 밑줄 친 시어 ‘몸짓’과 대조되는 시어 세 가지를 찾아보자. ( 꽃, 무엇, 눈짓)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5. 이 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적 화자의 일기를 재구성하려고 한다. 관계 없는 것은? (5)
① 거리에서 지나치는 사람들은 내게 의미가 없어.
② 나는 그 익명의 사람들 속에서 너무나도 외로워.
③ 누군가 나의 이름을 불러 준다면 외롭지 않을 텐데.
④ 그렇다면 나도 그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될 수 있으니까.
⑤ 하지만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일일이 이름을 기억하긴
어렵지
《 별 첨 5 》- 학 습 활 동 (개 별 학 습 지)
1. 이 작품의 구조를 파악하여 다음 표의 빈 곳을 채워 보자.
1연
2연
3연
4연




( )




2. 다음 표의 빈칸을 채워보자.
구분
연애시로 볼때
관념시로 볼 때
시어의 의미
‘이름 불러주기’
상대방에게 관심을 갖고 사랑하기
‘몸짓’
인식 되지 않은 존재
‘꽃’
서로 사랑을 나누는 일
주제
아름다운 사랑의 추구
《 별 첨 6 》- 학습활동 (모 둠 학 습 지)
3. 다음의 상징적 어구들을 자신만의 시어로 바꾸어 보기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 ]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 ]이/가 되고 싶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