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언어 - 방송언어에 대해[방송언어 실태와 올바른 국어교육을 위해 방송언어가 나아가야할 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언어 - 방송언어에 대해[방송언어 실태와 올바른 국어교육을 위해 방송언어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방송언어의 정의
2. 방송언어의 형식
3. 방송언어의 실태
4. 방송언어가 나아가야할 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례를 분석하고, 잘못된 언어 사용에 대해서는 시정할 것을 권고하며, 세미나캠페인 등을 벌여 방송 언어에 대한 전 국민적인 관심을 유도하도록 한다.
마.시청자 운동의 활성화
민간단체의 모니터 활동 및 시청자 운동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방송의 소비자인 시청자야말로 저질스럽고 경박한 프로그램을 몰아내고 유익하고 공익성 높고 질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게 하는 강력한 세력이다. 시민 단체, 학부모 연합 등에서 좋은 프로그램 선정, TV 안보기 운동 등 올바른 방송 풍토를 마련하려는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고,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시청자 운동이 일어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
Ⅲ. 결론
처음 방송언어과제를 받았을 때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올랐던 것이 ‘상상플러스’였다. 케이블방송 오락프로그램은 말할 것도 없고 최근 공중파 방송 오락프로그램들에서도 방송언어로는 부적합한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선정적인 표현, 외래어, 신조어, 지방색을 조장하는 방언까지 물론 시청자를 더욱 더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이겠지만 어린아이들에게는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점에 있어 상상플러스는 참신한 기획이 돋보인다. 아나운서와 연예인들이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국어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외래어를 순수한글로 고쳐나가면서 재미와 국어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모두가 좋아하는 오락프로그램과 방송언어의 교육성을 잘 전목 시킨 가장 이상적인 프로그램이 아니가 하고 생각한다. 상상플러스와 같이 방송언어의 교육성을 계속 연구하여 나간다면 우리나라사람 모두가 표준어를 쓰는 날도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3.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