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재관
1. 단원설정의 이유
2. 단원의 구성
3. 전 학년과의 관련성
ⅱ) 학생관
1. 학급의 실태
2. 단원 지도를 위한 설문 조사
3. 설문 조사 결과 분석
ⅲ) 지도관
1. 지도의 중점
2. 지도상의 유의점
3. 학습목표
4. 대단원 지도 계획
5. 본시 수업안
(1) 본시 학습 지도안
(2) 판서 계획
(3) 학습장
1. 단원설정의 이유
2. 단원의 구성
3. 전 학년과의 관련성
ⅱ) 학생관
1. 학급의 실태
2. 단원 지도를 위한 설문 조사
3. 설문 조사 결과 분석
ⅲ) 지도관
1. 지도의 중점
2. 지도상의 유의점
3. 학습목표
4. 대단원 지도 계획
5. 본시 수업안
(1) 본시 학습 지도안
(2) 판서 계획
(3) 학습장
본문내용
학습
전체식
문답식
강의식
강의식
문답식
모둠 학습
(공연)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칠판
녹음기
(동요와 낭송)
PPT
학습장
시조에 대해 배우는 것이 아니므로 시조의 개념
은 간단히 언급한다.
동영상을 보기 전에 관전 포인트를
언급한다.
학생들이 충분히 암송할 수 있도록 자료의 충분한 활용이 요구된다.
다른 학생들이 연극을 시연할 때 산만해지지 않도록 집중시킨다.
정리
(8분)
수업정리
형성평가
차시예고
수업 마침
▷ 배운 것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평가 문제를 제시하고 풀게 한다.
▷ 의문점에 대해 질문하게 하고 피드백을 한다.
▷ 4단원 ‘바른 말 좋은 글’ 중 ‘준비 학습’을 통해 문법에 맞는 말과 바르고 좋은 표현을 하려는 태도를 기르게끔 지도한다.-안내문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언급한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안내문을 생각해 온다.
- 시조 짓기
▷ 수행평가 공고한다.
▷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좋은 글을 소개하며 마친다.
-수고하셨습니다.
▷ 학생들과 인사한다.
▶ 선생님과 함께 정리하면서 내용을 이해하고 숙지하도록 한다.
▶ 문제를 풀고 답을 한다.
▶ 의문점이 있으면 질문을 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에 대해 호기심을 가진다.
▶ 다음 시간에 필요한 내용을 공고한 것을 필기하도록 한다.
▶ 학습장에 필기한다.
- 감사합니다.
▶ 선생님과 인사한다.
반복
학습
탐구식
문답식
전체식
전체식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정확히 기억할 수 있게 한다.
학습 내용의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
차시수업의 학습목표를 확인한다.
수업을 정리한다.
예 상 되 는 발 전
1. 의사 전달 방식 중에서 언어 이외에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의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이해하여 문학작품을 읽을 때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의사 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의사 전달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평 가 기 준 [수행평가 반영]
개
별
평
가
1.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암송할 수 있는가?
2.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시조를 낭송할 수 있는가?
3.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통해서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가?
참 고 자 료
▷ 「국어과 교수 학습론」, 박영목 외 2인, (주)교학사
▷ 「고등학교 국어(상)」, 교육인적자원부, 교학사(2007)
▷ 「고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상)」, 교육인적자원부, 교학사(2007)
▷ 에듀넷- 중앙교수학습센터 http://www.edunet4u.net/main/html/index.html
▷ 대구에듀넷- 대구교수학습지원센터 http://www.tgedu.net/teacher/subject/sw_hg.edu
▷ 황진이 시조 [KBS 드라마 ‘황진이’] -
http://www2.pullbbang.com/video.pull?vcode=371503
▷ 하여가와 단심가 낭송 [KBS 드라마 ‘용의 눈물’] -
http://www.mncast.com/mainFrame.asp?mainSubMenu=/player/index.asp%3FmovieID
판 서 계 획
<학습목표>
1.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외울 수 있다.
2.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Ⅲ. 다양한 표현과 이해
보충ㆍ심화 학습
* 언어 외적 표현
*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학생 지목
이방원의 시 - 하여가
학생 지목
정몽주의 시 - 단심가
맹 진사 댁 경사
<심리적 태도>
1. 맹 진사 -
2. 맹 노인 -
3. 김명정 -
* 이들은 왜 서로
엇나가고 있는가?
(3) 학습장
국어 학습지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보충심화 학습
지혜로운 1학년 ( ) 반 ( ) 번 ( )
언어 외적 표현이란?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이란?
장면이란?
동영상에서 나온 시조나 자신이 알고 있는 시조를 써 봅시다.
<학습 목표>
1.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외울 수 있다.
2.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1.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암송하여 한 번씩 써 본다.
이방원의 시조 ‘하여가’
정몽주의 시조 ‘단심가’
2.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는 어떻게 낭송해야 하는가?
이런들 어떠하며…
이 몸이 죽고 죽어…
언어 외적 표현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맹 진사
맹 노인
김명정
3.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다음 인 물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심리적 태도를 추리해보자.
4. 위의 세 인물들의 말이 서로 엇나가는 까닭을 담화의 장면에 따른 표현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해 보자.
Ⅵ. 바른 말 좋은 글 - 준비 학습
⇒ 우리의 주변에서 어떠한 안내문이 있는지 생각해 오도록 한다.
형성평가 1. 다음 <보기>에 있는 낱말들을 보고 각각 언어 외적 표현인지, 아니면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인지 분류해 보아라.
<보기>
표정, 어조, 몸짓, 눈짓, 음색, 고저, 속도, 장단, 강약, 의상
* 언어 외적 표현(반언어적 표현) :
*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비언어적 표현) :
형성평가 2. ‘하여가’와 ‘단심가’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
① 부정적 현실에 절망함.
② 배경의 서정성이 뛰어남.
③ 화자의 역사 인식이 드러남.
④ 반성적 의식을 바탕으로 함.
⑤ 사실적인 묘사에 의해 표현됨.
형성평가 3. ‘맹 진사 댁 경사’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핵심 소재를 찾아 한 단어로 쓰시오.
학교 생활에서 즐거웠거나 인상 깊었던 일을 담임 선생님께 시조로 지어 전해 보자.
※ 이 과제는 수행평가 10%를 반영합니다.
시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구체적인 장면에서의 경험을 시조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체식
문답식
강의식
강의식
문답식
모둠 학습
(공연)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칠판
녹음기
(동요와 낭송)
PPT
학습장
시조에 대해 배우는 것이 아니므로 시조의 개념
은 간단히 언급한다.
동영상을 보기 전에 관전 포인트를
언급한다.
학생들이 충분히 암송할 수 있도록 자료의 충분한 활용이 요구된다.
다른 학생들이 연극을 시연할 때 산만해지지 않도록 집중시킨다.
정리
(8분)
수업정리
형성평가
차시예고
수업 마침
▷ 배운 것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평가 문제를 제시하고 풀게 한다.
▷ 의문점에 대해 질문하게 하고 피드백을 한다.
▷ 4단원 ‘바른 말 좋은 글’ 중 ‘준비 학습’을 통해 문법에 맞는 말과 바르고 좋은 표현을 하려는 태도를 기르게끔 지도한다.-안내문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언급한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안내문을 생각해 온다.
- 시조 짓기
▷ 수행평가 공고한다.
▷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좋은 글을 소개하며 마친다.
-수고하셨습니다.
▷ 학생들과 인사한다.
▶ 선생님과 함께 정리하면서 내용을 이해하고 숙지하도록 한다.
▶ 문제를 풀고 답을 한다.
▶ 의문점이 있으면 질문을 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에 대해 호기심을 가진다.
▶ 다음 시간에 필요한 내용을 공고한 것을 필기하도록 한다.
▶ 학습장에 필기한다.
- 감사합니다.
▶ 선생님과 인사한다.
반복
학습
탐구식
문답식
전체식
전체식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PPT
학습장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정확히 기억할 수 있게 한다.
학습 내용의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
차시수업의 학습목표를 확인한다.
수업을 정리한다.
예 상 되 는 발 전
1. 의사 전달 방식 중에서 언어 이외에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의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이해하여 문학작품을 읽을 때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의사 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의사 전달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평 가 기 준 [수행평가 반영]
개
별
평
가
1.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암송할 수 있는가?
2.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시조를 낭송할 수 있는가?
3.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통해서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가?
참 고 자 료
▷ 「국어과 교수 학습론」, 박영목 외 2인, (주)교학사
▷ 「고등학교 국어(상)」, 교육인적자원부, 교학사(2007)
▷ 「고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상)」, 교육인적자원부, 교학사(2007)
▷ 에듀넷- 중앙교수학습센터 http://www.edunet4u.net/main/html/index.html
▷ 대구에듀넷- 대구교수학습지원센터 http://www.tgedu.net/teacher/subject/sw_hg.edu
▷ 황진이 시조 [KBS 드라마 ‘황진이’] -
http://www2.pullbbang.com/video.pull?vcode=371503
▷ 하여가와 단심가 낭송 [KBS 드라마 ‘용의 눈물’] -
http://www.mncast.com/mainFrame.asp?mainSubMenu=/player/index.asp%3FmovieID
판 서 계 획
<학습목표>
1.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외울 수 있다.
2.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Ⅲ. 다양한 표현과 이해
보충ㆍ심화 학습
* 언어 외적 표현
*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학생 지목
이방원의 시 - 하여가
학생 지목
정몽주의 시 - 단심가
맹 진사 댁 경사
<심리적 태도>
1. 맹 진사 -
2. 맹 노인 -
3. 김명정 -
* 이들은 왜 서로
엇나가고 있는가?
(3) 학습장
국어 학습지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보충심화 학습
지혜로운 1학년 ( ) 반 ( ) 번 ( )
언어 외적 표현이란?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이란?
장면이란?
동영상에서 나온 시조나 자신이 알고 있는 시조를 써 봅시다.
<학습 목표>
1. 언어 외적 표현과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반영하여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외울 수 있다.
2. 희곡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인물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1.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를 암송하여 한 번씩 써 본다.
이방원의 시조 ‘하여가’
정몽주의 시조 ‘단심가’
2. 이방원의 시조와 정몽주의 시조는 어떻게 낭송해야 하는가?
이런들 어떠하며…
이 몸이 죽고 죽어…
언어 외적 표현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맹 진사
맹 노인
김명정
3. ‘맹 진사 댁 경사’를 읽고 다음 인 물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심리적 태도를 추리해보자.
4. 위의 세 인물들의 말이 서로 엇나가는 까닭을 담화의 장면에 따른 표현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해 보자.
Ⅵ. 바른 말 좋은 글 - 준비 학습
⇒ 우리의 주변에서 어떠한 안내문이 있는지 생각해 오도록 한다.
형성평가 1. 다음 <보기>에 있는 낱말들을 보고 각각 언어 외적 표현인지, 아니면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인지 분류해 보아라.
<보기>
표정, 어조, 몸짓, 눈짓, 음색, 고저, 속도, 장단, 강약, 의상
* 언어 외적 표현(반언어적 표현) :
*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비언어적 표현) :
형성평가 2. ‘하여가’와 ‘단심가’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
① 부정적 현실에 절망함.
② 배경의 서정성이 뛰어남.
③ 화자의 역사 인식이 드러남.
④ 반성적 의식을 바탕으로 함.
⑤ 사실적인 묘사에 의해 표현됨.
형성평가 3. ‘맹 진사 댁 경사’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핵심 소재를 찾아 한 단어로 쓰시오.
학교 생활에서 즐거웠거나 인상 깊었던 일을 담임 선생님께 시조로 지어 전해 보자.
※ 이 과제는 수행평가 10%를 반영합니다.
시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구체적인 장면에서의 경험을 시조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