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다섯 가지 교법(敎法). 인승(人乘), 천승(天乘),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
(菩薩乘)을 이른다.
에 있을 뿐이다. 의천 자신의 뜻도 오직 선왕이 출가를 허락하여 주신 은혜와 현재의 임금께서 널리 보호하여 주시는 은혜와 부처님의 가르침의 은혜와 중생의 은혜와의 사은(四恩)에 보답하는 데에 있을 뿐이라고 한다. 여기서 선왕의 은혜는 부모의 은혜요, 현 임금의 은혜는 나라의 은혜이며, 나머지 둘은 삼보은(三寶恩)과 중생은(衆生恩)이다. 이렇게 볼 때 의천은 세속으로는 유 불일치의 사회윤리관을 가지고 있으면서, 출세간의 도는 세간의 도를 초월할지언정 세간의 도와 모순되지 않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도서※
교재1: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교재2: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1&docid=7940979&qb=7J2Y7LKc&enc=utf8&pid=fr9Ztv331ywssZFWR2Zssv--137423&sid=Sr7ksu3WvkoAAFa-QyQ
(菩薩乘)을 이른다.
에 있을 뿐이다. 의천 자신의 뜻도 오직 선왕이 출가를 허락하여 주신 은혜와 현재의 임금께서 널리 보호하여 주시는 은혜와 부처님의 가르침의 은혜와 중생의 은혜와의 사은(四恩)에 보답하는 데에 있을 뿐이라고 한다. 여기서 선왕의 은혜는 부모의 은혜요, 현 임금의 은혜는 나라의 은혜이며, 나머지 둘은 삼보은(三寶恩)과 중생은(衆生恩)이다. 이렇게 볼 때 의천은 세속으로는 유 불일치의 사회윤리관을 가지고 있으면서, 출세간의 도는 세간의 도를 초월할지언정 세간의 도와 모순되지 않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도서※
교재1: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교재2: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1&docid=7940979&qb=7J2Y7LKc&enc=utf8&pid=fr9Ztv331ywssZFWR2Zssv--137423&sid=Sr7ksu3WvkoAAFa-QyQ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