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전통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 전통극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서 많은 암시를 받아 ‘수자전’ 같은 서사시극과 동서연극의 다양한 기법을 구사한 서정적 소극 ‘프로메테우스’를 완성했다. 그는 노오와 서구의 드라마를 대조한 평론을 썼으며 중국의 설화 ‘견우직녀’를 바탕으로 한 대작소설도 썼다.
장 쥬네는 아르또의 열정적인 연극이념을 부분적으로 실현했던 인물이다. 그는 연극은 제의의 요소들을 적용하여 배설물에서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이고 말한다. 따라서 연극은 추악함과 무서움과 음외함을 휘황찬란하고 장엄한 미사의 형식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그에게 있어 연극은 종교적인 의식의 일면을 가지게 되는데, 그러한 연극 속에는 연극적 꾸밈 대신에 축제가 있고, 인물대신에 상징이 자리 잡는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몽상적, 제의적 요소들은 가부키의 영향이라 평가되고 있다. 즉, 가부키에서 보이는 milk-white의 분장이나 벨라미라가 사용했던 실사 같은 입술과 뺨, 가슴 등의 분장법을 쥬네는 극에서의 잊혀졌던 유령들에 사용하여 그러한 효과를 부활시켰다고 한다.
러시아의 반사실주의 연극운동자인 메이엘홀트도 가부키의 영향을 받은 연출가이다. 그는 1928년 러시아에서 공연되었던 가부키를 관람하고 그 암시성과 전체극적 요소, 관객과의 접촉 등에 시사 받은 바가 컸다. 그는 연극이 리얼리즘이라는 협소한 현실에 안주하는 것을 거부하고, 이 현실보다 위대하고 진실한 것을 거두어들이기를 요구한다. 그는 다른 양식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배우가 희곡, 무대장치, 무대기구등에 구속되지 않고 그 본래의 연기성을 통하여 자유로이 관객과 연극적인 교류를 꾀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무대장치는 자연스러울 수 있다거나 사실적일 수 있다거나 하는 환영을 버려야하며, 배우의 연기 역시 극작가의 의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을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배우는 극작가와 관객간에 개입하는 통역자가 아니라 직접 관객에 대하여 자신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연극론이다.
4. 결론
동양의 여러 나라들은 그들 나름의 독특한 극장르를 발전시켰지만 그 접근방법과 표현에 있어서 전체를 지배하는 공통된 미학원리가 있다. 동양 전통극은 친숙한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는 주어진 법칙아래서 같은 주제를 가지고도 새로운, 즉흥적인 연기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오랜 세월을 두고 전승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서구를 지배해온 사실주의적 연극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 적지 않은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1.19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