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빈(Rubin)과 바비(Babbie)가 제시한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를 분류하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경험했던 오류에 대해서 서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루빈(Rubin)과 바비(Babbie)가 제시한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를 분류하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경험했던 오류에 대해서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Rubin과 Babbie가 제시한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를 분류하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경험했던 오류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Rubbin과 Babbie가 제시한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 분류
  1) 일상적 지식
  2)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
   (1) 부정확한 관찰(inaccurate observation)
   (2) 과도한 일반화(over generalization)
   (3) 선별적인 관찰(selective reasoning)
   (4) 꾸며낸 정보를 가지고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경우
   (5) 사후 발생적(소급) 가설
   (6) 비논리적 추론
   (7) 이해에 자아가 개입됨
   (8) 탐구의 성급한 종료
   (9) 신비화(mystification)
 2. 개인적 탐구의 오류 중 본인이 경험했던 오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내부적으로만 거창하게 광고를 하고 그 수혜자들에게는 직접적인 홍보를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중에 안 사실은 다른 사람이 분류한 결과에는 사회복지관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잘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결국 본인이 분류한 약 10%의 결과만 보고 사회복지관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잘 하지 않고 있다고 예단한 것이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Rubin과 Babbie가 제시한 일상적 지식을 통해 개인이 얻는 개인적 탐구의 오류를 분류하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경험했던 오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비과학적 방법 즉,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방법들은 명제의 정확성이나 응용이란 측면에서 부족하며 잘못하면 맹목적 확신에 빠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과학적 방법이라는 것은 가능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또한 과학적으로 증명한다는 점에서 비과학적 방법과 차이가 난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포함한 모든 조사는 과학적 방법으로 수행해야 객관적인 사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 김상균외, “사회복지개론”, 나남출판, 2000
-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07
  • 가격2,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